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백양사(白羊寺)
백양사
자 료 실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관련 동영상
about 백양사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백양사 (白羊寺)
전라 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백암산에 있는 절. 대한 불교 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이다. 632년(백제 무왕 33)에 여환이 세웠다. 그 후 1034년(덕종 3)에 중연이 중창하면서 정토사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1350년(충정왕 2)에는 각진 국사가 삼창하고, 1574년(선조 7)에는 환양이 지금의 이름인 백양사라고 하였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백양사 (白羊寺) 대한불교 조계종 가람 배치 고려 대장경 교종 불교 한국 불교 종단 화엄 십찰 31 본산 삼보사찰 장성군 전라 남도 백암산 고운사 금산사 내장사 대흥사 동화사 마곡사 범어사 법주사 봉정사 부석사 불국사 불영사 석왕사 선운사 송광사 수덕사 신흥사 쌍계사 연곡사 월정사 조계사 직지사 통도사 해인사 화엄사 선암사 태안사 기림사 쌍봉사 이불란사 초문사 632년 375년 이차돈 각진 국사 조계종 전등사 수종사 삼화사 용주사 강천사 봉은사 유점사 각진 국사상 석굴암 석굴 경주 흥륜사지 봉선사 법흥사 청량사 보탑사 청평사 건봉사 운주사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백양사에서 근/현대 수필 노자영 (21)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참조 디렉터리
장성군 長城郡 (880)
◈ 참조 키워드
고운사 (3) 백과 대흥사 (3) 백과 마곡사 (3) 백과 범어사 (3) 백과 법주사 (3) 백과 송광사 (3) 백과 월정사 (3) 백과 통도사 (3) 백과 해인사 (3) 백과 화엄사 (3) 백과 건봉사 (2) 백과 금산사 (2) 백과 기림사 (2) 백과 내장산 (2) 백과 내장산 국립 공원 (2) 백과 법흥사 (2) 백과 봉선사 (2) 백과 봉은사 (2) 백과 불국사 (2) 백과 석왕사 (2) 백과 선운사 (2) 백과 수덕사 (2) 백과 신흥사 (2) 백과 쌍계사 (2) 백과 용주사 (2) 백과 장성군 (2) 백과 전등사 (2) 백과 조계사 (2) 백과 직지사 (2) 백과
▣ 백과사전
전라 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백암산에 있는 절. 대한 불교 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이다.
 
632년(백제 무왕 33)에 여환이 세웠다. 그 후 1034년(덕종 3)에 중연이 중창하면서 정토사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1350년(충정왕 2)에는 각진 국사가 삼창하고, 1574년(선조 7)에는 환양이 지금의 이름인 백양사라고 하였다. 백양사라고 이름을 지은 이유는 환양이 《법화경》을 외우면 백학봉에 있던 흰 양떼들이 몰려 오기 때문이라고 한다. 1786년(정조 10)에는 환성이 다시 중건하였고, 1864년(고종 1)에는 도암이 중건하였다.
 
백양사는 1917년에는 만암에 의해 가장 융성하였다. 특히, 만암은 45세부터 백양사의 주지를 맡아 여러 가지 불사를 일으키고 경전 강의를 시작하였으며 스스로는 중앙 불교 전문 학교의 교장을 내면서 많은 인재를 길러 냈다. 백양사 는 일제 강점기에는 31본산 중의 하나였으며 현지는 26개의 말사를 거느리고 있다.
 

백양사를 이루고 있는 당우들

현재 백암사에 남아 있는 당우로 대표적인 것은 전라 남도 유형 문화재 제43호인 대웅전이 있다. 이것은 1917년에 송만암이 절을 중건할 때 세운 것으로 안에는 석가여래 삼존불과 10척 높이의 불상, 용두 관음 탱화가 모셔져 있다. 그 오른쪽에는 바늘에 실을 꿰는 나한과 등을 긁는 나한 등 모두 16체의 나한상이 모셔져 있다. 또한, 아미타불 을 모셔둔 극락 보전은 전라 남도 유형 문화재 제32호이다. 이것은 백양사에 있는 건물 중에 가장 오래 된 것으로 400여 년 전에 환양이 세운 것이다. 넓이는 15평이며 구조는 정면 3칸의 맞배 지붕이다. 1973년에 새로 단청하고 1976년에는 낡은 곳을 수리하였다.
 
명부전은 지장 보살과 염라 대왕 등 십대 왕을 모신 곳으로 1896년에 세워진 것이다. 백양사의 지장 보살은 흙으로 빚어 금으로 도금하였다.
 
구조는 정면 5칸에 측면 3칸의 맞배 지붕으로 되어 있다. 각기둥 위에는 대접 받침으로 장식되어 있다.
 
백양사의 정문에 세워져 있는 사천왕문은 전라 남도 유형 문화재 제44호이다. 이것은 1917년에 세워진 것으로 입구의 오른쪽에는 지국천왕과 증장천왕이 있으며 왼쪽에는 광목천왕과 다문천왕이 있다. 지국천왕이란 수미산 동쪽의 하늘 나라인 지국천을 다스리는 왕으로서 한 손은 허리에 두고 한 손은 칼을 쥐고 있으며 하늘 나라의 옷감으로 몸을 꾸몄다고 한다. 증장천왕이란 수미산 남쪽의 하늘 나라인 증장천을 다스리는 왕으로서 자신과 다른 사람의 착한 마음을 증진시킨다고 한다. 광목천왕은 수미산 서쪽의 하늘 나라인 광목천을 다스리는 왕으로서 모든 나쁜 것을 물리친다고 한다. 다문천왕이란 수미산 북쪽의 하늘 나라를 다스리는 왕으로서 부처의 도량을 지킨다고 한다.
 
이 밖에도 백양사의 당우로서 유명한 대웅전 뒤편의 팔층탑이 있다. 이 때 팔층의 여덟이 상징하는 것은 불교를 수행하는 데 여덟 가지 중요한 덕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정견과 정언, 정업, 정명, 정념, 정정, 정사유, 정정진을 말한다. 여기에는 석가모니의 몸에서 나온 사리 3과가 들어 있다고 한다.
 
부도전에는 서산 대사와 사명 대사, 소요 대사 등 백양사에서 길러 냈거나 오래 머물렀던 18승려들의 사리와 유골이 모셔져 있다. 이것은 돌로 만든 종 모양의 탑과 비(碑)에 담겨 있다. 특히, 소요 대사 부도는 전라 남도 유형 문화재 제56호로서 백양사 부흥에 힘쓴 태능을 기념하기 위해서 세운 탑이다. 만들어진 형태는 탑의 주위에 용이 구름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는 조각으로 되어 있으며 탑이 놓인 좌대는 연꽃잎들이 조각되어 있다.
 

백양사의 역사와 전설

백양사에 소속된 암자는 고려 시대부터 내려온 것으로 모두 8개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암자가 6·25 전쟁 때 불에 타 없어졌다. 이 중에서 백양사 뒤의 계곡에서 3.5㎞ 지점에 있는 운문암은 8개의 암자 중에 대표격이라고 할 수 있다. 운문암은 고려 시대에 각진이 창건한 것으로 전망이 좋기로도 유명하다. 여기에는 조선 시대의 진묵 대사와 얽힌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바로 전에 진묵은 운문암에서 차를 달이는 일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어느 날 절에 모인 전체 신도들이 꿈을 꾸었는데, 한결같이 절에서 차를 달이고 있는 사람을 조사(祖師)로 모시라는 내용이었다. 신도들의 꿈에 따라 조사에 모셔진 진묵은 얼마 후에 "내가 올 때까지 불상에 도금하지 마라." 하고는 어디론가 떠났다고 한다. 진묵의 말에 따라 그 불상은 지금까지 도금을 하지 못한 채 있다는 것이다. 또한, 백양사 오른쪽 계곡에 있는 바위 근처는 영조가 제사를 지낸 곳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에 전라도 지방에 돌림병 이 크게 돌자 호남 감사가 상소를 올려 임금이 친히 제사지낼 것을 요청하였다고 한다. 이에 영조는 영검이 있는 땅으로 알려진 이 곳을 골라 바위에 '국제기(國祭基)'라고 새기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이 밖에도 20평 정도의 자연 석굴인 영천굴에서는 샘이 솟아나온다. 이 샘은 가뭄이나 장마 때나 항상 적당하게 물이 나와 영천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그러나 옛날에는 여기에서 쌀이 솟아 나왔다고 한다. 그런데 어느 날 이 곳을 찾은 욕심 많은 손님이 더 많은 쌀을 얻기 위해서 막대기로 샘을 쑤신 후에는 쌀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또한, 백양사 뒤에 있는 학바위에서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중종 때까지 하늘에 대한 제사를 지낸 곳으로 기록되어 있다.
 

백양사 주변의 기념물

백양 십이경 중의 하나인 일광정은 해마다 사월 초파일에 연 안에 불상을 모시고 절을 도는 행사인 시련법식(侍輦法食)을 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또한, 백양사 주위의 비자 나무 는 고려 고종 때 각진 국사가 심은 것으로 천연 기념물 제153호로 정해져 있다. 이것은 약 3만 그루가 한군데 모여 있어 봄에는 백양산이요, 가을에는 내장산이라는 뜻의 '봄백양 춘내장'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 밖에도 학봉을 비롯한 상왕봉, 사자봉, 가인봉 등의 경치가 빼어난 봉우리들로 백양사 주위는 옛날부터 조선 팔경의 하나로 알려져 왔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우리나라사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