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십이가사(十二歌詞)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십이가사 (十二歌詞)
조선 중기에 널리 불리던 12편의 가곡. 지은이와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중종 이후 선조 때에 이루어진 듯하며, 《가곡원류》에 실려 전한다.
십이가사 (十二歌詞) 조선 중기에 널리 불리던 12편의 가곡. 지은이와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중종 이후 선조 때에 이루어진 듯하며, 《가곡원류》에 실려 전한다. 「어부사」는 이현보(李賢輔)가 개작한 것 나머지 11편은 모두 지은이를 알 수 없다. 십이가사 백구사」, 「죽지사」, 「어부사」, 행군악(길군악)」, 「황계사」, 춘면곡」, 「상사별곡」, 「권주가」, 처사가」, 「양양가」, 「수양산가」, 매화가
◈ 지식지도 관계
십이가사 (十二歌詞) 가사 (歌詞) 십이잡가 (十二雜歌) 경기 잡가 (京畿雜歌) 고전 문학 (古典文學) 국악 (國樂) 시조 (時調) 어부가 (漁父歌) 잡가 (雜歌) 판소리 악부 (樂府) 1876년 1467 이현보 (李賢輔) 박효관 (朴孝寬) 1491 이언적 (李彦迪) 1501 이황 (李滉) 1541 이덕홍 (李德弘) 1816 안민영 (安玟英) 권주가 (勸酒歌) 길군악 (--軍樂) 매화가 (梅花歌) 백구사 (白鷗詞) 상사별곡 수양산가 (首陽山歌) 양양가 (襄陽歌) 어부사 (漁父詞) 죽지사 (竹枝詞) 처사가 (處士歌) 춘면곡 (春眠曲) 1876 가곡원류 (歌曲源流) 고금가곡 (古今歌曲) 농암가 (聾巖歌) 방물가 (房物歌) 유산가 (遊山歌) 출인가 (出引歌) 십장가 (十杖歌) 달거리 (月令歌) 평양가 (平壤歌) 형장가 (刑杖歌) 집장가 (執杖歌) 소춘향가 (小春香歌) 적벽가 (赤壁歌) 교주가곡집 1728 청구영언 (靑丘永言) 1763 해동가요 (海東歌謠) 1863 남훈태평가 1506 중종 반정 (中宗反正) 황계사 (黃鷄詞) 선유가 (船遊歌) 제비가 (燕子歌)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총 12 작품) [모두보기]
◈ 조회순
2019.07.18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십이가사. 총 59구로 벼슬을 단념하고 한갓 처사로서 자연에 묻혀사는 은둔생활의 정서를 표현한 작품이다.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 歸去來辭〉를 연상하게 할만큼 그 시풍이 매우 자연 관조적이며 탈속적 향취가 그윽하다.
2019.07.18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십이가사. 임을 여의고 괴로워하는 사나이가 기생집에 들러 춘흥에 탐닉함으로써 모든 괴로움을 잊어버리려는 심리를 표현한 작품으로, 육감적이고 퇴폐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다.
2019.07.16
권주가
【학습】 12가사 중의 하나. 작자·연대 미상으로 하규일(河圭一)에 의해 전창(傳唱)되었다. 구가(舊歌)와 현행가(現行歌)의 두 가지가 전하는데, 구가와 현행가는 사설만 다르고 선율의 차이는 없다.
 
 
◈ 최근등록순
2019.07.18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십이가사. 임을 여의고 괴로워하는 사나이가 기생집에 들러 춘흥에 탐닉함으로써 모든 괴로움을 잊어버리려는 심리를 표현한 작품으로, 육감적이고 퇴폐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다.
2019.07.18
【학습】 작자·연대 미상의 십이가사. 총 59구로 벼슬을 단념하고 한갓 처사로서 자연에 묻혀사는 은둔생활의 정서를 표현한 작품이다.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 歸去來辭〉를 연상하게 할만큼 그 시풍이 매우 자연 관조적이며 탈속적 향취가 그윽하다.
2019.07.16
권주가
【학습】 12가사 중의 하나. 작자·연대 미상으로 하규일(河圭一)에 의해 전창(傳唱)되었다. 구가(舊歌)와 현행가(現行歌)의 두 가지가 전하는데, 구가와 현행가는 사설만 다르고 선율의 차이는 없다.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총 13 개) [모두보기]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가사 (15) 백과 청구영언 (11) 백과 남훈태평가 (5) 백과 가곡원류 (3) 백과 황계사 (3) 백과 가사 (2) 백과 고금가곡 (2) 백과 고전 문학 (2) 백과 권주가 (2) 백과 길군악 (2) 백과 백구사 (2) 백과 상사별곡 (2) 백과 수양산가 (2) 백과 양양가 (2) 백과 어부사 (2) 백과 이현보 (2) 백과 죽지사 (2) 백과 처사가 (2) 백과 판소리 (2) 백과
◈ 참조 키워드
권주가 (3) 백과 처사가 (3) 백과 춘면곡 (3) 백과 가사 (2) 백과 길군악 (2) 백과 매화가 (2) 백과 백구사 (2) 백과 상사별곡 (2) 백과 수양산가 (2) 백과 양양가 (2) 백과 어부사 (2) 백과 죽지사 (2) 백과 황계사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참조 : 12잡가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