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언롱(言弄)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언롱 (言弄)
우리 나라 전통 가곡의 하나.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언롱 (言弄)
▣ 백과사전
우리 나라 전통 가곡의 하나. '만횡'이라고도 하고, '반지기', '반자기', '반죽이'라고도 불려진다. 음계는 황·중·임의 3음으로, 조성은 슬픈 느낌을 주는 계면조이다. 계면조는 서양 음악에서 단조를 말한다. 전체는 5장으로, 3장과 5장의 가사는 다른 가사로 바뀌어 길게 불려지기도 한다. 가사는 " 이태백의 주량은 그 어떠하여, 일일수경 삼백배하고, 두목지풍채는 그 어떠하여 취과양주귤만거런고, 아마도, 이 둘의 풍도는 못 밋츨가 하노라."이다. 이 노래 는 시조에 가사로 붙인 것으로, 이것말고도 다른 가사들이 있으나, 이 가사가 가장 많이 불려진다. 하규일이 언롱 전곡을 부른 것이 있는데, ' 이태백의'로 시작하는 가사 외에 '십재를', ' 기러기', '팔만대장', ' 어촌에'로 시작되는 가사들이 전한다. 전체가 5장으로 되어 있지만, 중간에 2개의 간주곡이 들어간다. 이 노래의 장단으로는 기본 장단을 사용하고 있으며, 1 장단은 10점 16박이다. 가락은 가사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진다. 이 노래를 부를 때 처음의 1장은 소리를 높이 질러서 내야 되지만 무겁고 근엄하게 불러야 하고, 2장부터는 흥청거리고 폭넓은 소리로 불러야 한다. 이렇게 한 노래에서 소리법이 바뀌는 것은 이 노래 의 제목인 《언롱》과 관계가 있다. ' 언롱'의 '언'은 '엇·얼'을 뜻한다. '엇·얼'이란 '반지기', '반자기'가 가지는 뜻과 같이, 반반, 또는 어떤 물건에 잡다한 다른 것이 섞인 것이다. 즉, '언'은 순수한 것에 순수하지 않은 것이 반씩 섞인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한 노래에 두 가지의 소리법이 사용되어 처음 1장과 2장 이하를 부를 때의 소리법이 달라지는 것이다. 《언롱》과 반대인 《평롱》은 높지도 않고 낮지도 않다는 뜻으로, 《평롱》을 부를 때는 처음부터 끝까지 한 가지 곡조로 부르면 된다. 이 곡은 여자들이 부르는 가곡에는 없고, 남자들만 부르는 곡으로 독창곡이다. 그리고 다른 보통의 가곡들과 같이 거문고·젓대· 세피리· 가야금· 해금 · 장구 등의 관현악 반주에 맞추어 부른다. 이 노래에 대해서 《가곡 원류》에는 "여러 선비들이 말다툼하듯 변화 무궁하다." 고 써 있다. 한 마디로 흥청거리고 여유 있게 흔드는 멋이 있는 곡이라는 뜻이다. 《현금 오음통론》 《방산 한씨 금보》 등에 악보가 들어 있고, 《청구 영언》 《가곡 원류》 등에 가사가 전한다.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가곡 (3) 계락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