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영산강(榮山江)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영산강 (榮山江)
전라 남도의 전남 평야를 남서쪽으로 흘러 서해로 들어가는 강.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 병풍산에서 시작되며, 길이는 116㎞이고, 유역 면적은 2,798㎢이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2 (5 등급)
◈ 천여 년 만에 빛을 본 영산강의 고려 나주선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와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임승경)는 오는 31일 오후 6시 30분,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전시홍보관에서 ‘천여 년 만에 빛을 본 영산강의 고려 나주선’ 개막 행사를 개최한다.【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나주시(羅州市) 대한민국 문화재청(文化財廳) 영산강(榮山江) # 고려 나주선.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 나주 영산강 발견 고선박 조각 전시 /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10.31.~ -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와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임승경)는 오는 31일 오후 6시 30분,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전시홍보관에서 ‘천여 년 만에 빛을 본 영산강의 고려 나주선’ 개막 행사를 개최한다.
 
올해는 영산강에서 고려 나주선(羅州船)이 발견된 15주년이 되는 뜻 깊은 해다. 이번 전시는 나주선 발견 15주년을 기념하고 나주선을 널리 알려 영산강의 교류·문화중심지 역할을 재조명하고자 기획하였다.
 
전시 주제는 ‘영산강을 무대로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활동한 선박’이다. 전시장에는 길이 약 5~6m, 너비 약 30~50cm 정도의 만곡부종통재(彎曲部縱通材) 2점, 길이 약 9m, 너비 약 60cm의 저판재 1점 등 나주선의 일부였던 조각 총 3점을 전시한다.
* 만곡부종통재(彎曲部縱通材): 선체의 저판과 외판을 연결해 주는 ‘ㄴ'자형 부재로 우리나라 전통선박인 한선(韓船)의 제작 초기 단계에 보이는 특징적인 구조
* 저판재(底板材): 배밑의 구조
 
나주선은 2004년 영산강 하안에서 발견되었으며, 고려 시대 선박으로 추정되고 있다. 오랜 세월 동안, 지표에 노출되거나 물속에 잠기기를 반복했음에도 속심이 잘 남아있는 상태다. 관람객들은 나주선을 보며 고려 시대 수많은 사람들과 곡물 등을 나르던 당시를 생생하게 떠올리고 나주선에 담긴 역사성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전시는 영산강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인 옹관을 활용한 『타임캡슐 만나러 밤마실 가요』 행사의 하나이며, 오는 31일 개최되는 개막행사에서는 지난 7월, 국립문화재연구소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만들었던 ‘타임캡슐’ 옹관들을 가마에 넣고 구워보는 체험을 비롯해, 나주선 전시를 기념한 등불 올리기, 판소리 축하공연이 펼쳐진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이번 행사로 지역민들이 영산강 중심 도시인 나주의 문화유산을 쉽게 접하고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란다. 앞으로도 문화유산의 중추 역할을 하는 연구기관으로 서로 협력하여 지역 사회와 함께 소통하고 협력하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첨부 :
1031 천여 년 만에 빛을 본 영산강의 고려 나주선(본문).hwp
1031 천여 년 만에 빛을 본 영산강의 고려 나주선(붙임3).pdf
 

 
※ 원문보기
나주시(羅州市) 대한민국 문화재청(文化財廳) 영산강(榮山江) # 고려 나주선.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문화】천여 년 만에 빛을 본 영산강의 고려 나주선
(게재일: 2019.10.31. (최종: 2019.10.31. 10:27))  문화재청 보도자료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