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유기인계 살충제(有機燐系殺蟲劑)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유기인계 살충제 (有機燐系殺蟲劑)
(organophosphate pesticides) 유기인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한 농약의 종류. 벼· 채소· 과수 등의 각종 해충에 효력이 좋으며, 현재 농작물에 사용하고 있는 농약 가운데 그 종류가 가장 많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유기인계 살충제 (有機燐系殺蟲劑) 파라티온 농약 살충제 유기 인제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농약 (3) 백과 살충제 (3) 백과
▣ 백과사전
(organophosphate pesticides) 유기인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한 농약의 종류. 벼· 채소· 과수 등의 각종 해충에 효력이 좋으며, 현재 농작물에 사용하고 있는 농약 가운데 그 종류가 가장 많다.
 
유기인계 살충제가 이렇게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37년 독일 바이어사의 G. 슈라더 등이 유기인 화합 물질에서 강력한 살충 효과를 발견하고서부터였다. 유기인 화합물이 지닌 커다란 살충 효과가 밝혀진 이래, 많은 유기인 화합물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식물성 농약 으로 이용되면서 각종 농작물의 병충해 방제에 크나큰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
 
초기에 만들어진 TEPP제나 파라티온제 등은 사람과 가축에 대해서도 급성의 독성이 강하여 농약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나 그 뒤를 이어 독성이 약한 약제가 개발되었으며, 그 사용이 농작물 등에 광범위하게 퍼져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유기인계 농약은 독성은 급성이고 또한 강하지만, 분해되기 쉬워 농작물에 잔류해 있을 염려는 없다. 대부분의 유기인계 농약은 안정성이 낮아 가수 분해가 되기 쉬운 화합물인 에스테르형이기 때문이다. 에스테르형이 가수 분해되는 정도는 약제에 따라 다르지만, 이것은 특히 알칼리성 물질 에서 잘 분해된다. 일반적으로 물에는 잘 녹지 않으나, 유기 용매와 유지에는 잘 녹는다. 그리고 석유류의 탄화수소 에는 약간 녹는 편이다. 증기압은 낮으며, 휘발성도 낮은 편이다.
 
유기인계 농약은 약제에 직접 닿을 때 일으키는 접촉독, 곤충 등의 식도를 통과하였을 때 일으키는 식독 등으로 나타나며, 곤충의 신경 자극 전달에 필요한 효소 인 콜린 에스테라아제의 작용을 저해함으로써 살충 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유기인계 살충제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특징이 있다.
 
① 살충제로 사용할 수 있는 해충의 범위가 넓으며, 살충력도 비교적 강하다.
②일반적으로 사람이나 가축에 대하여 급성 독성은 강한 편이지만, 이에 비하여 만성 독성은 낮은 편이다.
③약으로 인한 피해가 다른 살충제에 비하여 적은 편이며, 약제에 따라서는 식물의 생육을 돕는 효과를 지닌 것도 있다.
④ 기온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기온이 낮을 때보다 기온이 높을 때 그 효과가 더 크다.
⑤ 에스테르 화합물이기 때문에 동·식물체 내에서 포스파타아제·카르복시에스테라아제·아미다아제 등의 효소계 작용으로 분해가 빠르며, 그 결과 몸 안에는 거의 축적되지 않는다.
⑥약제를 뿌린 후 햇빛이나 기타 요인에 의하여 비교적 빠르게 그 약효, 곧 독성이 사라진다.
⑦동·식물체 내에서 분해가 빠르고, 햇빛에 의한 분해 가 빠른 특성으로 하여 약의 효과가 유지되는 잔효성 역시 짧은 편이다.
⑧동·식물체 내에서 산화되면, 독성이 더욱 강한 옥손 화합물로 변하여 살충 효과를 증진시킨다.
⑨ 알칼리성 물질에서 가수 분해가 잘 일어나므로 알칼리성 농약과 같이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유기인계 살충제에는, DDVP제·디메토에이트제· 디아지논제·디프테렉스·말라티온제·바미도티온·살리티온제·수미티온·에틸티오메톤제·MPP·ESP·EPN제·PMP·TEPP제 등이 있다.
 
이들 살충제는 약으로 인한 해독은 거의 나타나지 않을 만큼 약하다. 그러나 파라티온제는 독성이 강하여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파라티온 등 독성이 강한 살충제 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인제에 의하여 유기인제 중독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유기인제 중독은 적은 양으로도 중증을 나타낸다. 그 증상은 경련· 마비 등의 신경 증상을 보이는데, 만성일 때는 빈혈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제초제와 함께 사용하거나 제초제를 뿌린 지 10일 이내에는 살포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할 경우 약으로 인한 해독이 나타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유기인 화합물에는 유기인계 살충제 외에 유기인계 살균제가 있다. 유기인계 살균제는 주로 벼 도열병 에 사용되는데, 이 때 사용되는 키타진은 세계에서 최초로 개발된 유기인 살균제이다. 유기인 살균제는 이 외에 참깨잎마름병·소립균핵병 등에도 효력이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