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윤선도(尹善道)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윤선도 (尹善道)
[1587 ~ 1671] 조선 중기의 문신, 시조 작가. 호는 고산(孤山) 또는 해옹(海翁)이다. 그는 시조에 뛰어나 정철의 가사와 더불어 시가사상 쌍벽을 이룬다. 그의 작품은 문집 《고산유고》에 시조 77수와 한시문이 전한다. 작품으로는 『산중신곡』 『속산중신곡』 『어부사시사』 등이 있다.
윤선도 (尹善道) [1587 ~ 1671] 조선 중기의 문신, 시조 작가. 호는 고산(孤山) 또는 해옹(海翁)이다. 26세 때 진사에 급제, 30세 때 성균관 유생으로 권신 이이첨 일당의 횡포를 상소하여 경원에서 귀양살이를 하였다. 인조 반정 때 8년 만에 귀양살이에서 풀려났고, 42세 때 별시 문과에 장원 급제한 뒤에 봉림 대군과 인평 대군의 사부를 지냈다. 생애의 20여 년을 귀양살이로, 19년간은 은거 생활로 보냈다. 시조에 뛰어나 정철의 가사와 더불어 시가사상 쌍벽 그의 작품은 문집 《고산유고》에 시조 77수와 한시문이 전한다. 작품 산중신곡』 『속산중신곡 어부사시사
◈ 지식지도 관계
윤선도 (尹善道) 1587 1524 윤의중 (尹毅中) 1636 윤이후 (尹爾厚) 1591 남인 (南人) 1575 서인 (西人) 고전 문학 (古典文學) 북인 (北人) 사색 당파 (四色黨派) 시조 (時調) 한국 문학 (韓國文學) 1602 소북파 (小北派) 1674 예송 논쟁 (禮訟論爭) 1630년 1623년 1536 정철 (鄭澈) 1560 이이첨 (李爾瞻) 1561 박인로 (朴仁老) 1617 윤휴 (尹鑴) 1619 봉림 대군 (鳳林大君) 1622 인평 대군 (麟坪大君) 1501 이황 (李滉) 1501 조식 (曺植) 1513 유희춘 (柳希春) 1526 정탁 (鄭琢) 1535 성혼 (成渾) 1535 정인홍 (鄭仁弘) 1542 류성룡 (柳成籠) 1543 정구 (鄭逑) 1547 이원익 (李元翼) 1561 이덕형 (李德馨) 1563 정경세 (鄭經世) 1584 인목 왕후 (仁穆王后) 1587 이괄 (李适) 1600 정양 (鄭瀁) 1601 김자점 (金自點) 1606 영창 대군 (永昌大君) 1607 송시열 (宋時烈) 1608 광해군 (光海君) 1610 윤선거 (尹宣擧) 1610 허적 (許積) 1612 소현 세자 (昭顯世子) 1622 유형원 (柳馨遠) 1623 인조 (仁祖) 1681 이익 (李瀷) 1762 정약용 (丁若鏞) 고산유고 (孤山遺稿) 산중신곡 (山中新曲) 1645 산중속신곡 1651 어부사시사 1580 훈민가 (訓民歌) 노계집 (蘆溪集) 송강가사 (松江歌辭) 1588 사미인곡 (思美人曲) 1623 인조 반정 (仁祖反正)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636 병자호란 (丙子胡亂) 1680 경신환국 (庚申換局)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총 18 작품) [모두보기]
어부사시사 漁父四時詞 시조 윤선도 (817) 만흥 漫興 시조 윤선도 (264) 오우가 五友歌 시조 윤선도 (227) 견회요 遣懷謠 시조 윤선도 (180) 몽천요 夢天謠 시조 윤선도 (50) 산중신곡 山中新曲 시조 윤선도 (34) 어부사여음 漁父詞餘音 시조 윤선도 (12) 조무요 朝霧謠 시조 윤선도 (12) 하우요 夏雨謠 시조 윤선도 (9) 야심요 凍深謠 시조 윤선도 (6) 일모요 日暮謠 시조 윤선도 (6) 기세탄 饑歲歎 시조 윤선도 (5)
◈ 조회순
2014.10.12
보길도 세연정, 윤선도 (2014.10.12)
【여행】 한국 전통 정원을 말하면서 조선 최고의 조경가인 고산 윤선도( 1587~1671)가 조경한 전남 보길도 부용동 세연정을 뻬놓을 수 없습니다. 그 외에 고산은 해남의 연동, 수정동, 문소동, 금쇄동 유적, 전남 강진의 덕천동,추원당 유적, 양주의 명월정 유적 등이 남아 있습니다.
 
 
◈ 최근등록순
2014.10.12
보길도 세연정, 윤선도 (2014.10.12)
【여행】 한국 전통 정원을 말하면서 조선 최고의 조경가인 고산 윤선도( 1587~1671)가 조경한 전남 보길도 부용동 세연정을 뻬놓을 수 없습니다. 그 외에 고산은 해남의 연동, 수정동, 문소동, 금쇄동 유적, 전남 강진의 덕천동,추원당 유적, 양주의 명월정 유적 등이 남아 있습니다.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시조 (25) 백과 연시조 (10) 백과 고산유고 (9) 백과 1642년 (8) 백과 윤휴 (7) 백과 동인 (6) 백과 허목 (6) 백과 1645년 (5) 백과 경신환국 (5) 백과 남인 (5) 백과 산중신곡 (5) 백과 서인 (5) 백과 어부사시사 (5) 백과 예송 논쟁 (5) 백과 정구 (5) 백과 만흥 (4) 오우가 (4) 백과 견회요 (3) 민유중 (3) 백과 민정중 (3) 백과 산중속신곡 (3) 백과 송시열 (3) 백과 오륜가 (3) 백과 윤선거 (3) 백과 윤증 (3) 백과 이민구 (3) 정철 (3) 백과 정호 (3) 백과 훈민가 (3) 백과 1618년 (2) 백과 1651년 (2) 백과 1652년 (2) 백과 1659년 (2) 백과 1680년 (2) 백과 가사 (2) 백과 가사 문학 (2) 백과 갑인예송 (2) 백과 강호사시가 (2) 백과 고산구곡가 (2) 백과 고전 문학 (2) 백과 관동별곡 (2) 백과 권상하 (2) 백과 기세탄 (2) 기축옥사 (2) 백과 김수항 (2) 백과 누정 (2) 백과 도산십이곡 (2) 백과 매화사 (2) 백과 박인로 (2) 백과 보길도 (2) 백과 북인 (2) 백과 비가 (2) 성리학 (2) 백과 심사정 (2) 백과 야심요 (2) 백과 어부가 (2) 백과 어부사여음 (2) 완도군 (2) 백과 윤두서 (2) 백과 이단하 (2) 백과 이여 (2) 이이 (2) 백과 이황 (2) 백과 일모요 (2) 장현광 (2) 백과 정선 (2) 백과 정여립 (2) 백과 조무요 (2) 조홍시가 (2) 백과 채제공 (2) 백과 하우요 (2) 호아곡 (2) 백과 효종 (2) 백과
◈ 참조 키워드
고산유고 (11) 백과 보길도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당색 : 남인 (강경파)
조부 : 윤의중
손자 : 윤이후
교우: 윤휴
목록 참조
시가문학 : 정철, 윤선도, 박인로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