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장지연(張志淵)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장지연 (張志淵)
[1864 ~ 1921] 언론인, 애국 지사. 호는 위암(韋庵)이며, 경상 북도 상주에서 태어났다.
장지연 (張志淵) [1864 ~ 1921] 언론인, 애국 지사. 호는 위암(韋庵) 경상 북도 상주 생 1897년에 고종이 러시아 공관으로 옮겨 가자 환궁을 요청하는 ‘만인소’를 지었다. 1899년에 시사 총보의 주필로 언론계에 들어가 1901년에 황성 신문사 사장이 되었다. 1905년에 을사조약이 맺어지자 ‘시일야 방성 대곡(是日也放聲大哭)’ 1906년에는 대한 자강회를 조직하여 항일 운동을 벌이다가 일본의 압력 때문에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였다. 1909년에 귀국하여 경남 일보의 주필이 되어 언론 활동을 벌이다가, 폐간 처분을 받고 실의에 빠져 지내던 중 일생을 마쳤다. 저서에 《유고 연원》 《위암문고》 등이 있다. 1962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단장을 받았다.
◈ 지식지도 관계
장지연 (張志淵) 1864 만인소 (萬人疏) 애국 계몽 운동 1905년 1880년 1884년 1871년 1875년 1855년 1823년 1792년 1897 대한 제국 (大韓帝國) 1841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1842 김홍집 (金弘集) 1848 황준헌 (黃遵憲) 1854 권중현 (權重顯) 1858 박제순 (朴齊純) 1858 이완용 (李完用) 1860 하야시 곤스케 (林権助) 이만손 (李晩孫) 1864 이재극 (李載克) 1865 윤치호 (尹致昊) 1865 이근택 (李根澤) 1870 이지용 (李址鎔) 1880 한규설 (韓圭卨) 1906 대한 자강회 1905 헌정 연구회 1905 통감부 (統監府) 1907 대한 협회 (大韓協會) 조선 책략 (朝鮮策略)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시일야방성대곡 是日也放聲大哭 개인기록물 장지연 (95) 애국부인전 愛國婦人傳 신소설 장지연(張志淵) (24)
◈ 조회순
2019.10.31
【문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10월 29일(화) 오후 2시, 대학로에 위치한 ‘그림가게, 미나리하우스’*에서 김용삼 제1차관과 청년 예술인들이 함께 소통하는 간담회를 열었다.【예술정책과 - 김수현 (044-203-2712)】
 
 
◈ 최근등록순
2019.10.31
【문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10월 29일(화) 오후 2시, 대학로에 위치한 ‘그림가게, 미나리하우스’*에서 김용삼 제1차관과 청년 예술인들이 함께 소통하는 간담회를 열었다.【예술정책과 - 김수현 (044-203-2712)】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1905년 (4) 백과 1907년 (4) 백과 대한 자강회 (4) 백과 1906년 (3) 백과 1908년 (3) 백과 시일야 방성 대곡 (3) 잔 다르크 (3) 백과 헌정 연구회 (3) 백과 1900년 (2) 백과 1901년 (2) 백과 1902년 (2) 백과 1903년 (2) 백과 1904년 (2) 백과 1909년 (2) 백과 20세기 (2) 백과 나수연 (2) 백과 독립 신문 (2) 백과 독립 협회 (2) 백과 을사늑약 (2) 백과
◈ 참조 키워드
시일야방성대곡 (6) 황성 신문 (5) 백과 을사늑약 (3) 백과 고종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전문】애국부인전 (1907)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