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정약용(丁若鏞)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정약용 (丁若鏞)
[1762 ~ 1836] 조선 시대의 실학자, 문신. 호는 다산(茶山)이고,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주요 저서로는 《목민심서》《경세유표》 《흠흠신서》 등이 있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2 (5 등급)
◈ 다산 정약용. - 1편, 역사채널 그날 - (2015. 12. 7)
11월 남양주시 수종사(水鐘寺)와 운길산(雲吉山)에서 내려와 동행인과 두부전골로 점심을 먹었다. 식사 후 강을 따라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년∼1836년. 75세) 유적지로 가서 정약용 문학관, 정약용 기념관, 정약용 생가와 묘, 그리고 실학박물관 주최의 신명 나는 농악놀이를 관람했다. 마지막으로 천주교 소화 묘원 높은 곳에서 팔당호를 보고 마무리했다. 그래서 오늘부터 다산 정약용은 누구인지와 유적지에 대해 알아본다.
남양주시(南楊州市) 다산 유적지(茶山遺跡地) 정약용(丁若鏞)
다산 정약용은 조선 후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이익의 학통을 이어받아 발전시켰으며, 각종 사회 개혁사상을 제시하여 ‘묵은 나라를 새롭게 하고자’ 노력하였다.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역사 현상의 전반에 걸쳐 전개된 그의 사상은 조선왕조의 기존 질서를 전적으로 부정하는 ‘혁명론’이었다기 보다는 파탄에 이른 당시의 사회를 개량하여 조선 왕조의 질서를 새롭게 강화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조선에 왕도정치를 확립하고, 국민을 편안하게 하고자 한 것이었다.
 

 
오늘은 KBS 역사 저널 <그날>에서 방송된 정약용 편을 올린다.
 
 
★ 정약용 홈페이지는 여기를 누르세요.
 
★ 7살에 원근법을 표현한 한시를 지었다.
 
★ 정조와 정약용의 만남
 
★ 경기 북부 암행어사 정약용
 
★ 정조의 총애를 받은 정약용
 
★ 드라마속 정조와 정약용
 
★ 천주교 박해로 인생위기
 
★ 18년간의 유배시작
 
★ 유배지에서 전한 가족 사랑
 
★ 유배지에서 새로운 조선을 꿈꾸다.
 
 
▼ 정약용이 강진 유배를 마치고 바위에 섰다는 정석(丁石)
 
 
출처: 유튜브,네이버지식백과, KBS,민족문화대백과.문화재청
남양주시(南楊州市) 다산 유적지(茶山遺跡地) 정약용(丁若鏞)
【여행】다산 정약용. - 1편, 역사채널 그날 - (2015. 12. 7)
(게재일: 2015.12.07. (최종: 2017.12.05. 10:02))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