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제망매가(祭亡妹歌)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제망매가 (祭亡妹歌)
신라 때 향가의 하나. 《위망매영재가(爲亡妹營齋歌)》라고도 한다. 신라 제35대 경덕왕 때의 승려인 월명사(月明師)가 세상을 떠난 누이동생을 위하여 재를 올리면서 지었다는 노래로, 10구체로 되어 있다. 이두로 표기된 노래의 원문이 《삼국유사》에 실려 전한다.
제망매가 (祭亡妹歌) 신라 때 향가의 하나. 10구체 《위망매영재가(爲亡妹營齋歌)》라고도 한다. 신라 제35대 경덕왕 때의 승려인 월명사(月明師) 세상을 떠난 누이동생을 위하여 재를 올리면서 지었다는 노래 이두로 표기 원문이 《삼국유사》에 실려 전한다.
◈ 지식지도 관계
제망매가 (祭亡妹歌) 고전 문학 (古典文學) 이두 (吏讀) 향가 (鄕歌) 가사 (歌辭) 경기체가 (景幾體歌) 고대 소설 (古代小說) 고대 수필 (古代隨筆) 고려 가요 (高麗歌謠) 단군 신화 (檀君神話) 시조 (時調) 한국 문학 (韓國文學) 고대 가요 (古代歌謠) 760년 월명사 (月明師) 742 경덕왕 (景德王) 1075 김부식 (金富軾) 1206 일연 (一然) 1274 충렬왕 (忠烈王) 655 설총 (薛聰) 681 신문왕 (神文王) 737 효성왕 (孝成王) 756 혜공왕 (惠恭王) 576 화랑도 (花郞徒) 1281 삼국유사 (三國遺事) 균여전 (均如傳) 도천수관음가 보현십원가 서동요 (薯童謠) 원가 (怨歌) 원왕생가 (願往生歌) 찬기파랑가 처용가 (處容歌) 총결무진가 풍요 (風謠) 헌화가 (獻花歌) 혜성가 (彗星歌) 우적가 (遇賊歌) 안민가 (安民歌) 1145 삼국사기 (三國史記) 700 모죽지랑가 760 도솔가 (兜率歌) 888 삼대목 (三代目)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황룡사지 (皇龍寺址) 751 석굴암 석굴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제망매가 祭亡妹歌 향가 월명사(月明師) (349)
◈ 참조 원문/전문
◈ 조회순
2019.06.04
【학습】 신라 경덕왕 때 월명사(月明師)가 지은 10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5 감통(感通)7 ‘월명사 도솔가조(月明師兜率歌條)’에 실려 있다.
 
 
◈ 최근등록순
2019.06.04
【학습】 신라 경덕왕 때 월명사(月明師)가 지은 10구체 향가. ≪삼국유사≫ 권5 감통(感通)7 ‘월명사 도솔가조(月明師兜率歌條)’에 실려 있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도솔가 (3) 백과 도천수관음가 (3) 백과 향가 (3) 백과 경기체가 (2) 백과 고려 가요 (2) 백과 고전 문학 (2) 백과 보현십원가 (2) 백과 삼국유사 (2) 백과 안민가 (2) 백과 원가 (2) 백과 찬기파랑가 (2) 백과 처용가 (2) 백과 혜성가 (2) 백과
◈ 참조 키워드
월명사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한국문학】고대문학 (향가)
출전 : 삼국유사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