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1727 ~ 178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이며, 목사 상기(尙紀)의 아들이다.
|
|
|
인물 : 인물 > 한국
[1727 ~ 178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이며, 목사 상기(尙紀)의 아들이다.
1763년 증광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이 되었다. 증광 문과는 나라에 큰 경사가 있을 때 과거 시험을 보이는 증광시의 문과이다. 그 뒤 부제학 · 대사성을 지냈으며, 1777년에는 공조 참판이 되었다. 이어 실록청 당상관과 대사헌을 거쳐 함경도 관찰사가 되었다. 함경도 관찰사로서 그는 민폐를 없애고 군무를 충실하게 수행하여 백성들로부터 찬사를 받고 그 이름을 널리 떨쳤다. 그 뒤 돈령부지사를 거쳐 형조 판서에 올랐으며, 경연지사· 홍문관 제학· 도총관 등을 겸하였다.
1786년에는 우의정 이 되었으며, 동지경연사를 겸임하였다. 당시 그는 역모 사건에 관련되어 강화부에 귀양가 있던 은언군 인의 처벌을 주장하는 상소를 여러 차례 올렸다. 그러나 그의 상소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그는 이 일로 한때 파직되었다. 그 뒤 그는 다시 중추부판사로 임명되었으며, 《 문헌비고》를 펴내는 데 관계하여 《학교고》 8편을 저술하였다.
그는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하여 고향에 정문이 세워졌으며, 그의 문집으로는 《하서집》이 전하여지고 있다.
|
◈ 조회순
|
|
2024.09.05
|
|
|
【문화】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는 초대 통제사로 이순신(1593. 8~1597. 2)이 임명된 이후, 제2대 원균(1597. 1~8), 제3대 이순신(1597. 8~1598. 11), 제4대 이시언(1599. 1~1601. 5), 제5대 류형(1602. 1~1603. 2), 제6대 이경준(1603. 2~1605. 9)이 거제 오아포, 한산도, 춘원포 일대에서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제208대 홍남주(1894. 10~1896. 5)를 끝으로 1895년에 폐영되었다. 군사적 요충지로서 중요성이 부각되었던 거제도에서 삼도수군통제사의 흔적을 찾아 본다.
|
|
|
|
◈ 최근등록순
|
|
2024.09.05
|
|
|
【문화】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는 초대 통제사로 이순신(1593. 8~1597. 2)이 임명된 이후, 제2대 원균(1597. 1~8), 제3대 이순신(1597. 8~1598. 11), 제4대 이시언(1599. 1~1601. 5), 제5대 류형(1602. 1~1603. 2), 제6대 이경준(1603. 2~1605. 9)이 거제 오아포, 한산도, 춘원포 일대에서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제208대 홍남주(1894. 10~1896. 5)를 끝으로 1895년에 폐영되었다. 군사적 요충지로서 중요성이 부각되었던 거제도에서 삼도수군통제사의 흔적을 찾아 본다.
|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
▣ 동음이어
|
|
|
|
인공적으로 자연, 산수의 경치 같은 느낌이나도록 정원이나 공원 등을 꾸미는 일.
|
|
[1541 ~ 1609] 조선 중기의 무신. 1593년에는 도원수 권율과 함께 행주 산성 싸움에서 커다란 승리를 거두었다.
|
|
바다에서 서로 다른 수괴의 경계.
|
|
[1586 ~ 1669]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일장(日章), 호는 용주(龍洲)ㆍ주봉(柱峯). 병자호란 때 척화(斥和)를 주장하였다.
|
▣ 카달로그 작업
|
▶ 지식지도 |
▷ 원문/전문 (없음) |
▷ 시민 참여 콘텐츠 |
▷ 관련 동영상 (없음) |
|
▣ 참조정보
없 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