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조선 시대에 서울을 다스리던 관청, 또는 그 행정 구역. 1394년(태조 3년)에 한양으로 서울을 옮겨 한양부라 하다가 이듬해 한성부로 고쳤다.
|
|
|
지식 : 단체 > 한국사 > 관청
조선 시대에 서울을 다스리던 관청, 또는 그 행정 구역. 1394년(태조 3년)에 한양으로 서울을 옮겨 한양부라 하다가 이듬해 한성부로 고쳤다.
북악산을 기점으로 서울 둘레에 산성을 쌓고, 그 안을 다섯 부로 나누어 그 아래 동(洞)을 두었다. 성 안의 땅은 일체 사유를 금하고, 궁궐과 관청, 도로, 하수도, 시장 등의 위치를 정한 다음, 나머지를 왕족과 관리에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나누어 주어 사용권만 허가했다.
부윤(시장)은 판윤으로 판서와 같은 계급이었으며, 그 아래 좌윤, 우윤 등의 부시장급 관원을 거느리고 사법, 행정의 양권을 함께 행사하였다.
1910년 일제의 주권 침탈과 함께 경성부로 바뀌었다가, 광복 후 서울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
◈ 조회순
|
|
2024.10.11
|
|
|
【문화】
조선 시대 한성의 관청위치를 지난번에 이어 알아봅니다.
41. 훈영 / 42. 비변사 / 43. 의금부 / 44. 평시서 / 45. 좌포청
46. 어영청 / 47. 동부 / 48. 동학(동부 학당) / 49. 우포청 / 50. 전옥서
|
|
|
|
2024.10.01
|
|
|
【문화】
조선시대 한성부(서울)에 있던 관청 위치를 지난번에 이어 알아봅니다.
|
|
|
|
2024.09.27
|
|
|
【문화】
조선 한성부 내 관청의 위치를 찾아봅니다.
|
|
|
|
2024.10.08
|
|
|
【문화】
조선 시대 한성부 내의 관청 위치를 계속 알아봅니다.
|
|
|
|
2024.10.04
|
|
|
【문화】
조선 한성부 내에 있던 관청 위치를 지난번에 이어 알아보고 있습니다.
|
|
|
|
◈ 최근등록순
|
|
2024.10.11
|
|
|
【문화】
조선 시대 한성의 관청위치를 지난번에 이어 알아봅니다.
41. 훈영 / 42. 비변사 / 43. 의금부 / 44. 평시서 / 45. 좌포청
46. 어영청 / 47. 동부 / 48. 동학(동부 학당) / 49. 우포청 / 50. 전옥서
|
|
|
|
2024.10.08
|
|
|
【문화】
조선 시대 한성부 내의 관청 위치를 계속 알아봅니다.
|
|
|
|
2024.10.04
|
|
|
【문화】
조선 한성부 내에 있던 관청 위치를 지난번에 이어 알아보고 있습니다.
|
|
|
|
2024.10.01
|
|
|
【문화】
조선시대 한성부(서울)에 있던 관청 위치를 지난번에 이어 알아봅니다.
|
|
|
|
2024.09.27
|
|
|
【문화】
조선 한성부 내 관청의 위치를 찾아봅니다.
|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 지식지도 |
▷ 원문/전문 (없음) |
▷ 시민 참여 콘텐츠 |
▷ 관련 동영상 (없음) |
|
▣ 참조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