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대한민국 문화재청 (文化財廳)
문화재청(文化財廳,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약칭 : CHA)은 문화재에 관한 사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현재를 살아가는 니장-흙을 다루는 장인』보고서 발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는 사라져가는 전통건축기술의 계승과 보존을 위한 조사·연구사업의 하나로 니장의 인터뷰 조사내용을 담은 『현재를 살아가는 니장 - 흙을 다루는 장인』보고서를 발간하였다.【건축문화재연구실】
대한민국 문화재청(文化財廳) # 니장
- 국립문화재연구소, 니장 인터뷰 담은 보고서로 전통벽체 시공기술 소개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는 사라져가는 전통건축기술의 계승과 보존을 위한 조사·연구사업의 하나로 니장의 인터뷰 조사내용을 담은 『현재를 살아가는 니장 - 흙을 다루는 장인』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대목장(大木匠)·석장(石匠) 등과 함께 집을 짓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온 니장(泥匠)은 건축 공사에서 벽이나 천장, 바닥 등에 흙과 회, 시멘트 등을 바르는 장인이다. 일제강점기 이후 니장은 명맥이 끊겨가는 상황이며, 문화재수리현장에서는 전통기법 적용도 모호해지고 있다. 이에 국립문화재연구소는 2019년부터 ‘건축문화재 기술 연구’를 진행하면서 사라져가는 전통니장 기술의 계승과 보존을 목적으로 「전통건축 니장기술연구」를 함께 진행하고 있다.
* 대목장(大木匠): 집 짓는 일의 전과정, 즉 재목을 마름질하고 다듬는 기술설계는 물론 공사의 감리까지의 전과정을 책임지는 목수로서 궁궐이나 사찰, 군영시설 등을 건축하는 도편수
* 석장(石匠): 석조물을 제작하는 장인
 
『현재를 살아가는 니장』은 연구소의 니장기술 연구의 첫 번째 결과물로 현장에서 전통기법을 지켜가고자 노력하는 장인 11명의 진지한 목소리를 담고 있다. 장인들이 사용하는 벽체 구성 재료와 시공기법에 관한 내용을 수록하여 현재 활동하는 장인들의 보유 기법을 상세히 담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주요 기법을 그림, 도면 등으로 표현하여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고서는 누구나 쉽게 열람하고, 학술연구에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문화재청 누리집(www.cha.go.kr)과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http://portal.nrich.go.kr)에 공개할 예정이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전통니장 기술의 계승과 보존을 위해 현장에서 전통니장 기술을 이어가고자 노력하는 장인들의 기법을 꾸준히 기록하고, 고문헌과 해체수리현장 조사, 벽체조사와 제작실험 등 전통건축 니장기술에 대한 조사연구를 계속 진행할 계획이다.
 
 
 
 
첨부 :
0629 『현재를 살아가는 니장-흙을 다루는 장인』보고서 발간(본문).hwp
0629 『현재를 살아가는 니장-흙을 다루는 장인』보고서 발간(붙임).pdf
 

 
※ 원문보기
대한민국 문화재청(文化財廳) # 니장
【문화】『현재를 살아가는 니장-흙을 다루는 장인』보고서 발간
(게재일: 2020.06.29. (최종: 2020.07.04. 11:15))  문화재청 보도자료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정보 (상위)
(C) 소속청
문화재청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