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김치양(金致陽)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김치양 (金致陽)
[? ~ 1009] 고려 시대의 문신(文臣), 무신(武臣), 권신(權臣), 정치가(政治家)이다.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송조(松祚)이다. 본관은 서흥(瑞興)이고, 목종의 어머니 헌애왕후(獻哀王后) 황보씨(皇甫氏)의 외족(外族)이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김치양 (金致陽) 959 강동 6주 대장경 (大藏經) 의창 (義倉) 전시과 (田柴科) 거란 (契丹) 1018년 1009년 988년 918 고려 (高麗) 997 목종 (穆宗) 982 고려 성종 (成宗) 976 고려 경종 (景宗) 964 헌애왕태후 960 강조 (康兆) 1010 고려 현종 (顯宗) 982 요 성종 (遼 聖宗) 949 광종 (光宗) 948 강감찬 (姜邯贊) 942 서희 (徐熙) 927 최승로 (崔承老) 10C말 소배압 1031 고려 덕종 (德宗) 국자감 (國子監) 상평창 (常平倉) 고려·거란 전쟁 1009 강조의 정변
▣ 백과사전
[? ~ 1009] 고려 시대의 문신(文臣), 무신(武臣), 권신(權臣), 정치가(政治家)이다. 불교 승려 시절 법명은 송조(松祚)이다. 본관은 서흥(瑞興)이고, 목종의 어머니 헌애왕후(獻哀王后) 황보씨(皇甫氏)의 외족(外族)이다.
 
고려사에 의하면 성격이 간교하여 승려를 사칭하였다 한다. 일찍이 승려가 되었다가 천추궁(千秋宮)에 드나들며 당시 경종의 비이자 태후인 헌애왕후와 추문이 있어 성종이 그를 처형하려 했다가 멀리 장배(杖配)하였다. 목종이 즉위한 후 천추태후(千秋太后, 헌애왕후)에 의해 다시 개경으로 소환하여 합문통사사인 벼슬을 주었고, 이후 몇해 안 되어 왕의 존중과 총애를 받다가 우복야 겸 삼사사로 승진했다. 태후와 왕의 총애 하에 전횡하게 된다.
 
1003년(혹은 그 이전)에 천추태후와의 사이에서 불의의 아들을 낳고 그를 책봉하고자 대량군 왕순(大良君 王詢)을 살해할 모의를 하다가 실패하였으며, 다시 유일한 혈통인 목종을 해하려다가 성공치 못하였다. 그러는 와중에 개경 근처의 사찰에 자신의 부하들을 승려로 위장하여 숨긴 뒤 그들을 사찰 안에서 병력으로 키워서 거병하기도 했다.
 
강조의 정변으로 왕순(고려 현종)이 즉위하자 김치양은 그의 아들과 함께 처형되고, 그의 일당과 천추태후의 친척 이주정(李周禎) 등은 해도(海島)에 유배되었다. 강조는 목종과 천추태후를 충주로 내쫓아 도중에 목종을 죽였고, 이에 천추태후는 황주(黃州)에 숨었다.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목종 (2) 백과 현종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1725(영조 1) ~ 1793(정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여득(汝得)이다. 전라감사를 역임한 징(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제학 유(楺)이고, 아버지는 영의정을 역임한 상로(尙魯)이다. 어머니는 임천(林川) 조정만(趙正萬)의 딸이며, 부인은 연일(延日) 정익하(鄭益河)의 딸이다.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