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이희승(李熙昇)
이희승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이희승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이희승 (李熙昇)
[1896 ~ 1989] 국어학자로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성세(聖世), 호는 일석(一石)이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이희승 (李熙昇) 진단 학보 1942년 고유섭 김윤경 김태준 문일평 백낙준 손진태 이병기 이상백 이윤재 이은상 조윤제 최현배 진단 학회 조선어 학회 청구학회 조선어 학회 사건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조윤제 (2) 백과
▣ 백과사전
[1896 ~ 1989] 국어학자로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성세(聖世), 호는 일석(一石)이다.
 
종식(宗植)의 아들로 광주군 의곡면 포일리(현 포일동)에서 출생하였다. 5세 때 서울에 올라왔다가 7세 때 여러 대의 선영이 있는 풍덕군 남면 남조강리(개풍군 임한면 상조강리)로 내려가 살았다. 1903년 사숙에 들어가 5년간 한문을 수학했는데, 사숙에 입학하기 전에 어머니에게서 『천자문』과 『동몽선습』을 배워 기본적인 한문 소양을 갖추었다. 1908년 4월 이정옥과 결혼, 5월에 서울에 와 상투를 자르고 관립한성외국어학교 영어부에 입학, 1910년 10월에 졸업한 후 경성고등보통학교, 양정의숙 등을 다니다 자퇴하고 가족과 함께 다시 풍덕군으로 낙향했다. 1914년 1월 단신으로 상경하여 김포군 고촌면 천등리의 사립 신풍학교 교원이 되었다. 이듬해 3월 서울에 올라와 조선총독부 토지조사국 정리과의 임시고원으로 일하면서 사립 중동학교 야간부를 통학한 뒤 1916년 4월 사립 중아학교 3학년에 입학하여 1918년 3월에 졸업하였다.
 
1918년 4월 경성직뉴주식회사의 서기, 1919년 10월 새로 창립된 경성방직주식회사 서기로 4년 6개월간 근무하였다. 1923년 경성제일고보에서 시행한 전문학교 입학자 검정시험에 합격한 뒤 이듬해 연희전문학교 수물과에 입학했으나 1년 만에 자퇴하였다.
 
1925년 4월 관립 경성제국대학 예과부 문과에 입학, 1927년 3월 수료와 함께 다시 법문학부 조선어학급문학과에 입학하여 1930년 3월에 졸업하였다. 졸업과 동시에 관립 경성사범학교 교유(敎諭)에 취임했고, 이해 조선어학회에 입회하였다.
 
1931년 경성제국대학 출신들을 중심으로 조선어문학회 창립에 참여하였고, 이듬해 4월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 조선어학회의 간사를 거쳐 1935년 4월에는 이 학회의 간사장에 피선되었다. 1940년 4월 일본 동경제국대학 대학원에 입학하여 1년간 언어학을 연구했고, 1942년 4월에는 이화여자전문학교 문과과장에 보임되었다.
 
1942년 10월 1일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경찰에 검거되어 함남 홍원경찰서와 함흥형무소에서 3년간 투옥되었다가 1945년 8·15 광복으로 출옥, 이해 12월 경성대학법문학부 교수에 취임하였다. 1946년 10월 학제 개편으로 국립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 교수에 취임했고, 1952년 2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부원장을 지내고 1953년 9월 미국무성 초청으로 도미하여 캘리포니아대학과 예일대학에서 1년간 체류하며 언어학을 연구하였다. 1954년 3월 학술원 종신회원, 1957년 서울대 문리과대학장을 역임하고 학술원상을 수상했다. 1960년에는 서울시 교육위원회 공로상을 수상했으며, 1962년에는 건국공로훈장을 받았다.
 
1961년 정년퇴임한 후 서울대 명예교수를 거쳐 서울대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3년 동아일보사장에 취임하여 2년간 재직하였다. 1965년 대구대학 대학원장, 1966년부터 1969년까지 성균관대학교 교수·대학원장을 역임했고 1970년 학술원 부회장, 1971년 단국대 동양학연구소장, 1974년 민주국민회의 고문 등을 역임하였다.
 
1988년에는 한국어문교육연구소장·학술원 원로회장·사단법인 현정회 이사장·재단법인 인촌기념회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국어학계 태두로 활동하는 동안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학술원 공로상 등을 수상했고 수많은 논문을 집필하고 저술활동을 벌였다. 그 대표적 저서로는 『역대조선문학정화』(1938), 『조선문학연구록』(1946), 『조선어학논고』(1947), 『한글맞춤법통일안 강의』(1946), 『초급국어문법』(1949), 『모범중등글짓기』(1950), 『중등글본』(1953), 『국문학개관 고전편』(1953), 『국어학개설』(1955) 등과 시집 『박꽃(1947)』, 수필집 『벙어리 냉가슴』(1956) 이외에 『고등문법』(1956), 『국어대사전』 등이 있다. 그리고 자서전인 『딸각발이』는 시대상황과 함께 자신의 삶을 담담하게 묘사하였다.
 
일석 선생은 키가 145cm밖에 안 되는 그야말로 5척 단구였다. 강단에 서서 손을 뻗쳐 쓴 글씨가 흑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한다. 특이한 외모와 함께 그를 유명하게 만든 것은 꼬장꼬장한 성품. 그는 2시간 연장 강의도 정시에 들어와 정시에 끝내면서 중간에 휴식시간을 주지 않았다. 강의실 밖에서 돌과 최루탄이 난무하는 격렬한 데모가 일어나도 눈 한번 깜짝하지 않고 진행했을 정도로 수업에 철저했다. 한글전용론에 맞서 죽을 때까지 국한문 혼용을 고집하기도 했다. 「딸깍발이」, 「대추씨」, 「양반은 얼어 죽어도 곁(겻)불은 쬐지 않는다는 지조」 등은 그로부터 비롯됐다. 포일동 87-13번지 양지편마을에 생가가 있으며, 1962년 3월1일 건국공로훈장을 받았다.
 
□참고문헌 : 『일석이희승선생 송도기념논총』(1957), 『명사교유록』 1(1977), 『딸각발이』(이희승 자서전), 『의왕의 전통과 문화』(의왕시, 1991)
 
【의왕문화원 > 의왕시사】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