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 900 견훤, 후백제 건국
• 901 궁예, 후고구려 건국
• 918 왕건, 고려 건국
• 926 발해, 거란의 침입으로 멸망
• 927 견훤, 신라 경애왕 공격·공산에서 왕건에게 승리
• 930 왕건, 고창에서 견훤에게 대역전
• 935 신라 경순왕, 고려에 항복
• 936 후백제 멸망, 고려 후삼국 통일
• 943 고려 태조 왕건, 훈요10조 남김
• 956 광종, 노비안검법 실시
• 958 광종, 과거제 실시
• 976 전시과 실시
• 982 최승로, 시무 28조 올림
• 983 12목, 2성 6부 설치
• 993 거란의 제1차 고려 침입, 서희의 담판으로 해결 (강동6주 획득)
동양
• 900 하북의 여러 번진이 주전충에게 복종. 환관 유계술(劉季述) 등 소종을 폐위시킴.
• 901 재상 최윤(崔胤)이 반란을 평정함. 소종이 복위됨. 이무정, 기왕(岐王)이 됨.
• 902 주전충, 봉상을 공격. 회남(淮南)절도사 양행밀(楊行密)이 오왕(吳王)에 봉해져 자립, 오나라를 건국함.
• 903 주전충, 환관 수 백명을 살해. 주전충, 양왕(梁王)에 봉해짐.
• 904 주전충, 소종을 시해하고 애종(哀宗) 축(祝)을 선제(宣帝)로 옹립,
• 907 주전충, 당을 멸망시키고 후량(後梁)을 건국. 변경(변京: 개봉(開封))을 도읍으로 삼음. 진왕(晉王) 이극용, 자립. 거란(契丹: 뒤에 요(遼))의 아율아보기(耶律阿保機), 칸(가간(可汗))이 됨.
• 908 진왕 이극용 사망. 아들 이존욱(李存욱)이 계승하여 장종(莊宗)이 됨.
• 909 위무군(威武軍)절도사 왕조(王潮)의 아들 왕심지(王審之), 복건(福建) 지방에서 민(민)을 건국.
• 910 오월(吳越), 항주성(杭州城)을 수축하여 대도시로의 발전이 시작됨.
• 916 거란의 아율아보기 황제를 칭하여 태조(太祖)가 됨.
• 917 민, 납으로 돈을 주조. 유암(劉岩), 광동에서 남한(南漢)을 건국하여 고조(高祖)가 됨.
• 920 거란 태조, 거란 문자인 대자(大字)를 창제.
• 923 진(晉)의 장종 이존욱(李存욱), 후량을 멸망시키고 후당(後唐)을 건국.
• 924 후당, 호부(戶部)와 탁지(度支)를 조용사(租庸使)에 소속시킴.
• 925 후당, 전촉(前蜀)을 멸망시킴.
• 926 후당, 장종이 피살되고 양자 이사원(李嗣遠)이 즉위하여 명종(明宗)이 됨. 요, 아율아보기가 죽고 아들 덕광(德光)이 즉위하여 태종(太宗)이 됨. 후당의 명종, 균세법(均稅法)을 시행하여 조세 불균형을 해소시키고 금군(禁軍)을 강화하여 중앙집권화 정책을 추진. 발해가 거란에게 망함.
• 930 후당, 조용사를 삼사사(三司使)로 개편.
• 934 맹지상(孟知祥), 후촉(後蜀)을 건국하여 고조(高祖)가 됨.
• 936 석경당(石敬당), 거란의 원조를 받아 후당(後唐)을 멸망시키고 후진(後晉)을 건국하여 태조(太祖)가 됨. 그 댓가로 연운십륙주(燕雲十六州)를 거란에 할양.
• 937 거란이 국호를 요(遼)로 개칭. 오(吳)의 권신 서지고(徐知고), 자립하여 남당(南唐)을 건국하고 황제에 오름. 오나라 멸망.
• 940 후촉의 조숭조(趙崇祚), 당시인(當時人)들의 사(詞)를 모은《화문집(火問集)》 편찬.
• 941 남당, 전제를 제정함.
• 942 후진의 조정에 반 거란분위기가 조성됨.
• 945 남당, 민을 멸망시킴.
• 946 요, 후진을 멸망시키고 화북(華北)으로 진출. 각처에서 요에 저항하는 민중들의 봉기가 빈발함.
• 947 유지원(劉知遠: 고조(高祖)), 후한(後漢)을 건국.
• 951 후한의 절도사 곽위(郭威), 후한을 멸망시키고 후주(後周)를 건국하여 태조(太祖)가 됨. 유지원의 동생인 유숭(劉崇), 자립하여 북한(北漢)을 건국. 초(楚), 남당에 항복하여 멸망됨.
• 952 남당, 진사과(進士科)를 개설.
• 953 후촉, 구경(九經)을 간행.
• 954 후주. 태조 곽위가 죽고 양자인 자영(柴榮)이 즉위하여 세종(世宗)이 됨. 세종, 고평(高平)에서 요와 북한의 연합군 침공을 대파. 풍도(馮道) 사망(882 ~ ).
• 955 후주 세종 폐불(廢佛)을 단행.
• 958 후주, 남당(南唐)을 토벌해 양자강 이북의 땅을 합병. 금군 사령관 조광윤(趙光胤),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함.
• 959 후주 세종, 요를 토벌해 연운십육주 중 2개 주를 탈환했으나 병사함.
• 960
조광윤(趙匡胤), 후주를 멸망시키고 즉위하여
송(宋)을 건국하고 태조(太祖)가 됨. 절도사 이균(李筠)·이중진(李重進)의 반란을 진압. 절도사 임지의 정기적 교체를 제도화한 경술법(更戌法) 제정.
• 961 태조 조광윤, 무인(武人)들을 회유하여 그들의 지휘권을 회수함[酒杯석兵權].
• 963 형남(荊南), 송에 항복(925 ~ ).
• 964 부재상(副宰相)에 상당하는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설치.
• 965 후촉(後蜀), 송에 항복(934 ~ ). 금군(禁軍)을 개편하고 강화. 노(路)에 전운사(轉運使)를 설치.
• 971 남한(南漢), 송에 항복(917~ ). 처음으로 시박사(市舶司)를 광주(廣州)에 설치.
• 973 최초로 전시(展試)를 실시.
• 974 《구오대사(舊五代史)》완성.
• 975 남당(南唐), 송에 항복(925~ ). 강남의 동전(銅錢)이 화북지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금함.
• 976 태조가 급사하고 동생 광의(光義)가 즉위하여 태종(太宗)이 됨.
• 977 술의 전매제를 실시. 강남에서의 철전(鐵錢) 사용을 금지. 절도사가 행사하던 진장(鎭將) 임명권을 회수. 절도사 관할의 속주(屬州)를 중앙에 직속케 함. 과거 합격자를 대폭 늘리고 대우도 크게 향상시킴.
• 978 오월(吳越), 영토를 송에 헌납(907 ~ ). 《태평광기(太平廣記)》 완성.
• 979 북한(北漢), 송에 항복해 연운십육주만 남기고 대략 중국의 통일 완성. 요를 토벌했으나 고량하(高梁河)에서 패배.
• 980 수역법(羞役法)을 정비함.
• 982 탕구트(당항(黨項))족의 이계봉(李繼棒), 송에 내부(內附)했으나 이계천(李繼遷) 등이 이에 따르지 않고 자립하여 송에 저항함.
• 983 《태평어람(太平御覽)》 완성. 요, 국호를 거란(契丹)으로 개칭.
• 984 여진(女眞)부족, 거란에 복속됨.
• 985 이계천, 섬서(陝西)지역인 은주(銀州)를 점거.
• 987 《문원영화(文苑英華)》 완성.
• 991 이계천, 투항. 조보(趙普) 사망(921~ ).
• 992 과거(科擧)에 최초로 호명법(糊名法) 도입.
• 993 사천(四川) 지역에 [왕소파(王小波)·이순(李順) 기의(起義)] 발생.
• 997 진종(眞宗) 즉위.
• 999 한림시독학사(翰林侍讀學士) 설치.
• 907 당 멸망, 5대 10국 시작
• 916 거란 건국
• 936 거란, 중국의 연운 16주 점령
• 977 아프가니스탄에 가즈나 왕조 성립
세계
봉건제도의 완성.
함부르크, 아우구스부르크, 룩셈부르크 등 유럽의 유서깊은 도시에는 '부르크'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 곳이 많다. 이는 독일어로 '성곽'이라는 뜻이다.
중세 도시는 10세기경 인구가 증가하고 상업이 발달하면서 유럽 각지에서 생겨났다.
• 987 러시아, 그리스정교로 개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