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1월 22일, 노태우 대통령˙김영삼 민주당 총재˙김종필 공화당 총재, 청와대에서 3당 통합을 선언.
2월 9일, 3당합당 의결, 당명 민주자유당(민자당).
2월 21일, 외무부, 모스크바주재 영사처 개설을 발표.
5월 17일, 교통부, 수도권 신공항입지를 영종도로 확정.
6월 5일, 노태우 대통령˙코르바초프 소련 대통령, 샌프란시스코에서 정상회담. 한˙소간 조속한 수교에 합의하고 상호 교환방문하기로 합의.
6월 28일, 국무회의, 새 민방(民放)의 방송법 개정안 의결.
9월 4일, 강영훈 총리˙연형묵 북한 총리, 서울에서 첫 총리회담 개최(~7일).
10월 31일, 정부, 새 민방텔레비전방송국의 지배주주로 (주)태영(泰榮)을 선정.
12월 13일, 노태우 대통령, 소련 방문(~17일).
12월 14일 양국 정상이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회담 후 「모스크바선언」을 발표.
12월 15일, 국회, 지방자치법˙지방의회선거법˙지방자치단체선거법 등 지자제관계 3개법안 통과.
동양
2월 18일, 일본 중의원 총선거 실시, 자민당 압승.
27일, 폴란드·이스라엘, 23년 만에 외교관계 재개.
3월 23일, 몽골의회, 공산당 일당독재를 폐지키로 결의.
4월 4일, 중국 전인대, 97년 반환되는 '홍콩통치법' 가결. (홍콩특별행정구 기본법)
6일, 네팔, 군중 20만여 명이 민주화 요구, 군경이 시위대에 발포, 150여 명 사망.
8일, 네팔 국왕 비렌드라, 다당제 도입 선포.
5월 21일, 남·북 예멘, 예멘공화국으로 통일을 선포.
6월 20일, 중국 후난[湖南]지방에 큰 홍수 발생.
21일, 이란 북부지역에 진도 7.3~7.7의 강진.
7월 2일, 사우디아라비아 메카 순례자 1,400여 명, 성지순례 중 터널 통과하다 질식사.
8월 10일, 아랍연맹 회원국, 페르시아만 국가를 이라크의 침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아랍군대 파견하기로 합의.
10월 4일, 필리핀 정부군 일부, 대통령 아키노에 대한 반란, 민다나오섬 2개 도시 점거, 독립 선포.
11월 30일, 유엔 안보리, 대(對)이라크 무력사용 허용 결의안 채택.
세계
1월 1일, 하벨 체코 대통령, 대사면령.
2일, 루마니아, 도입·사형제 폐지 등 개혁조처 단행.
3월 15일, 로마 교황청, 소련과 대사교환 등 외교관계 수립에 합의.
소련 공산당서기장 고르바초프, 초대 대통령에 당선.
4월 21일, 나미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부터 독립 선포.
5월 27일, 콜롬비아 대통령선거에서 가르비아가 압승.
31일, 부시와 고르바초프 미·소 정상회담.
6월 10일, 페루 대통령선거에서 일본계 이민 2세인 후지모리 후보 당선.
7월 1일, 동·서독, '경제·화폐 통합' 실현, 국경검문소 완전폐쇄.
6일, 나토 16개국 정상, 소련과 동유럽국가들에 평화선언 제의 등의 '평화안'에 합의.
8월 2일, 이라크군, 쿠웨이트를 점령. 미국 내 이라크의 자산을 동결.
31일, 동·서독, 통일조약 체결.
9월 9일, 부시와 고르바초프 미·소 대통령, 헬싱키 정상회담 갖고 쿠웨이트로부터 이라크군의 완전 철수를 촉구.
10월 3일, 동·서독 통합. 수도는 베를린.
19일, 소련 최고회의, 소련을 시장경제체제로 전환시키는 대통령의 경제개혁안 승인.
11월 22일, 영국 수상 대처, 보수당의 단합과 총선승리를 위하여 수상직 사임.
25일, 폴란드에서 역사상 최초의 대통령 직접선거. 12월 9일의 2차투표에서 바웬사 당선.
12월 1일, 영국~프랑스 간 도버해협 터널 관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