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학조(學祖)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학조 (學祖)
[? ~ ?] 조선시대 전기의 불교 승려이다.
▣ 지식지도
◈ 요약정보
학조 (學祖) [? ~ ?] 조선시대 전기의 불교 승려. 양반가 출신 승려 세조가 불교에 귀의한 이래 왕실의 후원으로 받아 세조 이후 중종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불사를 관장 왕실과 가까운 관계를 이용하여 부패, 월권행위를 자행하여 사림파의 지탄을 받았으며, 군장사(窘長寺)의 주지로 있을 때는 영응대군의 과부 대방군부인 송씨와 간통하여 물의를 빚기도 했다.
◈ 지식지도
학조 (學祖) 단종 사림파 4대 사화 간경 도감 갑자사화 동·서 분당 붕당 정치 성리학 영남 학파 조의제문 사화 법주사 1498년 김종직 조선 세조 신미 강순 권람 길재 김굉필 김수온 김일손 김종서 김질 남곤 남효온 조선 단종 조선 문종 조선 세종 소헌 왕후 신숙주 안평 대군 이용 조선 연산군 유자광 이극돈 정인지 정창손 조위 한명회 홍달손 황보인 김숙자 강맹경 수미 황수신 홍윤성 훈구파 성종실록 세조실록 무오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 백과사전
[? ~ ?] 조선시대 전기의 불교 승려이다. 호는 등곡(燈谷)·황악산인(黃岳山人).
 
한성부 판관 김계권(金係權)의 맏아들이며 평양서윤 김번(金璠)의 삼촌이다. 양반가 출신 승려였으며, 세조가 불교에 귀의한 이래 왕실의 후원으로 받아 세조 이후 중종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불사를 관장하였으며, 학덕이 뛰어난 당대의 명승이었으며 웅문거필(雄文巨筆)의 문호로 칭송되었다.
 
그러나 왕실과 가까운 관계를 이용하여 부패, 월권행위를 자행하여 사림파의 지탄을 받았으며, 군장사(窘長寺)의 주지로 있을 때는 영응대군의 과부 대방군부인 송씨와 간통하여 물의를 빚기도 했다. 본관은 (신)안동이다.
 
단종의 죽음 이후 죄책감을 느끼고 불교에 귀의한 세조를 만났으며, 신미(信眉)·학열(學悅) 등과 함께 선종의 승려로서 세조의 두터운 신임을 얻었다. 이후 왕실의 법당에 출입하였으며, 설법시 왕과 왕실의 지원을 받았다.
 
1464년(세조 10년) 속리산 복천사(福泉寺)에서 임금을 모시고 신미·학열 등과 함께 대법회를 열었다. 1467년 세조의 명을 받고 금강산(金剛山)에 보내어 유점사(楡岾寺)를 중건하였다. 1468년에는 신미, 학열과 함께 설법을 하여 양반 사대부들 역시 불교에 귀의하거나 신봉하는 자가 나타났다. 그해 1월 역말(驛騎)을 받고 고성(高城)의 유점사(楡岾寺)로 파송되었으며, 그가 데리고 가는 장인(匠人) 15인에게도 또한 왕실에서 역말을 내려 주었다.
 
그해 4월 왕명을 받아 승려 학열과 함께 사신 접대를 준비하였다. 1476년 《천수경 千手經》을 언해, 교정하였으며, 1482년 정현왕후의 명으로 세종 때부터 시작되었다가 중단된 《증도가남명계송(證道歌南明繼頌)》의 명으로 번역, 완성하였다. 1488년(성종 19년) 인수대비의 명으로 해인사 중수 및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대장경판당을 중창하였다.
 
세조정희왕후의 총애를 받던 학조에 대한 추문은 사림파의 불교 비판의 주요 소재가 되었다.
 
학조가 왕실의 위세를 업고 해인사 주지를 자신의 수하로 갈아치운 사실을 기록한 것이 문제가 된 것이었다. 또한 학조가 세종의 아들인 광평대군과 영응대군의 땅과 백성들을 사취한 사실도 문제가 된 기록이었다. 이는 논란거리를 불러왔으나 왕실의 무마로 없던 일이 된다. 학조의 부패, 월권행위가 문제가 된 것은 여러 건이었고, 사림파는 이를 근거로 부패한 승려와 정계의 유착, 왕실의 비호를 물고 늘어졌다. 왕실의 압력으로 일시적으로 문제를 덮었지만, 이 문제는 다른 문제와 함께 연산군 때 가서 다시 터지게 된다.
 
영응대군 부인 송씨는 군장사란 절에 올라가 설법을 듣다가 계집종이 깊이 잠들면 학조와 사통을 했다. 무오사화 당시 이 사실도 사초에 들어 있었다.
 
세조 말년부터 관직에 진출한 사림파는 그의 활동을 못마땅하게 여겼는데, 그가 영응대군의 부인 대방군부인 송씨와 자주 접촉하다가 간통하게 되자, 평소 그를 혐오하던 김종직은 이를 비판, 조롱하였다. 이 사건은 후일 김종직의 제자들이 왕조실록에 기록함으로써 후일 무오사화의 원인을 제공한다.
 
1500년(연산군 6년) 왕비 신씨의 명으로 해인사의 대장경 3부를 간행, 인쇄하고 직접 그 발문을 지었다. 여러 부패와 이권행위 개입 등으로 물의를 빚었으나 갑자사화와 무오사화의 칼을 피해 중종 반정 때까지도 살아남았다. 그 뒤 1520년(중종 15) 왕명으로 다시 해인사 대장경 1부를 간인 하였다. 그가 국역한 불전(佛典)을 살펴 보면, 《지장경언해 地藏經諺解》가 초기에 언해된 것으로 추정되며, 수양대군에 의하여 완성된 《금강경삼가해언해(金剛經三家解諺解)》를 자성대비(慈聖大妃)의 명에 의하여 교정, 인출하였다.
 
세조때부터 중종때까지 왕과 왕실의 후원으로 무상으로 궁궐에 출입하였으나, 이권청탁과 궁녀와 하인들을 사적으로 이용하여 물의를 빚기도 했다.
 
【인용】위키백과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남명집언해 南明集諺解 종교 학조(學祖) (53)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남명천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