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광화사(狂畵師)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광화사 (狂畵師)
김동인이 지은 단편소설. 이 작품은 서술자 ‘여’가 인왕산에 올라 경성시가를 내려다보면서 조선 시대 때의 솔거라는 화공을 떠올린다는 외화와 두 번이나 결혼에 실패하고 대인기피증에 걸린 솔거와 맹인 처녀의 이야기를 내화로 삼고 있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광화사 (狂畵師) 1935 단편 소설 (短篇小說) 1955 동인 문학상 소설 (小說) 야담 (野談) 장편 소설 (長篇小說) 중편 소설 (中篇小說) 콩트 1935년 1930년 1900 김동인 (金東仁)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 1908 김유정 (金裕貞) 1907 이효석 (李孝石) 1900 현진건 (玄鎭健) 1898 방인근 (方仁根) 1860 안톤 체호프 1858 윤효정 (尹孝定) 1850 기 드 모파상 1809 에드거 앨런 포 1935 월간 야담(김동인) 1943 조선문인보국회 1926 중외일보 1919 창조 (創造) 1930 광염소나타 1944 성암의 길 1934 춘원연구 1933 운현궁의 봄 1931 젊은 그들 1925 감자 1921 배따라기
▣ 백과사전
김동인이 지은 단편소설.
 

내용

1935년 12월 자신이 창간한 잡지 『야담』에 발표하였으며, 2년간 발간된 이 잡지 전체를 놓고 보아도 유일한 소설작품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신의 추한 모습에 열등감을 가진 화가 솔거는 깊은 산 속에 은둔해 살면서 평소에 절세의 미녀를 그림으로 형상화하려는 꿈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기억에 희미하게 남아 있는 자기 어머니와 같은 미녀를 모델로 찾다가, 어느 날 우연히 맹인 처녀를 발견한다. 그녀에게 용궁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해주면서 자신이 바라던 순수한 미를 그녀의 표정을 통해 구현시키고, 그러한 모습을 화지에 그리기 시작한다.
 
그러나 눈동자만 남기고 거의 완성시킨 어느 날, 불현듯 그녀를 범하고 만다. 그 뒤로는 처녀의 순수한 미가 사라지게 되었고, 솔거는 분노하여 그녀를 교살한다. 그런 와중에 먹물이 튀어 그림에 눈동자가 찍히고, 그림 속의 미인은 원망의 표정으로 변해버린다는 이야기이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그의 「광염소나타」와 더불어 탐미주의적 경향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따라서, 정상적인 삶의 가치에 바탕을 둔 것이 아니라, 독특한 인물설정과 특이한 주제에 관심을 둔 가치인식의 경향이 노골화된 작품으로서 보편적인 가치론에 수용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솔거가 맹인처녀와 정을 통한 뒤, 순수성이 없다는 한가지 이유로 그녀를 목매어 죽이는 장면 등이 이러한 경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솔거라는 인물의 격정적이고 충동적인 성격과 비정상적인 삶의 가치에 대한 경도(傾倒), ‘눈동자’라는 결말의 작위적 장치 등과 더불어 이 소설은 김동인 특유의 극단적 예술관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편, 기법상으로도 소설의 창작과정을 그대로 노출시키면서, ‘여(余)’의 언행을 통하여 작가 우위적인 소설관을 표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김동인 문학의 특징과 한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인용】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광화사 狂畵師 근/현대 소설 김동인 (56)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창조 (3) 백과 1930년 (2) 백과 감자 (2) 백과 김동인 (2) 백과 단편 소설 (2) 백과 동인 문학상 (2) 백과 조선문인보국회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