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양승조(梁承晁)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양승조 (梁承晁)
[1959 ~ ] 대한민국의 변호사, 정치인이다. 민선 7기 충청남도지사이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1 (5 등급)
◈ “도민과 소통하는 더 좋은 공공기관 만들자”
충남도는 13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2019년도 제4차 공공기관장 간담회’를 개최했다.【기획조정실 예산담당관 - 명현정 (041-635-3150)】
충청 남도(忠淸南道) 양승조(梁承晁) # 공공기관장 간담회 # 김용찬
- 제4차 공공기관장 간담회…올해 주요 성과 공유·현안과제 토론 -
 
 
충남도는 13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2019년도 제4차 공공기관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올 한 해 추진한 성과를 공유하고, 현안과제를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했다.
 
양승조 충남지사와 김용찬 행정부지사, 실·국장, 공공기관장 등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연 이번 회의는 공공기관별 주요 성과 보고, 현안과제 토론 등의 순으로 실시했다.
 
우선 충남연구원·충남역사문화연구원·충남여성정책개발원·충남복지재단 등 4개 연구기관은 도정의 두뇌 집단으로서 △미래 정책 및 맞춤형 정책 연구 △역사문화 정책에 대한 정책 제안 등 역사문화 대중화 △여성·가족·다문화 분야 정책 발굴 등의 성과를 이뤘다.
 
이 가운데 ‘더 행복한 복지수도 충남 건설’을 목표로 지난달 공식 출범한 충남복지재단의 경우, 전략 수립 및 정책 개발 등 도의 복지정책을 선도할 계획이다.
 
충남개발공사·충남경제진흥원 등 5개 경제기관은 △‘충남형 더 행복한 주택’ 사업 추진 기반 마련 △내포신도시 종합병원 유치 △콘텐츠 기업 성장 거점 마련 △일본 수출규제 피해기업 보증지원 등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추진한 정책의 성과를 공유했다.
 
충남인재육성재단·충남청소년진흥원 등 4개 교육기관은 올해 △우수 인재 발굴을 위한 장학 사업 △충남시민대학 설립 기반 마련 △위기청소년 지원을 위한 청소년안전망 구축 △어르신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교육 확대 실시 등을 추진했다.
 
충남문화재단·충남체육회 등 4개 문화체육 기관은 △수요자 중심 프로그램 발굴을 통한 문화적 소외계층의 문화향유 기회 확대 △백제문화제 세계화 추진 △일상생활 속에서 즐길 수 있는 생활체육 활성화 △전국 최초 장애인체육회 독립지부 100% 설립 등을 진행했다.
 
아울러 천안·공주·서산·홍성 등 4개 공공의료원은 △가정형 호스피스 시범 사업 시행 △공공보건 의료사업 확대 △지역사회 건강안전망 구축 등 환자 중심의 공공병원으로서 역할과 기능을 충실히 수행해 220만 도민의 건강을 책임졌다.
 
이 자리에서 양 지사는 “여러 공공기관과 함께 노력해 올 한 해 우리 도정은 알찬 성과와 값진 결실을 맺었다”면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도정 최일선에서 손과 발이 돼주신 21개 공공기관 임직원 여러분에게 깊은 격려와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양 지사는 “저출산 극복을 위해 도가 선제 시행 중인 ‘공공기관 임직원 아이키움시간’ 제도의 차질 없는 시행과 공공기관별 보수격차 문제 개선을 당부드린다”면서 “미진한 부분은 개선하고, 성과는 계승하면서 더 좋은 공공기관을 함께 만들어 나아가자”고 덧붙였다.
 
 
첨부 :
1213_“도민과 소통하는 더 좋은 공공기관 만들자”_최종.hwp
20191213_4420.jpg
20191213_4436.jpg
20191213_4450.jpg
20191213_4584.jpg
충청 남도(忠淸南道) 양승조(梁承晁) # 공공기관장 간담회 # 김용찬
【행정】“도민과 소통하는 더 좋은 공공기관 만들자”
(게재일: 2019.12.13. (최종: 2019.12.14. 23:02))  충청남도 보도자료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