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남을진(南乙珍)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남을진 (南乙珍)
[? ~ ?] 고려후기 참지문하부사, 사천백 등을 역임한 문신. 충신. 조선이 개국된 뒤 태조가 사천백(沙川伯)에 봉하고 회유하였으나, ‘신하된 자로서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 하여 적성(積城)의 감악산(紺嶽山) 석굴에 들어가 은거하였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남을진 (南乙珍) 고려 삼은 (高麗三隱) 서원 (書院) 성리학 (性理學) 의창 (義倉) 남선굴 (南仙窟) 감악산 (紺岳山) 양주시 (楊州市) 1353 길재 (吉再) 1337 정몽주 (鄭夢周) 1320 남을번 (南乙蕃) 1482 조광조 (趙光祖) 1454 김굉필 (金宏弼) 1431 김종직 (金宗直) 1389 김숙자 (金叔滋) 1374 조용 (趙庸) 1373 윤상 (尹祥) 1354 남은 (南誾) 1352 권근 (權近) 1351 조견 (趙狷) 1351 남재 (南在) 1346 조준 (趙浚) 1337 정도전 (鄭道傳) 1328 이색 (李穡) 사천서원 단심가 (丹心歌) 야은집 (冶隱集) 포은집 (圃隱集)
▣ 백과사전
[? ~ ?] 고려후기 참지문하부사, 사천백 등을 역임한 문신. 충신.
 
본관은 의령(宜寧). 할아버지는 풍저창부사(豐儲倉副使)를 지낸 남익저(南益㫝)이며, 아버지는 지영광군사(知靈光郡事)를 지낸 남천로(南天路)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68년(공민왕 17)에 현량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거쳐 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에 이르렀다.
 
정몽주(鄭夢周)·길재(吉再)와 교유가 있었으며, 고려 말에 정치가 문란하여지자 양주(楊州)의 사천현(沙川縣) 봉황산(鳳凰山)에 은거하였다.
 
조선이 개국된 뒤 태조가 사천백(沙川伯)에 봉하고 회유하였으나, ‘신하된 자로서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 하여 적성(積城)의 감악산(紺嶽山) 석굴에 들어가 은거하였다. 죽은 뒤 그 석굴을 남선굴(南仙窟)이라 하였으며, 영조 때 사천서원에 제향되었다.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불귀혼 不歸魂 근/현대 수필 김동인 (1)
◈ 조회순
2024.09.25
【문화】 【파주옛이야기(파주문화원)】남을진의 호는 병재(丙齋) 또는 사천(沙川)이며 의령인(宜寧人)으로 지영광군사 천로(知靈光郡事天老)의 아들이요 밀직부사 군보(密直副使 君甫)의 증손이며, 조선조 개국 일등공신 남재(南在)·남은(南誾)의 숙부이다.
 
 
◈ 최근등록순
2024.09.25
【문화】 【파주옛이야기(파주문화원)】남을진의 호는 병재(丙齋) 또는 사천(沙川)이며 의령인(宜寧人)으로 지영광군사 천로(知靈光郡事天老)의 아들이요 밀직부사 군보(密直副使 君甫)의 증손이며, 조선조 개국 일등공신 남재(南在)·남은(南誾)의 숙부이다.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남은 (2) 백과 남재 (2) 백과 양주시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