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조운(曺雲)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조운 (曺雲)
[1898 ~ ?] 일제강점기때 시인 및 시조 작가. 본명은 주현(柱鉉). 전라남도 영광(靈光) 출신. 소설가 최학송(崔鶴松)은 그의 매부이다. (월북작가)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조운 (曺雲) 월북작가 독립 선언서 신경향파 학술원 한글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 1917년 1942년 1923년 1925년 이병기 최남선 최서해 김기림 김기진 박영희 안창호 양주동 염상섭 이광수 정지용 채만식 최두선 최명익 임화 박태원 홍명희 백석 김남천 오장환 이기영 권환 조명희 이용악 조선문학가동맹 조선광문회 소년 조선어 학회 진단 학회 청년 학우회 청춘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한글 학회 신문관 조운시조집 시조유취 조선어 학회 사건 이병기 선생 생가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병우 조운 病友 曹雲 근/현대 수필 최서해 (14)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1924년 (2) 백과 양주동 (2) 백과 염상섭 (2) 백과 이광수 (2) 백과 이은상 (2) 백과 주요한 (2) 백과
▣ 백과사전
[1898 ~ ?] 일제강점기때 시인 및 시조 작가. 본명은 주현(柱鉉). 전라남도 영광(靈光) 출신. 소설가 최학송(崔鶴松)은 그의 매부이다. (월북작가)
 
 

생애 및 활동사항

1921년 《동아일보》에 첫 작품 「불살너주오」를 발표하였다, 그뒤 1924년부터 《조선문단》에 「초승달이 재 넘을 때」를 위시하여 많은 시조작품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문단에 등단하였다.
 
1923년 영광중학교 교사로 부임하여 미술과 작문과목을 가르쳤으며, 8·15광복이 되자 조선문학가동맹 시분과에 소속되어 활동하다가 6·25를 전후해서 월북하였다.
 
작품집으로는 1947년 5월 조선사(朝鮮社)에서 간행된 《조운시조집(曺雲時調集)》이 있다. 그는 1920년대 중반부터 국민문학파를 중심으로 일어난 시조부흥운동에 참여하였던 시조작가로, 최남선(崔南善) 이후 이병기(李秉岐)와 함께 시조부흥운동의 후반기에 활약하였다.
 
그는 월북하기 전까지 줄곧 향리 영광에 살면서 중앙문단과 폭넓은 교분을 가지고 작품활동을 하였다. 그의 시작세계의 일관된 주제가 민족주의적인 이상과 연결되어 있음은 그가 시조에만 전념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시조에는 ‘조선혼(朝鮮魂)’이 깃들여 있다는 그의 주장과 초기작품에 빈번히 등장하는 ‘님’의 함의성(含意性), 곧 우리 언어가 가지는 민족적 감정이 수렴되어 있는 것이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각 고을에서 현물로 받아들인 조세를 서울로 운반하던 운수 조직. 고려 시대부터 제도화하여 고려말에는 왜구의 침입으로 한때 마비되기도 했으나, 조선 시대에까지 이어졌다.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