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들병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들병이
일반적으로 남편이 있지만 가난 때문에 매춘을 하는 여성을 지칭한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들병이 소나기 춘천시 1935년 김유정 따라지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산골나그네 근/현대 소설 김유정 (179) 소낙비 근/현대 소설 김유정 (171) 안해 근/현대 소설 김유정 (128) 조선의 집시-들병이 철학 근/현대 수필 김유정 (59) 가을 근/현대 소설 김유정 (29) 총각과 맹꽁이 근/현대 소설 김유정 (28) 근/현대 소설 김유정 (17)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김유정 (7) 백과 소설 (6) 백과 1935년 (4) 백과 1933년 (2) 백과 매일 신보 (2) 백과
▣ 백과사전
일반적으로 남편이 있지만 가난 때문에 매춘을 하는 여성을 지칭한다.
 

설명

이 용어는 술을 파는 들병장수에서 파생됐다. 들병장수는 술병을 들고 다니면 술을 파는 상인으로 딱히 성별이나 매춘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 않다. 김유정 소설에 가난 때문에 성매매를 목적으로 술 파는 농민이 아내(여성)을 지칭해서 사용하는 들병이라는 용어가 나타나면서 쓰이게됐다. 하지만 김유정 소설처럼 성매매를 목적으로 술을 파는 경우가 언제부터 존재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때문에 여기서 지칭하는 들병이는 김유정 소설과 소설 속 몰학한 농촌, 일제강점기, 자본주의 정착의 상황만 관련된 용어이다.
 

문학

유정의 문학을 ‘들병이 문학’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김유정에게 특화된 모티프라 할 수 있다. 김유정이 그리고 있는 소설적 인물들이 일제식민시기에 억압을 받고 있는 존재들이라면, 이 중에서도 특히 여성인물들은 여기에 더해 가부장적 폭력에 노출된 존재들로, 사회적으로 가장 밑바닥의 자리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으며, 그런 점에서 ‘들병이’는 근대식민자본주의와 가부장적 폭력이 구체적으로 물화된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낮에는 마치 없는 것인 양 구석진 곳에 숨어 있다가 일상인 노동이 끝난 밤의 시간에만 화려하게 나타나는 도시의 매춘부와 달리 김유정 소설의 ‘들병이’ 는 일상인 삶의 공간에 깊숙하게 침투해있다. 매춘부가 사회로부터 배척되고 내몰려있는 반면, 김유정 소설에서 ‘들병이’는 정숙해야 하는 가족 구성원으로서 의 아내와 육체를 는 매춘부를 구분불가능하게 만드는 존재인 셈이다. 「총각과 맹꽁이」, 「솟」, 「산ㅅ골 나그내」는 들병이를 아내로 받아들이려고 하는 이야기이고, 「가을」, 「안해」, 「소낙비」는 반로 아내를 들병이로 만들려는 이야기이다
 
【인용】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