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신경유(申景裕)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신경유 (申景裕)
[1581 ~ 1633] 조선시대 황해도병마사, 전라도병마사 등을 역임한 무신.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신경유 (申景裕) 1581 공서 (功西) 청서 (淸西) 1575 서인 (西人) 1674 예송 논쟁 (禮訟論爭) 1627 정묘호란 (丁卯胡亂) 1624 진무 공신 (振武功臣) 1591 남인 (南人) 노론 (老論) 북인 (北人) 사색 당파 (四色黨派) 소론 (少論) 여진족 (女眞族) 정사 공신 (靖社功臣) 대북파 (大北派) 1575 동·서 분당 (東西分黨) 1575 동인 (東人) 1623년 1680년 1624년 1583년 1575년 1590 신경인 (申景禋) 1587 심기원 (沈器遠) 1575 신경진 (申景禛) 1546 신립 (申砬) 1623 인조 (仁祖) 1608 광해군 (光海君) 1607 송시열 (宋時烈) 1606 송준길 (宋浚吉) 1606 영창 대군 (永昌大君) 1601 김자점 (金自點) 1587 이괄 (李适) 1586 최명길 (崔鳴吉) 1584 인목 왕후 (仁穆王后) 1580 이서 (李曙) 1574 김집 (金集) 1574 임해군 (臨海君) 1571 김류 (金瑬) 1570 김상헌 (金尙憲) 1569 권필 (權韠) 1566 신흠 (申欽) 1560 이이첨 (李爾瞻) 1557 이귀 (李貴) 1548 김장생 (金長生) 1548 김여물 (金汝岉) 1536 정철 (鄭澈) 1535 심의겸 (沈義謙) 1535 정인홍 (鄭仁弘) 1533 윤두수 (尹斗壽) 1523 박순 (朴淳) 1624 이괄의 난 (李适--亂) 1623 인조 반정 (仁祖反正) 1636 병자호란 (丙子胡亂) 1592 탄금대 전투 (중복) 정사공신
▣ 백과사전
[1581 ~ 1633] 조선시대 황해도병마사, 전라도병마사 등을 역임한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자관(子寬). 기묘명신 신상(申鏛)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생원 신화국(申華國)이다. 아버지는 도순변사(都巡邊使) 신립(申砬)이며, 영의정 신경진(申景禛)의 동생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3년(선조 36) 정시 무과에 장원급제,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과 부사를 역임하였다. 광해군 말년 형 신경진과 함께 왕을 축출하려는 모의에 가담하였다.
 
1623년 반정 당일에 동생 신경인(申景禋)과 함께 수하의 군졸을 이끌고 능양군(綾陽君: 뒤의 인조)의 호위부대에 합류, 그 선봉장으로서 제일 먼저 창의문(彰義門)에 돌입하였다. 반정 후 경기수사로 발탁되었다.
 
광해군 때의 권신들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매부인 이대엽(李大燁: 李爾瞻의 아들)의 구명운동을 벌이다가 공을 믿고 국법을 무시한다는 승정원과 양사의 탄핵을 받았다.
 
특히 승지와 사관(史官)이 자리를 비운 틈을 타 임금에게 사정(私情)을 말한 비례(非禮)는 전례 없는 일로서, 공신 발호의 조짐이라 하여 양사에서 죄주기를 청했으나 왕의 비호로 끝내 무사하였다.
 
인조 1년 윤10월의 논공행상 때 동생 신경인과 함께 정사공신(靖社功臣) 2등에 녹훈되고, 동평군(東平君)에 책봉되었다.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이 발생하여 왕이 공주로 피난하자, 심기원(沈器遠)과 함께 특별히 호위대장에 발탁되었다. 그러나 얼마 뒤 지나치게 사치한 집을 지은 일로 인해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면되었다.
 
그 뒤 다시 황해도병마사가 되었으나 부임한 지 반 년도 지나지 않아 부정이 탄로나 역시 파직되었다. 1627년(인조 5) 강원도 횡성에서 이인거(李仁居)의 반란이 발생하자 호위대장에 다시 특채되었다. 그 뒤 충청도 및 전라도병마사로 전보되었지만, 직권남용과 사리의 도모로 인해 모두 쫓겨났다.
 
1633년 후금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북방경계강화책의 일환으로 도원수 김시양(金時讓)의 중군으로 특채되었다. 그러나 뇌물을 받고 일부 군관을 남방편읍(南方便邑)으로 빼돌린 사실이 적발되어 금고에 처해지고, 이후 관직에는 나가지 못하였다.
 
형 · 아우와 함께 3형제가 모두 무예에 능하고 뛰어난 데다 인조의 인척으로서 반정 원훈(元勳)이 되어 왕의 총애를 받았으나, 방자한 행동과 과도한 탐욕때문에 청서파(淸西派)로부터 잦은 탄핵을 받았다. 1834년(순조 34) 후손의 요청으로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경의(景毅)이다.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김류 (4) 백과 신립 (4) 백과 공서 (3) 백과 신경인 (3) 백과 신경진 (3) 백과 이귀 (3) 백과 구인후 (2) 김자점 (2) 백과 서인 (2) 백과 심기원 (2) 백과 이괄의 난 (2) 백과 이서 (2) 백과 인조 반정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형제 : 신경진, 신경유, 신경인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