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심하전투(深河戰鬪)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심하전투 (深河戰鬪)
1619년(광해군 11) 3월 누르하치(奴兒合赤)를 정벌하기 위해 출병한 명과 조선의 연합군이 후금군에게 패한 사건을 이른다. 심하전투는 심하 전역(深河之役) , 기미년 전역(己未之役) , 혹은 기미년의 심하 전역(己未深河之役)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지식지도 관계
심하전투 (深河戰鬪) 1619 건주여진 여진족 (女眞族) 야인여진 해서여진 1627 정묘호란 (丁卯胡亂) 1368 (明) 1616 후금 (後金) 1619년 1620년 1626년 1616년 1618년 1636 (淸) 1558 유정 (劉挺) 1560 강홍립 (姜弘立) 1564 김경서 (金景瑞) 1579 양호 (楊鎬) 1580 김응하 (金應河) 1616 누르하치 1212 김방경 (金方慶) 1331 이지란 (李之蘭) 1442 이만주 (李滿住) 1537 권율 (權慄) 1542 계월향 (桂月香) 1543 강신 (姜紳) 1544 유정 (惟政) 1626 청 태종 (太宗) 1643 순치제 (順治帝)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597 정유재란 (丁酉再亂) 1598 울산성 전투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김영철전 金英哲傳 고전 소설 (76)
◈ 조회순
2025.06.25
【열하일기 10】명, 원병 요청해 강홍립 도원수 1만 3천명 파병...부차전투에서 명군 1만명과 조선군 8천명 몰살
【문화】 후금 홍타이지의 조선 침략 《열하일기》 답사를 떠나기 전에 조선과 명, 청에 대한 외교사, 전쟁사를 공부했다. 열하일기 답사를 떠나기 전에 조선과 명, 청에 대한 외교사, 전쟁사를 공부했다. 여진족을 통일한 누르하치는 1616년에 황제가 되어 국호를 금(金)이라 정하였다. 명나라는 광해군 10년(1618)에 요동을 침범한 후금을 토벌할 때 조선에 원병을 요청했다.
 
 
◈ 최근등록순
2025.06.25
【열하일기 10】명, 원병 요청해 강홍립 도원수 1만 3천명 파병...부차전투에서 명군 1만명과 조선군 8천명 몰살
【문화】 후금 홍타이지의 조선 침략 《열하일기》 답사를 떠나기 전에 조선과 명, 청에 대한 외교사, 전쟁사를 공부했다. 열하일기 답사를 떠나기 전에 조선과 명, 청에 대한 외교사, 전쟁사를 공부했다. 여진족을 통일한 누르하치는 1616년에 황제가 되어 국호를 금(金)이라 정하였다. 명나라는 광해군 10년(1618)에 요동을 침범한 후금을 토벌할 때 조선에 원병을 요청했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1618년 (3) 백과 정유재란 (3) 백과 강홍립 (2) 백과 고대 소설 (2) 백과 김경서 (2) 백과 병자호란 (2) 백과 임진왜란 (2) 백과 홍세태 (2) 백과
◈ 참조 키워드
강홍립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참전 :
김응하 (조선)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