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가야본성-칼과현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가야본성-칼과현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국립중앙박물관]2020년 2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프로그램 소개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21:00까지)에 큐레이터의 상세한 전시품 해설과 관람객과의 질의응답으로 구성된 참여형 프로그램“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고고역사부】
국립 중앙 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 가야본성-칼과 현 # 큐레이터와의 대화
특별전 “가야본성-칼(劒)과 현絃” ‧ “인간, 물질 그리고 변형-핀란드 디자인 10 000년”
큐레이터와의 대화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2020년 2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프로그램 소개-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21:00까지)에 큐레이터의 상세한 전시품 해설과 관람객과의 질의응답으로 구성된 참여형 프로그램“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2020년 2월 큐레이터와의 대화에서는 특별전 <가야본성-칼과 현>과 <인간, 물질, 그리고 변형 - 핀란드 디자인 10 000년>의 전시 설명회가 열린다. <가야본성-칼과 현>에는 ‘말 탄 사람 모양 토기’, ‘합천 옥전 고분 출토 로만글라스’, ‘용과 봉황이 새겨진 칼’ 등을 비롯하여 가야의 주요 문화재 1,000여 점이 선보인다. <인간, 물질, 그리고 변형 - 핀란드 디자인 10 000년>에서는 빙하기 이후 1만 년에 이르는 시간 동안 핀란드 지역에서 살아간 사람들이 썼던 수많은 물건들을 살필 수 있다. 새롭게 다가오는 가야의 얼굴과 낯설면서도 익숙한 북유럽의 디자인을 확인할 수 있는 두 전시 설명회에 많은 참여를 부탁드린다.
 
  아울러 상설전시관에서는‘기증자들의 피 땀 눈물’(2.5.),‘이집트인들의 삶, 죽음, 부활의 이야기’(2.12.),‘서산 보원사지 철불’(2.26.) 등 다양한 시대와 장르의 전시품에 대한 설명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들을 수 있다.
 
※ 박물관 사정에 따라 진행자 및 주제, 장소 변경 가능 (세부일정 붙임 파일 참조)
 
 
 관람객과 박물관의 소통 공간이기도 한 “큐레이터와의 대화”는 별도의 예약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단체(20명 이상) 관람객의 편의를 위해 셔틀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사전에 예약하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큐레이터와의 대화”관련 자료는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관람정보-전시해설-큐레이터와의 대화”자료실에서 e-book, PDF 형태로 제공한다.
 
■ 국립중앙박물관 야간개장 “큐레이터와의 대화” 프로그램 운영
○ 일시: 매주 수요일 18:00~18:30 / 19:00~19:30
※ 공휴일이 수요일인 경우에는 “큐레이터와의 대화” 없음
○ 참여방법: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현장에서 참여 가능(정원 제한 없음)
○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선사·고대관, 중·근세관, 기증관, 서화관, 조각·공예관, 아시아관, 특별전시실,  테마전시실] 및 기획전시실과 야외 전시장
○ 관람료: 상설전시관(무료), 단 기획전시와 특별전시는 관람료 별도
○ 셔틀버스 운영: 단체 20명 이상(편도), 무료, 버스예약(02-2077-9040)
 
 
※ 국립중앙박물관 관람시간

요일

시간

금요일

10:00 - 18:00

토요일

10:00 - 21:00

일요일공휴일

10:00 - 19:00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www.museum.go.kr)
 

 
※ 원문보기
국립 중앙 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 가야본성-칼과 현 # 큐레이터와의 대화
【문화】[국립중앙박물관]2020년 2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프로그램 소개
(게재일: 2020.02.03. (최종: 2020.02.04. 10:58))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키워드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