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독립운동가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독립운동가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2018년 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김규면 (金圭冕, 1880. 3. 12.~1969. 2. 2.) 선생을 2018년 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공훈관리과 - 이광현 (044-202-5771)】
국가 보훈처(國家報勳處) 독립 기념관(獨立記念館) # 광복회 # 김규면 # 독립운동가
 
중국과 러시아를 누비며 무장투쟁 한 대한신민단 단장
2018년 2월의 독립운동가로 김규면 선생 선정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김규면 (金圭冕, 1880. 3. 12.~1969. 2. 2.) 선생을 2018년 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1880년 함경북도 경흥에서 태어난 선생은 시대의 전환기인 20세기 초 대한제국이 운영하는 육군무관학교 속성과에 입학했다. 1904년 일본은 강제로 체결한 한일의정서에 근거하여 육군무관학교를 통제했다.
 
무관이 되어 조국 부강을 염원했던 선생의 꿈은 일제에 의해 좌절되고 말았다.
 
○1907년 훈춘(琿春)으로 망명한 선생은 민족종교 단체인 대한성리교(大韓聖理敎)를 만들었다. 조선총독부가 1915년에 포교규칙(布敎規則)을 공포하자, 이에 반발하며 항일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만들었던 것이다.
 
○스스로 무관이 되지는 못했지만, 청년들을 독립전사로 양성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대표적인 것으로 1914년 이동휘와 함께 중국에서 설립한 동림무관학교를 들 수 있다.
 
○독립전쟁을 통해서 독립을 달성하려는 선생의 노력은 대한신민단(大韓新民團) 결성으로 이어졌다.
 
3·1운동에 호응하여 결성된 대한신민단에서 단장으로 활동했으며, 여기서 보여준 그의 헌신은 1920년 봉오동과 청산리에서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되었다.
 
○ 1924년 윤자영과 함께 상해에서 조직한 상해청년동맹(上海靑年同盟)을 통해서 중국 학생계와 연대를 구축하고자 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피습을 당하여 부상을 입게 되었다.
 
○중국에서 독립운동 활동 전개에 한계를 절감한 선생은 연해주로 갔다. 1933년 빨찌산위원회에서 항일운동을 하였지만, 소비에트 연해주위원회의 탄압대상이 되었다.
 
모스크바로 피신한 후 더 이상의 독립운동을 전개할 수가 없었다. 선생은 러시아에서 해방을 맞이하고 귀국을 하지 못한 채 1969년 88세의 일기로 별세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2년 김규면 선생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했다.
 
 
첨부 :
180130_2018년_2월의_독립운동가 보도자료(김규면).hwp
 

 
※ 원문보기
국가 보훈처(國家報勳處) 독립 기념관(獨立記念館) # 광복회 # 김규면 # 독립운동가
2018년 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게재일: 2018.01.30. (최종: 2019.11.05. 18:31))  국가보훈처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키워드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