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바위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바위
◈ 조회순
2024.10.24
【문화】 용감한 총각이 깊은 산골을 넘어 가다가 해가 져서 잘 곳을 찾게 되었다. 그런데 잘 만한 곳이 쉽게 보이지 않았다. 산 속을 한참이나 헤매다가 어떤 집에 당도하게 되었다. 마침 처녀가 혼자 집을 지키고 있었다. 하룻밤 재워달라는 청에 곤란한 표정을 짓고 거절하는 처녀에게 총각은 간곡하게 사정하였다.“제발 부탁 드려요.”“하지만 안 되요.”“왜죠?” 여자는 슬픈 표정을 지으며 말하였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 어느 마을에 ‘화냥 바위’라고 있는데, 그것은 서로 맞보고 서 있는 두 개의 바위였다. ‘화냥 바위’ 때문에 그 마을에 화냥이 난다고 생각한 사람들은, 그 바위 밑에서 제단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사람들이 믿는 우스운 이야기가 있다. 만일 마을에서 백서방네 집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화냥 바위’에다 ‘백서방네’라고 말을 하며 돌을 던진다. 그러면 ‘백서방네 부인이 화냥이 났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관광】 옛날 운악산 밑에 ‘아들바위’와 ‘딸바위’가 있었다. 하나는 집채만한 큰 바위이고, 다른 하나는 조그만 바위였다. 동네 아낙네들이 나무를 하고 오다가, 돌 하나를 던져서 ‘아들바위에 앉으면 아들을 낳고, 딸바위에 앉으면 딸을 낳는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어떤 마을 가운데에 큰 바위가 있었다. 사람들은 이 바위를 ‘송이바위’라고 불렀다. 그 바위의 모양은 한쪽에서 보면 송이버섯 모양이고, 다른 쪽에서 보면 아무 모양도 아니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송이버섯처럼 보이는 쪽 마을은 윤택하게 살았는데, 아무 모양도 아닌 것처럼 보이는 마을은 윤택하지 못하게 살았다.(完)【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어떤 마을에 ‘자라바위’가 두 개 있는데, 하나는 크고 다른 하나는 조금 작았다. 사람들은 큰 것을 수자라, 작은 것을 암자라로 불렀다. 그 마을 사람들은 다른 지방의 사람들이 그 마을의 돌을 캐 가는 것을 자라 새끼를 가져가는 것이라 해서 못 캐가게 했다. 그 마을 이름은 자라 별(鼈), 고을 동(洞)자를 써서 ‘별동(鼈洞)’이라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에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살았다. 하루는 할머니가 물을 뜨러 갔는데 돌아올 시간이 되어도 집에 오지 않았다. 할아버지가 이상히 여겨 나가 보니, 커다란 지네가 바위 밑의 올라오는 길에서 할머니를 물려고 하는 것이었다. 그 때 하늘에서 천둥번개가 치더니 벼락이 바위를 쳤다. 결국 지네는 바위에 깔려 죽었고 할머니는 살아났다고 한다. 그래서 이 바위를 ‘벼락바위’라 불렀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관광】 어느 마을에 꼭두바위가 있었다. 그 모양이 옛날 시집갈 때 여자들이 머리에 쓰는 족두리 같았다. 그러나 양놈들이 꼭두바위에 쇠사슬로 만든 줄을 걸어 잡아 당겨서 개울에 빠뜨린 후에는 모양이 변하게 되었다. 그 후부터 그 마을을 지나갈 때, 그 개울에 대고 ‘엄마’하고 소리를 치면, 산의 메아리처럼 개울에서 ‘엄마’하고 소리가 되돌아 왔다【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 애기산 봉우리에 한 엄마가 애기를 업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장수가 그 애기 엄마가 힘이 장사라는 소문을 듣고 와서 얼마나 힘이 센지 보려고 밀었다. 애기는 떨어지고 애기 엄마만 바위 끝에 서 있게 되었다. 한이 맺힌 애기 엄마는 그 자리에 앉아 돌이 되었다. 이것이 ‘애기봉’이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최근등록순
2024.10.24
【관광】 옛날 운악산 밑에 ‘아들바위’와 ‘딸바위’가 있었다. 하나는 집채만한 큰 바위이고, 다른 하나는 조그만 바위였다. 동네 아낙네들이 나무를 하고 오다가, 돌 하나를 던져서 ‘아들바위에 앉으면 아들을 낳고, 딸바위에 앉으면 딸을 낳는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 부왕제 때의 일이다. 그 당시 오랑캐가 조선에 쳐들어 왔는데, 한 오랑캐가 여염집 규수를 범하려고 따라오니 그 규수가 허겁지겁 피해 달아나다 절벽에 이르렀다. 규수는 오랑캐를 피하기 위해 그 절벽에서 치마를 뒤집어쓰고 뛰어내렸다. 그 이후 처녀가 뛰어내려 죽은 그 바위를 ‘낭자바위’ 혹은 ‘낭바위’라고 불렀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 어느 마을에 ‘화냥 바위’라고 있는데, 그것은 서로 맞보고 서 있는 두 개의 바위였다. ‘화냥 바위’ 때문에 그 마을에 화냥이 난다고 생각한 사람들은, 그 바위 밑에서 제단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사람들이 믿는 우스운 이야기가 있다. 만일 마을에서 백서방네 집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화냥 바위’에다 ‘백서방네’라고 말을 하며 돌을 던진다. 그러면 ‘백서방네 부인이 화냥이 났다’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부터 봉우리에 바위 하나가 우뚝 솟아 있었는데, 병풍모양이어서 사람들은 그 바위를 ‘병풍바위’라고 했다. 지금은 병풍모양 바위만 남아 있는데, 그 곳에 얽혀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가 있다. 옛날에 개 두 마리가 살고 있었다. 그런데 중국사람이 우리 나라에 들어와서 개 한 마리를 임진강에 데려가서 빠뜨려 죽였다. 중국인이 그 개를 왜 빠뜨렸는지는 아무도 모른다.【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 애기산 봉우리에 한 엄마가 애기를 업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 장수가 그 애기 엄마가 힘이 장사라는 소문을 듣고 와서 얼마나 힘이 센지 보려고 밀었다. 애기는 떨어지고 애기 엄마만 바위 끝에 서 있게 되었다. 한이 맺힌 애기 엄마는 그 자리에 앉아 돌이 되었다. 이것이 ‘애기봉’이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용감한 총각이 깊은 산골을 넘어 가다가 해가 져서 잘 곳을 찾게 되었다. 그런데 잘 만한 곳이 쉽게 보이지 않았다. 산 속을 한참이나 헤매다가 어떤 집에 당도하게 되었다. 마침 처녀가 혼자 집을 지키고 있었다. 하룻밤 재워달라는 청에 곤란한 표정을 짓고 거절하는 처녀에게 총각은 간곡하게 사정하였다.“제발 부탁 드려요.”“하지만 안 되요.”“왜죠?” 여자는 슬픈 표정을 지으며 말하였다.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관광】 어느 마을에 꼭두바위가 있었다. 그 모양이 옛날 시집갈 때 여자들이 머리에 쓰는 족두리 같았다. 그러나 양놈들이 꼭두바위에 쇠사슬로 만든 줄을 걸어 잡아 당겨서 개울에 빠뜨린 후에는 모양이 변하게 되었다. 그 후부터 그 마을을 지나갈 때, 그 개울에 대고 ‘엄마’하고 소리를 치면, 산의 메아리처럼 개울에서 ‘엄마’하고 소리가 되돌아 왔다【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옛날에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살았다. 하루는 할머니가 물을 뜨러 갔는데 돌아올 시간이 되어도 집에 오지 않았다. 할아버지가 이상히 여겨 나가 보니, 커다란 지네가 바위 밑의 올라오는 길에서 할머니를 물려고 하는 것이었다. 그 때 하늘에서 천둥번개가 치더니 벼락이 바위를 쳤다. 결국 지네는 바위에 깔려 죽었고 할머니는 살아났다고 한다. 그래서 이 바위를 ‘벼락바위’라 불렀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어떤 마을에 ‘자라바위’가 두 개 있는데, 하나는 크고 다른 하나는 조금 작았다. 사람들은 큰 것을 수자라, 작은 것을 암자라로 불렀다. 그 마을 사람들은 다른 지방의 사람들이 그 마을의 돌을 캐 가는 것을 자라 새끼를 가져가는 것이라 해서 못 캐가게 했다. 그 마을 이름은 자라 별(鼈), 고을 동(洞)자를 써서 ‘별동(鼈洞)’이라고 한다.(完) 【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2024.10.24
【문화】 어떤 마을 가운데에 큰 바위가 있었다. 사람들은 이 바위를 ‘송이바위’라고 불렀다. 그 바위의 모양은 한쪽에서 보면 송이버섯 모양이고, 다른 쪽에서 보면 아무 모양도 아니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송이버섯처럼 보이는 쪽 마을은 윤택하게 살았는데, 아무 모양도 아닌 것처럼 보이는 마을은 윤택하지 못하게 살았다.(完)【인용】포천의 설화(포천문화원)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설화 (10) 백과 포천시 (10) 백과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키워드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