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국립 고궁 박물관(國立古宮博物館)
국립 고궁 박물관
자 료 실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2024년 4월
2024년 4월 4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4년 3월
2024년 3월 29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4년 1월
2024년 1월 25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11월
2023년 11월 13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11월 1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10월
2023년 10월 13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10월 4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9월
2023년 9월 15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9월 6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국영문 동시배포) 고려의 빛 담은 나전칠기, 800년 베일 벗고 돌아오다
2023년 8월
2023년 8월 17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2년 8월
2022년 8월 29일
문화재·역사·전
2020년 6월
2020년 6월 29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6월 25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6월 22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6월 15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6월 12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5월
2020년 5월 29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5월 21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5월 20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5월 13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5월 6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5월 1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4월
2020년 4월 20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4월 6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3월
2020년 3월 18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3월 4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2월
2020년 2월 24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2월 19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2월 4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1월
2020년 1월 13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12월
2019년 12월 19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12월 10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11월
2019년 11월 20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11월 7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10월
2019년 10월 18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10월 17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10월 14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10월 7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4월
2019년 4월 17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about 국립 고궁 박물관


내서재
추천 : 0
문화재청 국립 고궁 박물관(國立古宮博物館) 나전 칠기(螺鈿漆器) 종로구(鍾路區) #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최근 3개월 조회수 : 0 (0 등급)
【문화】
(게재일: 2023.09.06. (최종: 2023.09.06. 10:41)) 
◈ (국영문 동시배포) 고려의 빛 담은 나전칠기, 800년 베일 벗고 돌아오다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9월 6일 오전 10시 30분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 이하 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환수한 고려 나전칠기《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를 언론에 최초 공개한다.【국제협력과】
고려 나전칠기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건 등 전 세계 20건에도 못 미쳐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13세기 고려 나전 최초 공개(9.6.)
45,000여 개의 자개를 일일이 붙여 꽃과 잎 문양을 정교하게 묘사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9월 6일 오전 10시 30분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 이하 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환수한 고려 나전칠기《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를 언론에 최초 공개한다.
※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고려시대 / 목재, 나전, 금속) : 크기(폭 33.0 x 18.5cm), 높이(19.4cm)
 
이번에 환수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일본 개인 소장가의 창고에서 100여 년 이상 보관되어 최근까지 일본에서조차 그 존재가 알려져 있지 않았던 유물로, 지난해 7월 재단의 일본 현지 협력망(네트워크)을 통해 최초로 확인되었다. 이후 문화재청과 재단은 1년여 간의 치밀한 조사와 협상 끝에 지난 7월 마침내 환수에 성공했다.
 
현존하는 고려 나전칠기가 전 세계 20건에도 못 미치고, 그 대부분이 외국에 있는 상황에서 이번에 환수한《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의 문양과 보존상태가 고려나전을 대표할 만큼 뛰어날 뿐만 아니라 그동안 학계에 전혀 알려지지 않은 유물을 발굴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매우 크다.
 
나전칠기는 자개로 무늬를 장식하고 칠을 한 공예품이다. 목재, 옻칠, 자개, 금속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며, 작게 오려낸 자개를 일일이 붙여 꽃과 잎의 문양을 장식하는 등 고도의 정교함과 복잡한 제작과정을 거쳐 완성되기 때문에 ‘공예 기술의 집약체’ 라고도 일컬어진다.
* 자개: 전복, 소라, 조개와 같은 패류(貝類)의 껍데기를 갈아 얇게 가공한 것
 
특히, 고려의 나전칠기는 청자, 불화와 함께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최고의 미술공예품으로 손꼽혀 왔다. 12세기 고려에 사신으로 왔던 송나라의 서긍(徐兢)은 <고려도경(高麗圖經)>에 “나전 솜씨가 세밀하여 가히 귀하다(螺鈿之工 細密可貴)”라고 기록했으며, <고려사(高麗史)>에도 이미 11세기에 고려 조정이 송(宋), 요(遼) 등 외국에 보내는 선물 품목에 나전칠기가 있었다는 기록이 전해지는 것으로 볼 때 당시 주변국에서 매우 인기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 고려도경(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1123년(인종 1) 고려 중기 송나라 사절로 고려에 왔던 서긍(徐兢)이 지은 책으로 당시 고려의 문물과 풍속 등을 기록한 자료
** 고려사(高麗史): 고려시대 전반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여 편찬한 역사서
 
이번에 환수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13세기 작품으로 추정되며, 고려 나전칠기의 진수를 보여주는 유물이다.
▲ 먼저 문양을 살펴보면, 고려 나전칠기의 대표적인 문양인 국화넝쿨무늬, 모란넝쿨무늬, 연주(連珠)무늬가 고루 사용되었다. 전체 면에 자개로 약 770개의 국화넝쿨무늬를 장식하고, 천판(뚜껑 윗면) 테두리의 좁은 면에는 약 30개의 모란넝쿨무늬를 배치했으며, 외곽에는 약 1,670개의 연주무늬가 촘촘히 둘러져 있는 등 사용된 자개의 수가 약 4만 5,000개에 달한다.
* 연주(連珠)무늬: 점이나 작은 원을 구슬을 꿰맨 듯 연결하여 만든 무늬
또한 ▲ C자형 금속선으로 국화꽃무늬를 감싸고 있는 넝쿨줄기를 표현했고, 두 선을 꼰 금속선으로 외곽 경계선을 표현했다. ▲ 국화꽃무늬는 중심원이 약 1.7mm이며, 꽃잎 하나의 크기는 약 2.5mm에 불과한데, 꽃잎 하나하나에 음각으로 선을 새겨 세부를 정교하게 묘사했다.
이처럼 자개로 국화 또는 모란무늬를 기물 전면에 빼곡하고 규칙적으로 배치한 점, 단선의 금속선으로 넝쿨 줄기를 묘사한 점, 매우 작게 오려낸 자개에 음각의 선을 그어 세부를 표현한 점 등은 고려 나전칠기 중에서도 최고의 작품성을 보여주고 있다.
* 음각(陰刻): 조각에서 평평한 면에 글자나 그림 따위를 안으로 들어가게 새기는 일
 
특히, 나전 본래의 무지개 빛깔과 광택이 살아있어 오색의 영롱함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나전과 금속선 등 장식 재료의 보존상태도 현재까지 알려진 고려나전 중에서도 매우 탁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또한 이번 환수 과정에서 주목할 부분은 매입 전에 유물을 국내로 들여와 고려 나전칠기의 제작기법, 재료 등을 정확하게 분석하여 밝혀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지난 5월 국립고궁박물관에서 X선 촬영 등 과학적 조사를 통하여 정밀분석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 목재에 직물을 입히고 칠을 한 목심저피칠기(木心苧被漆器)로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칠기 제작기법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에 환수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국립고궁박물관의 체계적인 보관 아래 향후 우리나라 나전칠기의 전통 기술 복원을 위한 연구와 국민들의 문화유산 향유 확대를 위한 전시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과 재단은 앞으로도 적극 행정과 현지 협력망 강화 등을 통해 국외 소재 중요 한국 문화유산의 발굴과 환수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이번 문화유산 환수는 복권기금으로 추진되었다.
 
On September 6, 2023 at 10:30 a.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Administrator: Choi Eung-Chon) will unveil to the press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located in Jongno-gu, Seoul) the Lacquered Box with Inlaid Mother-of-pearl Chrysanthemum and Scroll Design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box was recently returned from Japan through the efforts of the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OKCHF; Chair: Kim Jung-hee).
 
Lacquered Box with Inlaid Mother-of-pearl Chrysanthemum and Scroll Design – Goryeo Dynasty / wood, mother-of-pearl, metal
Dimensions: L. 33.0, W. 18.5cm, H. 19.4cm
 
The returned item had been held in storage in Japan by a private collector for more than 100 years. Its existence was mainly unknown until recently, even in Japan. The OKCHF was alerted to the item last July through its local Japanese network. Following several rounds of thorough surveys and negotiations, the CHA and the OKCHF finally succeeded in repatriating the item this past July after more than a year of strenuous effort.
 
The piece is highly significant since there are less than twenty surviving examples of Goryeo-era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and most of them are currently housed abroad. Moreover, it is a superb example of the type in terms of its exquisite decorative designs and excellent preservation condition. Beyond its successful repatriation, the item is particularly notable as a discovery that had been completely unknown to the academic community.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refers to craft objects that are coated with lacquer and ornamented with patterns made from mother-of-pearl.* It employs a range of materials including wood, lacquer, mother-of-pearl, and metal. It is considered an integration of various craft techniques created through a complex sophisticated production process that involves cutting mother-of-pearl into tiny pieces and gluing them individually to the backing to create patterns such as flowers and leaves.
 
*Mother-of-pearl: Shells of mollusks such as abalone, conch, and clams, typically cut and processed into thin plates
 
In particular, the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of the Goryeo era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dynasty’s finest aesthetic accomplishments along with celadon and Buddhist paintings. Xu Jing, an envoy to Goryeo Korea from Song China during the twelfth century, noted in his Xuanhe fengshi Gaoli tujing (Illustrated Record of the Chinese Embassy to the Goryeo Court in the Xuanhe Era)* that Goryeo’s “mother-of-pearl inlay crafting is so exquisite that it is truly estimable.” Moreover, there is a record in Goryeosa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stating that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was among the list of gifts the government dispatched to foreign courts such as the Song and Liao Dynasties during the eleventh century. These records make it clear that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of the Goryeo Dynasty was favored among the ruling class of neighboring countries at the time.
 
*Xuanhe fengshi Gaoli tujing: A book published in 1123 (the first year of the reign of King Injong of the Goryeo Dynasty) by Xu Jing, a Song Chinese envoy to Korea during the mid-Goryeo Dynasty. It recorded the culture and customs Xu encountered at the time.
**Goryeosa: A compilation of the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The returned Lacquered Box with Inlaid Mother-of-pearl Chrysanthemum and Scroll Design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thirteenth century. It demonstrates the quintessence of Goryeo-era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The item is decorated with designs including chrysanthemum scrolls, peony scrolls, and yeonjumun,* all conventional patterns for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from the Goryeo Dynasty. Overall, the box features approximately 770 chrysanthemums. Thirty peonies adorn the border of the upper side of the lid, and 1,670 yeonjumun are densely arranged along the edges of the box. There are approximately 45,000 individual fragments of mother-of-pearl inlaid on the item.
 
* Yeonjumun: a design created by a band of consecutive dots or small circles connected like a string of beads
 
The box also displays C-shaped metal thread inlaid around the chrysanthemum blossoms to express scrolling vines. Moreover, metal thread comprised of two twisted cords was used to highlight the outer contours of the box. Although the central disc of each chrysanthemum blossom is only approximately 1.7 millimeters in diameter and each petal is approximately 2.5 millimeters long, each of the petals has been exquisitely detailed with incised lines.*
 
* Incision: carving letters or an image into a flat surface
 
Featuring a dense and regular arrangement of chrysanthemum and peony designs executed in mother-of-pearl across the entire surface, a detailed expression of scrolling vines through metal thread, and incised lines that create details on the tiny pieces of mother-of-pearl, the piece demonstrates the greatest artistry among existing Goryeo-era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Notably, the Lacquered Box with Inlaid Mother-of-pearl Chrysanthemum and Scroll Design has retained the original iridescence and luster of the mother-of-pearl, and the conservation status of the decorative materials (such as the mother-of-pearl and metal thread) is evaluated as the best among surviving examples.
 
Also noteworthy is its repatriation process. The item was brought to Korea prior to its formal acquisition in order to accurately examine its production techniques and materials. To this end,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conducted a detailed analysis using scientific techniques such as X-ray photography in Ma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ditional Korean lacquerware technique of pasting fabric over a wooden frame before applying lacquer was used for the item.
 
The returned Lacquered Box with Inlaid Mother-of-pearl Chrysanthemum and Scroll Design will be housed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tilized in the restoration of Korean traditional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techniques as well as in exhibitions that contribute to expanding opportunities for the public to appreciate cultural heritage. The CHA and OKCHF plan to continue their robust efforts to locate and retrieve Korean cultural heritage housed overseas through proactive administra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local cooperative networks. The retrieval was undertaken using lottery funds.
 
 
<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

 
 
첨부 :
(국영문 동시배포) 0906 고려의 빛 담은 나전칠기, 800년 베일 벗고 돌아오다(본문).hwp
(국영문 동시배포) 0906 고려의 빛 담은 나전칠기, 800년 베일 벗고 돌아오다(붙임).pdf
(국영문 동시배포) 0906 Goryeo Dynasty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Unveiled after 800 Years Returns to Korea.docx
 

 
※ 원문보기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