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유네스코 세계유산(UNESCO World Heritage Site)
유네스코 세계유산
자 료 실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2024년 5월
2024년 5월 2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4년 4월
2024년 4월 24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4년 4월 7일
궁인창의 독서여행
2024년 3월
2024년 3월 5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4년 1월
2024년 1월 31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12월
2023년 12월 4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11월
2023년 11월 27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11월 19일
궁인창의 논문모음
2023년 11월 13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10월
2023년 10월 20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년 10월 16일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2023년 10월 5일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2023년 9월
2023년 9월 28일
궁인창의 독서여행
2023년 9월 27일
궁인창의 독서여행
궁인창의 독서여행
네덜란드 상인 통해 다(茶)로 유럽 전파
2023년 9월 25일
궁인창의 독서여행
궁인창의 독서여행
2023년 9월 17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1년 11월
2021년 11월 24일
오문수의 세상이야기
2020년 11월
2020년 11월 30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6월
2020년 6월 15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5월
2020년 5월 18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5월 11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4월
2020년 4월 28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4월 27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4월 13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4월 9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4월 1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3월
2020년 3월 27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2월
2020년 2월 20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2월 19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2월 5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1월
2020년 1월 31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1월 28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1월 20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1월 16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1월 13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20년 1월 10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about 유네스코 세계유산


내서재
추천 : 0
유네스코 세계유산(UNESCO World Heritage Site) 차(茶) 홍차(紅茶) # 중국 푸얼 징마이 산의 오래된 차나무 숲
최근 3개월 조회수 : 2 (5 등급)
【문화】
(게재일: 2023.09.27. (최종: 2023.11.03. 21:29)) 
◈ 네덜란드 상인 통해 다(茶)로 유럽 전파
네덜란드 상인들이 대항해시대를 맞이하여 중국 남부에 처음 도착해서 하문(廈門) 상인에게 차(茶)를 대접받고는 “이것이 무엇입니까?” 하고 물었다. 푸젠 성과 대만 등 남쪽 바닷가 사람들은 푸젠 성 방언으로 ‘다’라고 발음하여 무역상들은 그대로 ‘tea’라고 기록했다.
중국 푸얼 징마이 산(Jingmai Mountain)의 오래된 차나무 숲 (중)
 
 
동양고전아카데미 사마천(司馬遷) 《史記》를 강의하시는 김영환 교수는 중국과 한국, 일본의 ‘茶’의 발음 ‘차와 다의 차이점’을 자세하게 설명해 주셨다. 남방 발음 때(tea)의 중국(cha), 한국(차, 다), 일본(御茶おちゃ)의 경우를 자세하게 설명해 주셨다.
 
네덜란드 상인들이 대항해시대를 맞이하여 중국 남부에 처음 도착해서 하문(廈門) 상인에게 차(茶)를 대접받고는 “이것이 무엇입니까?” 하고 물었다. 푸젠 성과 대만 등 남쪽 바닷가 사람들은 푸젠 성 방언으로 ‘다’라고 발음하여 무역상들은 그대로 ‘tea’라고 기록했다. 그래서 영어로는 차(茶)가 티(tea), 스페인어로 ‘떼(te)’가 되었다. 그런데 포르투갈 상인들은 마카오를 통해 교역을 하면서 유독 ‘차’라고 발음했다.
 
중국어의 갈래인 민남어(閩南語)로 차(茶)는 ‘떼’에 가깝다. 예전에 남쪽 지방 부산이나 목포에 여행을 가면 차를 마시는 것을 다방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북쪽 지방에서는 차(茶)가 실크로드를 통해 아랍에 전해지며 ‘cha’로 발음하여 차마고도, 차이, 체이라고 말한다. 현재 아프리카에서도 ‘차, cha’라고 발음한다. 1602년 3월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중국에서 차를 수입하여 바닷길을 이용하여 유럽까지 운송한다.
 
 
기문(祁門: Keemun Tea) 홍차 (사진: 위키백과)
 
 
홍차의 탄생에 관한 재미난 이야기가 있다. 그것은 녹차를 유럽까지 운반하는 도중 찻잎이 발효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유럽 사람들이 완전 발효된 홍차를 찾는 이유는 육식을 위주로 하는 그들의 식성 때문이다. 홍차가 고기를 먹고 난 이후 느끼함을 씻어주어 입안을 개운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중국은 영국의 수요변화와 점증하는 대중의 요구에 부응하여 홍차의 생산을 늘리게 된다. 이것이 세계 3대 홍차로 유명한 인도 다르질링 지방 홍차, 스리랑카 우바 홍차, 중국 기문(祁門: Keemun Tea) 홍차이다. 중국은 19세기 안휘 성 기문 현에 제다공장을 설립한다. 차는 녹차에서 시작하여 반 발효차인 우롱차를 거쳐 완전 발효된 홍차로 변신을 거듭하게 되었다.
 
중국 도자기도 수출되고, 나중에는 영국에서 청화백자를 직접 생산했다. 중국의 차 문화가 17세기에 유럽에 널리 전해지면서 음식을 먹는 습관도 변화되었다. 녹차는 중국의 주요 차 종류 중 하나이다. 녹차는 차나무의 새 잎이나 새 싹을 발효시키지 않고 경화, 성형,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며, 신선한 잎의 천연 물질을 그대로 유지하고 차 폴리페놀, 카테킨, 엽록소, 카페인,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
 
비타민 및 기타 영양소. 녹색 색상과 차 수프는 신선한 찻잎의 녹색 스타일을 유지하므로 이름이 붙여졌다. 녹차를 정기적으로 마시면 암을 예방하고, 지방을 낮추고, 체중을 감량할 수 있다. 중국은 허난(河南), 구이저우(貴州), 장시(江西), 안후이(安徽), 절강(浙江), 장쑤(江蘇), 쓰촨, 산시(陝西), 후난(湖南), 호북(湖北), 광시(廣西), 복건 등 다양한 산지에서 녹차를 생산한다.
 
녹차의 가공은 간단하게 살청(杀青: 불을 쐬어 수분을 없애는 것), 유념(揉捻; 찻잎을 돌돌 비벼서 말림), 건조의 3단계로 나뉘는데, 핵심은 첫 번째 ‘살청’이다. 생잎이 경화되어 효소활성이 비활성화된 후, 잎에 함유된 각종 화학성분은 기본적으로 효소의 영향 없이 열에 의해 물리적, 화학적으로 변화되어 녹차의 품질특성을 형성하게 된다.
 
당나라 시대에 육우(陸羽, 루위, 733-804년)의 자(子)는 홍점(鴻漸) 또는 계자(季疵)이며, 호(號)는 경릉자(竟陵子), 상저옹(桑苧翁, 뽕나무 옹), 동강자(東岡子), 다산어사(茶山御史)이고 일명 질(疾)이라고도 한다. 육우는 당현종(唐玄宗) 개원(開元) 733년에 경릉군(竟陵郡, 호북성(湖北省) 천문현(天門縣)에서 태어났다. 735년 경릉군 소재 용개사(龍蓋寺) 주지스님인 지적선사(智積禪師)가 서호(西湖) 물가에 버려져 울고 있는 3살 먹은 아이를 자신의 사찰에 데려다 길렀다. 지적선사는 역서(易書)의 점괘와 연결해 아이의 이름을 육우(陸羽), 호는 홍점(鴻漸)이라 지어주었다.
 
어린 육우는 스승의 차 끊이는 일도 도맡아 했다. 육우가 차 연구에 전념한 이유는 그의 스승을 위해 좋은 차를 만들려고 노력했기 때문이다. 그는 나이가 어리지만 스승의 엄격한 지도와 훈련을 통해 차에 대한 큰 관심을 두게 되었다. 그는 차에 대한 많은 경험과 지식을 축적하고 차를 만드는 탁월한 기술을 개발했다. 어느 날 황제가 지적선사를 궁궐로 불러들여 차를 끓이도록 명하고 선사에게 차를 올렸다. 그러나 선사는 한 모금만 마시고는 일절 마시지 않았다. 황제는 이상함을 느껴 몰래 육우를 불러 차를 끓여 궁궐에 바치게 했다. 선사는 단번에 차를 마시고 행복한 얼굴로 "이것은 육우가 직접 끓인 차와 같습니다!"라고 말했다.
 
육우는 12살이 되던 해에 절을 떠나 극단에 들어가 단역배우로서 광대 생활을 시작하면서 해학(諧謔) 3편을 썼다. 육우는 비록 얼굴은 못생기고 말마저 심하게 더듬었지만 성실하고 재주가 많아 뭇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았다. 746년 경릉태수(竟陵太守) 이제물(李濟物)이 연극 관람을 하다가 육우의 재능을 높이 평가해 그를 화문산(火門山)에서 7년 동안 유교를 공부할 수 있도록 추천해 주었다. 752년 새로 경릉으로 부임한 태수 최국보(崔國輔)와 의형제의 망년지교를 맺은 후 그는 상류층 인사와 번번하게 접촉하게 된다. 755년 안녹산의 난을 피해 24~25살 때 절강성(浙江省) 후저우(湖州)에 정착한다. 육우는 성장해서 《역경, 易經》으로 자신을 점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실력을 쌓았다.
 
 
이계란 당나라 여류시인 (사진:바이두백과)
 
 
육우가 후저우를 간 이유는 황실 공차를 공납하고, 이계란(李季蘭, 730-784년)을 만나기 위해서였다. 이계란의 본명은 야(冶), 유(裕)이고 자(子)가 계란이다. 그녀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금(琴)을 잘 탔다. 당나라 4대 여류시인(女流詩人)으로 광릉(揚州)에서 아주 유명했다. 그녀의 아버지는 이계란이 12살이 되었을 때 도교(道敎)로 출가시켜 도사(道師)가 되었다.
 
후저우의 이름은 타이호(太湖)에서 유래가 되었다. 후저우는 2023년 아시안게임이 개최되는 항저우 북쪽에 위치한 호수가 많은 도시이다. 새로운 곳에 정착한 육우는 어린 시절 용개사(龍蓋寺)에서 터득한 차에 관한 지식을 적극 활용하여 차에 대한 연구를 계속한다. 후저우에서 많은 사람들과 교유하다 우연히 차에 통달한 승려 교연(皎然, 720-793년)을 만나고는 교연으로부터 차에 대해 질문을 하고 지도를 받는다. 교연의 권유로 육우는 지방을 돌아다니면서 차에 관한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28세 때 《다경, 茶經》의 초고(草稿)를 완성한다. 그때부터 세상 사람들은 그를 다성(茶聖), 다신(茶神)으로 존경하기 시작했다.
 
 
《다경, 茶經》 (사진:바이두백과)
 
 
승려 교연(皎然)은 육우보다 14살이나 많지만 친구처럼 다정하게 교유했다. 교연은 육우에게 차의 세계를 알려주었다. “차를 한 번 마시면 혼매함을 씻어 마음과 생각의 상쾌함이 천지에 가득하고, 두 번 마시면 정신이 맑아져서 홀연히 비가 뿌려 티끌을 가벼이 씻어내는 듯하고, 세 번 마시면 문득 도를 깨쳐 어떤 괴로움과 번뇌도 닦아 준다."고 했다.
 
다도(茶道)는 불교의 선(禪)과 연결된다. 교연은 당 현종(685~762) 때 시승(詩僧)이다. 그의 속성은 사씨(謝氏)이며 사령운(謝靈運)의 10대손이며 창청(長城, 浙江省 江興) 출신이다. 묘희사에서 지내면서 위응물(韋應物), 유우석(劉禹錫), 이단(李端) 등과 깊게 교유하였고 산수(山水)와 종교를 주제로 시를 썼다. 시론에 대해서 789년 쓴 《詩式》 5권은 중국 고대 시론 중에 상당한 대우를 받고 있으며, 시집으로 <교연집, 皎然集>이 있다.
 
 
중국 제1회 장흥교연선차문화제(長興皎然禪茶文化際, 2017)(사진: 절강성 불교협회)
 
 
다음 화에서 이어집니다.
【작성】 궁 인창 (생활문화아카데미)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