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경천사 10층 석탑(敬天寺十層石塔)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경천사 10층 석탑 (敬天寺十層石塔)
고려 말기에 만들어진 대리석 석탑. 지금의 높이는 13.5m이다. 본디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중련리에 있었으나, 조선 말기에 일본 사람이 불법으로 일본으로 가져간 것을 뒤에 돌려받아 경복궁 안에 다시 세웠다. 국보 제86호로 지정되어 있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5 (4 등급)
◈ 경천사 터 10층 석탑의 서유기(西遊記) 조각
경기 북부지역과 서울 북부에 집중호우가 쏟아져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해 안타깝다.
경천사 10층 석탑(敬天寺十層石塔) 국립 중앙 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경기 북부지역과 서울 북부에 집중호우가 쏟아져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해 안타깝다.
 
이미 소개한 원(元, 1271~1368) 나라 항쟁기에 세운 개성(開城) 경천사 터(敬天寺址) 10층 석탑에 관하여 마무리합니다.
서울 용산 국립 중앙박물관 로비에 있는 개성 경천사 터 10층 석탑은 670년 전 고려 충목왕 4년 1348년에 조성된 대리석탑(大理石塔)이다. 1907년 일제 대신(大臣)에 의해 해체, 밀반출되었다가 베델과 헐버트의 노력으로 12년 만인 1918년에 되돌아 방치되었다. 40년 후 조립, 복원해 1962년 국보 86호로 지정되어 경복궁(慶福宮) 야외에 전시되었으나 풍화작용 등으로 훼손과 마모가 심해 10년 동안 복원 후 2005년 국립 중앙박물관 개관에 맞춰 실내로 이전, 전시하고 있다.
 
이 탑의 조각상을 보기 전에 탑(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왜냐하면 "아는 만큼 보이기 때문이다"
 
▶탑(塔, PAGODA)의 기원
 
고대 인도어인 범어(梵語)의 무덤을 뜻하는 스투파(STUPA)에서 시작되어 중국을 거쳐 삼국시대 한국에 불교가 들어오면서 탑이 되었다. 탑 속에 사리(舍利)나 불경(佛經), 금동 불상,경문, 사리병, 장엄구를 ​넣으며 탑 해체 과정에서 나온다.
 
▶탑의 구조(構造)와 층수(層數) 기준
 
탑은 보통 3등분 하는데 마치 사람을 머리, 상체, 하체로 나누는 것처럼 상륜부(相輪部, 탑의 맨 꼭대기 장식물), 탑신부(塔身部, 탑의 몸체로 몸돌과 지붕돌로 구성),기단부(基壇部,상대석과 하대석으로 구성)로 나눈다.
 
기단부를 뺀 지붕돌의 수를 탑의 층수로 말한다.
 
\na-;▼경복궁 전시 때 경천사 터 10층 석탑 구조(사례)
 
 
▣ 경천사 터 10층 석탑의 특징
 
\na-;▼ 서쪽에서 동쪽 방향으로 찍은 석탑 사진 ​
 
 
\na-;▼안내문
 
 
▶亞(十) 자형의 탑
 
석탑의 기단부와 탑신석 1층에서 3층까지의 평면은 한자의 아(亞)자 형태로, 사면이 돌출되어 있다. 탑신부 4층부터 10층까지의 평면은 정사각형 평면으로, 경천사 석탑은 전통적인 요소와 이국적 요소의 융화 속에 탄생한 특이 형태의 석탑임을 알 수 있다. ​
 
\na-;▼기단(基壇)
 
▶10층 탑 : 홀수가 아닌 짝수 10(十)층
 
전통 석탑은 3층(경주 불국사 3층 석탑), 5층(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 9층(평창 월정사 팔각 9층 석탑) 등 홀수인데 이 탑은 10층으로 짝수로
이 탑의 층수도 익숙하지 않다.
 
▶상륜부(相輪部)를 팔작지붕 모양으로 마감
 
1902년 사진과 다르게 보이는 꼭대기(상륜부) 복원에 대한 안내문(원래의 모습을 알 수 없어 지붕만 복원했다)은 진실 또는 거짓?
 
 
 
▶화강석이 아닌 대리석 석탑으로 원나라 영향을 받은 고려 후기의 대표적인 탑(고려 전기의 대표탑은 국보 48호인 월정사 팔각 9층 석탑)
 
이 탑은 재료나 구조, 조각, 양식 등 여러 측면에서 전통적 요소와 외래적 요소가 하나로 어우러졌다. 실제 옛 문헌에는 원나라 장인이 석탑 조성에 참여했다는 기록도 있어 당시 이 석탑은 고려와 원나라의 문화, 장인들의 석공 기술, 양국 불교가 융합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문화는 결국 서로 다른 것이 몸을 섞어 발전한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석탑의 형식은 평면 정사각형의 형태를 갖췄으며, 각 층마다 몸돌(옥신,屋身) 밑에는 난간(欄干)을 돌리고 지붕돌(옥개석, 屋蓋石) 밑에는 다포집 형식를 모각했으며, 상면에는 팔(八)작지붕 형태의 지붕 모양과 기왓골을 표현하고 있다.
 
 
▶ 서울 원각사 10층 석탑에 영향을 줌
 
약 120여 년 뒤 조선 세조 때인 1465년에 "원각사지 10층 석탑(국보 2호)"에 영향을 주었다.
 
▶ 부처, 보살, 용, 풀꽃. 서유기 등의 섬세하고 화려한 조각상
 
탑 전체를 가득 채우고 있는 조각들도 색다르다. 일반적 석탑은 불상(佛像)이나 나한(羅漢), 불교 상징물을 새기더라도 숫자가 적고 간결하지만 이 석탑은 전체가 조각들로 빼곡하다. 담백한 일반 석탑과 달리 섬세한 조각들로 화려하게 느껴질 정도다.
 
​조각 내용은 층수에 따라 다르다. 기단부에는 불법 수호자인 사자나 용을 비롯해 연꽃, 나한상 등이 있다. "서유기" 내용이 형상화되기도 했다.
 
​☞ 서유기(西遊記)
 
​기단부에 새겨진‘서유기’는 당나라 태종 때(629년)의 승려 현장(玄奬)이 수도 장안(長安)을 출발하여 인도 각지를 순회하며 경전과 불상 및 불사리를 모아 645년 다시 장안으로 돌아왔던 역사적 사실을 소설화한 것이다. 현장법사는 경·율·론 삼장에 모두 밝았기에 흔히 삼장법사(三藏法師)라고도 하는데 그의 업적과 명성은 구전되면서 점차 신비화되었고 그의 여행기는 전설적인 모험담이 되어 사찰의 벽화나 석탑에 조형하였다.
☞ 서유기를 석탑에 새긴 목적
흥미로운 것은 기단부 부조 20장면을 살펴보면 이미 원대에 명대 "서유기"에 사용되었던 판화와 유사한 장면이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서유기" 장면은 이를 바라보는 불자들에게는 현장의 구법행(求法行)을 통해 공덕과 깨달음에 대한 불교적인 교훈을 전하고, "서유기"의 등장인물(현장법사,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 등)들로 하여금 내부에 안치된 사리를 수호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기단부에 새겨졌다고 추정된다.
 
 
\na-;▼경천사 석탑 기단부 중대중석 남동측 남면에 새겨져있는 ‘홍해아(紅孩兒)’ 장면. 서유기의 등장인물들로 하여금 내부에 안치된 사리(일제의 해체시 사라진 것으로 추정)를 수호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탑의 하단 부분에 배치해 놓은 것으로 사료된다.
 
 
 
\na-;▼석탑 2층과 3층에 새겨져 있는 불회(佛會) 장면의 모습. 2층 탑신석 남면 ‘화엄회’(왼쪽)과 3층 탑신석 남면 ‘소재회’(오른쪽)
 
 
 
\na-;▼탑신부의 조각은
1층부터 4층까지의 몸돌 각 면, 즉 16면에는 부처가 설법하는 불회(佛會) 장면이 중심이다. 각 불회 위에는 작은 현판 모양에 ‘화엄회’ 등 불회의 이름이 있다.
 
 
 
 
 
 
 
\na-;▼
5~10층까지 부처가 선정인(禪定印) 또는 합장(合掌)의 섬세한 불상 조각
 
 
\na-;▼꼭대기
 
합각(合閣, 지붕 아래 삼각형 부분)에 무엇을 새긴 것인지 알고 싶고, 상륜부가 없으면 석탑의 높이 13.5m를 수정해야 하는지도 궁금하다.
 
 
 
 
▶마무리하며
 
국립 중앙 박물관의 대표적인 전시물이고 국보 86호인 개성 경천사 터 10층 석탑은 마치 목조(木造) 건축물처럼 섬세하게 조각된 대리석 석탑이다. 전통미와 이국적인 아름다움이 융합되어 나타난 고려 후기의 대표적인 석탑으로 고려 전기의 월정사 팔각 9층 석탑과 쌍벽을 이룬다. 또한 서울 원각사 10층 석탑에 큰 영향을 미쳤던 경천사 터 10층 석탑을 잘 유지, 관리해 주시길 바란다.
 
▣ 국립 중앙 박물관 정보
 
 
 
☞ 서울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 02-2077-9000
☞ 관람시간
10시~18시:월,화,목,금요일
10시~21시:수,토요일
10시~19시:일,공휴일
☞ 휴관일: 신정, 설날, 추석, 국립중앙박물관 지정일
☞ 상설전시 문 닫는 날 : 4,11월 첫째 월요일
☞ 관람료: 무료(상설전시), 유료(기획전시)
☞ 보안 검색대에서 소지품 검사를 하며 반입 제한물품 미리 체크하시고 물품보관소 활용
☞ 주차료: 15인승 이하는 2시간에 2000원 (초과 30분당 500원)
☞ 찾아가기
이촌역(4호선, 경의중앙선) 2번 출구, 502번과 400번 버스
 
\na-;출처: 중앙박물관, 문화재청, 네이버,도재기,한정구
 
 
원각사지 10층 석탑​
 
불상없던 시대의 ​ 상징물
 
궁궐 건축물(추녀마루)에 있는 잡상(雜像: 삼장법사,손오공, 저팔계, 사오정 등)
 

 
※ 원문보기
경천사 10층 석탑(敬天寺十層石塔) 국립 중앙 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경천사 터 10층 석탑의 서유기(西遊記) 조각
(게재일: 2018.08.30. (최종: 2019.11.21. 19:07))  문화재·역사·전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국보 제86호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