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내방 가사(內房歌辭)
내방 가사
자 료 실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2019년 7월
2019년 7월 18일
가사∙개화가사
2019년 7월 17일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2019년 7월 16일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2019년 6월
2019년 6월 25일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2019년 6월 24일
가사∙개화가사
가사∙개화가사
경부가 (警婦歌)
가사∙개화가사
about 내방 가사


내서재
추천 : 0
내방 가사(內房歌辭) # 경부록
최근 3개월 조회수 : 3 (5 등급)
【학습】
(게재일: 2019.06.24. (최종: 2019.06.24. 16:46)) 
◈ 경부가 (警婦歌)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경부록(警婦錄)’이라고도 한다. 일반 부녀자를 대상으로 평소의 훈계와 교육을 목적으로 한 전형적인 계녀가사의 하나이다. 모두 2음보 1구로 헤아려 500여 구로 되어 있다.
목   차
[숨기기]
 

1. 요점 정리

 
 
 
 

2. 내용 연구

 
 
 
 

3. 이해와 감상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경부록(警婦錄)’이라고도 한다. 일반 부녀자를 대상으로 평소의 훈계와 교육을 목적으로 한 전형적인 계녀가사의 하나이다. 모두 2음보 1구로 헤아려 500여 구로 되어 있다.
내용은 서사(序詞)에서 인간이 금수와 다른 까닭은 오륜이 있기 때문이라 하고, 따라서 이 오륜을 힘써 배우고 행하여야 한다고 훈민적으로 노래하였다.
다음에는, 특히 부녀자로서 지켜야 할 도리를 읊었는데, 출가 전에 배워야 할 행실로는 내칙편(內則篇)을 법을 삼아 규도(閨道)를 힘써 닦을 것을 강조하였고, 이어서 행지(行止)·부언(婦言)·부용(婦容)·출입(出入)·심성(心性)·부공(婦工)의 도리를 차례로 서술하였다.
다음, 출가 뒤의 행실로서는 사구고(事舅姑)·사군자(事君子)·화형제(和兄弟)·금투기(禁妬忌)·목친척(睦親戚)·교자녀(敎子女)·봉제사(奉祭祀)·접빈객(接賓客)·어비복(御婢僕) 등의 도리를 구체적으로 읊었다.
규방가사의 계녀교훈류 중에서 비교적 후기에 속하는 작품이며, 서사, 출가 전 행실, 출가 후 행실로 나누어 사실적으로 노래한 점이 특징적이다.
 
≪참고문헌≫ 誡女歌辭試論(張德順, 국어국문학 3, 1953), 警婦錄攷(崔台鎬, 국어교육연구 9, 慶北大學校 國語敎育硏究會, 1977).(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심화 자료

【작성】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참조정보
백과 참조
가사의 한 갈래.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