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비무장 지대(非武裝地帶)
비무장 지대
자 료 실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2023년 7월
2023년 7월 26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5월
2020년 5월 25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5월 18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년 3월
2020년 3월 25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19년 12월
2019년 12월 19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12월 12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11월
2019년 11월 18일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공존·공감·공유 공간으로서의 비무장지대’ 논의
2019년 10월
2019년 10월 23일
청와대 브리핑
2019년 10월 20일
경기도 보도자료
2019년 10월 19일
오문수의 세상이야기
2019년 10월 14일
자유한국당(대변인) 보도자료
2019년 10월 9일
환경부 보도자료
2019년 10월 5일
자유한국당(대변인) 보도자료
2019년 10월 3일
환경부 보도자료
2019년 9월
2019년 9월 27일
환경부 보도자료
2019년 9월 25일
문화재청 보도자료
2019년 9월 23일
강원도 보도자료
2019년 9월 20일
강원도 보도자료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2019년 9월 19일
강원도 보도자료
더불어민주당 논평 · 브리핑
더불어민주당 논평 · 브리핑
경기도 보도자료
경기도 보도자료
2019년 9월 18일
강원도 보도자료
2019년 9월 17일
경기도 보도자료
경기도 보도자료
2019년 9월 15일
경기도 보도자료
2019년 9월 4일
강원도 보도자료
2019년 9월 3일
경기도 보도자료
2019년 7월
2019년 7월 23일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2019년 6월
2019년 6월 17일
경기도 보도자료
2019년 5월
2019년 5월 9일
환경부 보도자료
2015년 4월
2015년 4월 8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about 비무장 지대


내서재
추천 : 0
문화체육관광부(文化體育觀光部) 비무장 지대(非武裝地帶)
최근 3개월 조회수 : 0 (0 등급)
(게재일: 2019.11.18. (최종: 2019.11.20. 18:34)) 
◈ ‘공존·공감·공유 공간으로서의 비무장지대’ 논의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한국관광공사(사장 안영배, 이하 관광공사)와 함께 11월 21일(목) 오후 2시,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공존·공감·공유 공간으로서의 비무장지대’를 주제로 비무장지대(DMZ) 평화관광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국내관광진흥과 - 최재환 (044-203-2857)】
- 11. 21. 비무장지대 평화관광 정책토론회 개최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한국관광공사(사장 안영배, 이하 관광공사)와 함께 11월 21일(목) 오후 2시,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공존·공감·공유 공간으로서의 비무장지대’를 주제로 비무장지대(DMZ) 평화관광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비무장지대(DMZ) 평화관광 정책토론회’는 지난해 ‘4‧27 판문점선언’을 통해 남북이 비무장지대를 평화와 공존의 공간으로 조성하는 데 합의함에 따라, 이에 따른 평화공간 조성 방안을 정부·공공기관 및 학계와 민간이 함께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이번 토론회에서는 그동안 남북 분단 역사의 산증인으로서 비무장지대가 고스란히 보존하고 있는 기억들을 어떤 방식으로 보존하고, 그 기억들을 비무장지대를 방문하는 국내외 방문객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전달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의 김철원 교수가 ‘비무장지대 평화관광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진행하고, 이어서 ‘비무장지대, 기억의 문제를 되짚다’, ‘비무장지대 평화관광을 위한 지역민의 참여와 역할’ 등 2개의 주제로 각각 발표와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첫 번째 주제인 ‘비무장지대, 기억의 문제를 되짚다’ 발표에서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조경진 교수가 ‘비무장지대와 기억공간의 재구성’을,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예술정책연구실 김현경 연구원이 ‘비무장지대 기억의 박물관 기본계획 수립의 의미’를 발표한다. 이어지는 토론에서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예술정책연구실 류정아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을 맡아, 앞선 두 발표자 및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김기용 학예연구실장, 경기연구원 김지나 초빙연구위원과 함께 더욱 심도 깊은 의견을 교환한다.
 
두 번째 주제인 ‘비무장지대 평화관광을 위한 지역민의 참여와 역할’ 발표에서는 숭의여대 관광과 장양례 교수가 ‘평화관광 이야기 전달과정에서 인적 접점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하고,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윤유식 교수를 좌장으로 비무장지대 접경지역 관광 현장에서 해설을 담당하고 있는 문화관광해설사와, 올해 개방한 ‘비무장지대(DMZ) 평화의 길’ 해설사들이 현장에서 느낀 생생한 경험들을 바탕으로 토론이 진행된다.
 
이번 토론회에는 유관 기관, 지자체, 학계, 관광업계 관계자 및 일반인 등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 토론회에 참석하려면 사전 신청(사전 등록 사이트*, 토론회 사무국**)을 하거나 현장에서 등록한 후 바로 참석하면 된다. 21일 오전 9시까지 사전 등록을 한 후 토론회에 참석한 100명을 추첨하여 커피 교환권을 증정할 예정이다.
 
* 사전 등록 사이트(URL): dmzpeaceforum.com
** 토론회 사무국 연락처: 02-6953-4056 / ktoforum@gmail.com
 
 
한편 문체부는 통일부·국방부·행안부·환경부 등과 함께 ‘비무장지대(DMZ) 평화의 길’ 3개 구간(고성·철원·파주)을 개방해 국민들이 실제로 비무장지대 내부를 방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9월에 발족한 접경 지역 13개 지자체들과의 ‘비무장지대(DMZ) 평화관광 추진협의회’를 통해 협업 사업을 발굴하고, 비무장지대(DMZ) 평화관광 기반 조성, 관광콘텐츠 발굴, 비무장지대(DMZ) 평화관광 통합 홍보마케팅 등 비무장지대(DMZ) 평화관광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토론회가, 정부기관과 각 분야 전문가들뿐 아니라 관광 현장에서 직접 일하고 있는 해설사들까지 모여 비무장지대 평화관광이 동북아관광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현장과 정책을 연결하는 논의와 교류의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임 토론회 세부 계획
 
 

 
※ 원문보기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