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조선시대 고등 교육기관인 성균관(성균은 널리 인재를 고루 양성한다는 뜻)을 알아보기 전에 삼국시대부터 교육기관에 대하여 먼저 알아봅니다.
▣ 고려 개성 성균관
① 북한 개성에 있는 고려시대 국자감을 계승한 개성 성균관은 외국 사신들의 숙소인 순천관, 교육기관인 숭문관으로 변천되다가 1089년 국자감을 지금 자리로 옮겨왔고, 1310년 성균관이라 고쳐 부르게 되었다. 조선 초에 한양에 성균관을 지으면서 개성 성균관은 향교가 되었다. 현재의 건물들은 임진왜란 때 파괴되었던 것을 1602년(선조 35)에 복원한 것이다.
② 앞부분에 대성전 구역이 있고 뒤에 명륜당 구역이 있는 서울 성균관(전묘후학.前廟後學)과 달리, 개성 성균관은 앞부분에 명륜당 구역이 있고 뒷부분에 대성전 구역(전학후묘.前學後廟)이다.
③ 명륜당 앞마당의 은행나무 2 그루는 서울 성균관과 마찬가지로 좌우로 학생 들의 기숙사였던 동재(東齋), 서재(西齋)와 함께 있다.
④ 명륜당 뒤편 내문을 지나면 공자를 제사 지내던 대성전(大成殿)과 앞뜰 좌우에 동무(東廡)와 서무(西廡)가 자리한 형태도 한양 성균관과 같다.
⑤ 육선당(六仙堂), 제기고(祭器庫), 전사청(典祠廳), 향관청(享官廳), 계성사(啓聖祠. 중국 5성聖의 아버지를 모시기 위해 지은 사당) 등을 배치하였다.
⑥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의 건물이고 건물 앞 좌우에 은행나무들이 보인다.(일제 강점기)
⑦ 대성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의 건물이다. 현재 대성전에는 위패가 없고 대신 고려 박물관으로 사용하고 있다.(좌측은 일제 강점기, 우측은 2007년 사진 )
▣ 조선 한양 성균관
1. 개요
① 한양 성균관은 무료의 최고 교육기관이자 관리 양성소였다.
② 한양 성균관은 고려 성균관을 계승한 것으로 태조 이성계는 개성에서 한양으로 수도를 이전하면서 현재의 서울시 종로구 명륜동(명륜당에서 유래)에 새로 성균관을 세웠다.
③ 1398년 7월에 완공된 한양 성균관 총규모는 96칸이지만, 1400년(정종 2)에 문묘(文廟)가 불타버려 1407년(태종 7)에 다시 지었다. 그 후 임진왜란으로 불타 1602년(선조 34) 대성전이 중건되었으며 1606년(선조 39) 명륜당이 지어졌다.
④ 성균관을 “성현(聖賢)을 봉사(奉祀)하는 사묘(祠廟)의 기능을 겸비하고 고급 관원의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경국대전에 명시했고, 성균관을 2구역으로 나눠 하나는 학교로서 유학을 가르치고 배우는 곳(명륜당)이고, 다른 하나는 유학을 일으키고 후대에 전승한 성현들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대성전)이다.
⑤ 한양 성균관의 대성전은 명륜당보다 앞에 있는 전묘후학(前廟後學)의 건물 배치로 고려 개성 성균관의 전학후묘(前學後廟)와 다르다.
⑥ 반궁도(泮宮圖)에 따르면 성균관은 대성전, 동무, 서무, 묘정 비각, 명륜당, 동재, 서재, 제기고, 수복청, 전사청, 존경각, 육일각,향관청,정록청, 비천당,진사식당 등 여러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 반궁(泮宮)과 반촌(泮은 학교라는 뜻)
한양 성균관의 반수(泮水, 개울)는 성균관 안과 밖으로 구분하는 경계로 성균관은 반수 위에 놓인 식당교, 중석교, 향석교 등의 다리를 통해 외부와 연결하였다. 반수 때문에 성균관을 반궁(泮宮)이라고도 불렀으며, 성균관 앞쪽의 마을은 반촌(泮村)이라고 불렀다.
2. 대성전 구역
① 삼문, 대성전, 묘정 비각, 동무와 서무, 제기고, 수복청, 전사청의 건물이 있다.
② 대성전 ·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 건물(1602년 재건)로 면적은 89.5평이다. · 현판은 한석봉의 글씨라 한다. · 임금은 오른쪽 계단(대성전을 보는 방향)으로 올라 분향한다.
③ 대성전 분향 · 공자와 성현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大成殿)과 동무(東廡)와 서무(西廡)에서 한 달에 두 번(초하루와 보름)에 분향을 하고, 매년 음력 2월과 8월에 한 번씩 석전제(釋奠祭)를 지냈다. · 1949년 분향하는 133위를 39위로 축소하였다.(동·서무에 모시던 112현 중에서 중국 94현 삭제하고 한국 18현은 대성전으로 모심))
1949년 이전(133위) 대성전 공자(문선왕文宣王) +4성(안자, 증자, 맹자, 자사) +10대 제자(공문 10철)+송조 6 현(21위) 동·서무 중국 94현+한국18현(112위)
1949년 이후 ~ 현재(39위) 대성전 공자+4성+10대 제자+ 송조6현 + 한국18현(설총, 최치원, 안향= 안유, 정몽주,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황, 김인후, 이이, 성혼, 김장생, 조헌, 김장생, 송시열, 송준길, 박세채)
동·서무 - 비움
· 공자(문선왕)와 성현 배치도인 문묘향사배열도(19세기)
④ 동무(정면 11칸, 측면 1.5칸의 맞배지붕 건물), 묘정 비각(문묘의 연혁을 기록한 묘정비를 보호하는 건물), 은행나무, 삼문(정면 3칸, 측면 2칸) -좌측부터-
출처: 국가유산청, 민족문화 대백과, 성균관 박물관, 종로구청, 구글, 네이버, 월간 문화재, 국립중앙박물관, 만월대 디지털 기록관
※ 원문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