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천 사기 368강 강의자료 요약 (2024.11.21)
2024년 11월 21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 唐詩 300首
1) 당시 제목 : “화장복야의 새하곡 6수(기2)” 2) 작자 : 노륜(盧綸) 743年—800年,(자료 367강 참조하세요) 3) 당시 중국어 발음 林 | 暗 | 草 | 驚 | 風 | lín | àn | cǎo | jīng | fēng | 將 | 軍 | 夜 | 引 | 弓 | Jiāng | jūn | yè | yǐn | gōng | 平 | 明 | 尋 | 白 | 羽 | Píng | míng | xún | bái | yǔ | 沒 | 在 | 石 | 棱 | 中 | méi | zài | shí | léng | zhōng |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23강(2023.09.14.) 강의 교안
《史記》〈周本紀〉注釋 1.宗 - 甲骨文, 원래는 조상의 위패를 두는 집, 宗廟, 神廟; 1) 조상에게 제사 지내는 장소(祖廟), 2) 家族 중 항렬이 높은 사람, 종족의 조상, 3) 同族, 4) 嫡長子, 5) 根本(本意 6) 古代帝王의 廟號(有德者稱宗)
7) 官職(제사의례), 《国语》〈鲁语上〉「夏父弗忌爲宗佰」 “하부불기”라는 사람이 제사 의례를 담당하는 우두머리가 되었다.
또 《荀子》〈正論〉「出户而巫觋有事, 出門而宗祀有事」 작은 문(出戶)을 열고 나가면 남녀 무당들의 일이 있고, 큰문(出門) 나가면 제사 의례를 지내는 일이 있다
* 무(巫)의 기능 분화 (신석기 시대 chiefdom, 추장, big man) 1. 王 ~ 행정, 통천(通天, shaman) ~천명으로 나라를 다스림 2. 宗 ~ 제사 ┐ 3. 祝 ~ 제사 ┘종족 관리(신과 인간을 연결) 4. 占(거북 배, 시초, 동전) ┐ 5. 卜(거북 배) ┘국가의 점 6. 貞 ~ 개인 점 7. 巫 ~ 신과 소통 8. 醫 ~ 질병을 치료 9. 史 ~ 왕조의 중요한 사건과 국가 기록 및 관리 10. 作冊 ~ 문서 작성 국가 기록보관 11. 吏 ~ 행정 관리, 법 집행, 세금 징수, 군사 동원
* 국가의 가장 중대한 일은 제사(祀)와 전쟁(戎) 입니다. (國之大事 祀於戎)
8) 尊重, 尊崇, 《史記》〈孔子世家〉「(孔子)謂子貢曰.天下無道久矣, 莫能宗予」 자공에게 이르기를 천하에 도리가 없어 진지 오래구나. 나의 주장을 존중해 주는 사람이 없다.
9) 諸侯가 여름에 君主를 알현하는 예의(朝見), 《周禮》〈大宗伯〉「春見曰朝, 夏見曰宗, 秋見曰覲, 冬見曰遇」 천자를 보러 가는 시기에 따라 “봄은 朝 여름은 宗, 가을은 覲, 겨울은 遇” 라고 한다.
견(見) ~ 1) [jiàn ] (지엔) 의견. 견해. 생각. 2) [xiàn ] (시엔) 나타나다. (=现) 뜻은 진현이다. 차(車) ~ 1) [ chē ] (처) 차, 바퀴가 달린 기구 2) [jū] ㈜ 장기(將棋)의 차(車). (“거”로 읽는 경우) 고(告) ~ 1) [gào ](까오) 고하다 , 알리다 등 2) [gù] (꾸)告朔(곡삭)
* 근견(謹見) ~아랫 사람이 윗 사람을 만나는 것이다 * 진견(晉見)은 수평적 관계나 아래 사람이 위 사람과 만나는 것이다.
10) 사물, 물건 등의 件、批, 《紅樓夢》第三五回「這一宗東西, 家常不大做」 이 한 무더기(一宗) 물건은 집에서 일상적으로 하기 힘들다.
* 짜장면 작장면(炸醬麵)은 밀가루와 콩으로 만든 장(醬)과 각종 재료를 볶아서 만든다. 즉 중국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먹는 국수인 ‘가상면(家常面)이 炸醬麵으로 변천한 것이다. * 짬뽕은 일본 나가사키의 화교가 중국인 노동자들을 위해 개발한 음식이 이 땅에 들어와 변형되고 발전된 것이다. 吃飯이 광동어로 발음하면 “짭뻥”인데 짬뽕처럼 들린다. 그래서 짬뽕은 중국에서는 ‘한식 초마면(韓式炒碼面)이란 이름으로 소개된다.
11) 불교의 각 파, 禪宗, 正宗, 天台宗, 華嚴宗
* 의리(義理) ~ 뜻 * 이뭐고 = 這是什么 -> 화두(話頭) * 불교의 3신 ~ 법신, 보시, 화신
1. 천태종(天台宗) • 창시자 : 지의(智顗, 538~597) • 중심 경전 : 《법화경(法華經)》 • 특징 : 모든 법(法)이 본질적으로 하나임을 강조하며, 일심삼관(一心三觀, 공·가·중의 통합적 관찰)을 수행의 핵심으로 삼음. • 주요 사상 : “일념삼천(一念三千)“이라는 우주론적 관점을 통해 모든 존재는 상호 의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봄. * 천태종 사상의 기원은 용수(龍樹, 나가르주나)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용수는 《중론(中論)》 등을 통해 중관사상을 정립했고, 천태종의 주요 교리인 삼제원융(三諦圓融)과 일심삼관(一心三觀)은 용수의 사상적 영향을 받았습니다. 천태종은 지의가 용수의 사상을 포함하여 《법화경(法華經)》을 중심으로 체계화하고, 독자적인 교리와 수행법을 확립하면서 창립된 종파입니다. 따라서 천태종의 창시자는 지의이지만, 그 8대 종파의 이론적 뿌리는 모두 용수에게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2. 삼론종(三論宗) • 창시자 : 길장(吉藏, 549~623) • 중심 경전 : 《중론(中論)》, 《백론(百論)》, 《십이문론(十二門論)》 • 특징 : 중관사상을 바탕으로 공(空)의 철학을 강조하며, 모든 집착에서 벗어나 진리를 체득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주요 사상 : “팔불중도(八不中道)“로 모든 개념적 분별을 초월한 중도를 설파.
3. 유식종(唯識宗) • 창시자 : 현장(玄奘, 602~664) • 중심 경전 : 《성유식론(成唯識論)》 • 특징 : 인간의 인식과 경험을 분석하여, 모든 것이 오직 마음(식, 識)의 작용임을 밝힘. • 주요 사상 : “팔식설(八識說)“을 통해 인간 마음의 구조를 분석하고 깨달음을 얻는 수행 체계를 제시.
4. 화엄종(華嚴宗) • 창시자 : 법장(法藏, 643~712) • 중심 경전 : 《화엄경(華嚴經)》 • 특징 : 우주적 조화를 강조하며, 모든 존재가 서로 의존하며 조화를 이루는 원융무애(圓融無碍)를 사상적 중심으로 삼음. • 주요 사상 : “사법계(四法界)“를 통해 우주의 상호 연관성과 통합을 설명.
5. 율종(律宗) • 창시자 : 도선(道宣, 596~667) • 중심 경전 : 《사분율(四分律)》 • 특징 : 계율 준수를 통한 수행을 강조하며, 불교 승단의 규율과 청정함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둠. • 주요 사상 : 수행의 기반으로 계율을 강조하며, 윤리적 삶이 깨달음의 전제 조건임을 주장.
6. 진언종(眞言宗) • 창시자 : 불공(不空, 705~774) • 중심 경전 : 《대일경(大日經)》, 《금강정경(金剛頂經)》 • 특징 : 밀교(密敎)에 기반하여 만다라, 만트라, 수인을 활용한 수행법을 강조. • 주요 사상 : 대일여래(大日如來)를 중심으로 인간과 우주의 본질적 일체성을 설파.
7. 선종(禪宗) • 창시자 : 달마(達磨, 6세기 초) • 중심 경전 : 경전보다는 직관적 깨달음과 화두(話頭) 수행을 중시. • 특징 : 문자와 교리를 초월한 수행을 강조하며,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을 추구. • 주요 사상 : 마음이 곧 부처임을 깨닫는 것이 수행의 핵심.
8. 정토종(淨土宗) • 창시자 : 혜원(慧遠, 334~416) • 중심 경전 : 《아미타경(阿彌陀經)》, 《무량수경(無量壽經)》 • 특징 : 아미타불의 서방 극락정토에 태어나기 위해 “나무아미타불”을 염송하는 수행법을 강조. • 주요 사상 : 아미타불의 본원을 신뢰하고 그를 염송하여 극락에 왕생하는 것을 목표로 삼음.
12) 성씨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24강(2023.09.21.) 강의 교안
《論語》〈八佾〉주석 3-23. 子語魯太師樂, 曰.樂其可知. 始作,翕如也, 從之,純如也,皦如也,繹如也,以成。 공자께서 노나라 태사와 토론 후 말씀하시기를 “음악 그것은 알 수 있지요. 처음 연주를 시작할 때는 조화롭고 연주가 이어서 계속되면 타악기소리, 현악기소리, 관악기 소리가 이렇게 이어지면서 1 악장이 끝납니다.”
1) 語 - 4성으로 설명하다, 담론하다(discuss), 또는 敎, 告(朱子集註, 가르쳐 깨우치다-가르칠 위치 아님) * 3성은 말하다 2) 太(大)師 - 여기서는 3公 중의 하나가 아니고, 魯나라에서 음악을 관장하는 관리(魯나라의 樂官이 공자에게 음악에 대하여 묻자, 공자가 답하는 상황) 3) 樂 - 음악(오케스트라 연주는 8音(金, 石, 土, 革, 絲, 木, 匏, 竹 악기), 5音(宮商角徵羽), 12律呂(6律,6呂)의 조화 4) 樂其可知 - 음악 그것은 알 수 있는 것이다. 5) 始作 - 처음 연주할 때는, 作은 연주하다. 6) 翕如 - 翕은 합하다, 일어나다. 즉 合(朱子集註), 聚, 和順의 의미이다. 翕如는 何晏의 《論語集解》..「翕如, 盛也」 즉 각종 악기의 연주소리가 흥성한, 조화로운 모양을 가리킨다. 7) 從之 - 종은 4聲으로 따라서, 이어서; 之는 처음 연주이고, 즉 從之는 처음 연주를 따라서, 연주를 계속하면, 연주가 계속 진행되면. 從을 縱, 放(朱子集註)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8) 純如 - 타악기 소리들이 순수하게 화합(純正和諧), 和(朱子集註) 9) 皦如 - 현악기의 音節, 곡조가 깨끗하고 분명한 모양(清晰分明), 明(朱子集註) 10) 繹如 - 관악기 소리의 高低 起伏이 서로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서 매우 듣기 좋은 모양(朱子集註, 相續不绝) 11) 成 - 연주의 한 곡을 가리킴(奏樂一曲爲一成). 즉 연주는 純如, 皦如, 繹如로 구성되어야 한 곡이 이루어진다.
* 논어
1. 고대 논어 판본 1) 고논어(古論語) : 고대의 논어라는 뜻으로, 다른 두 판본에 비해 더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2) 노논어(魯論語) : 노나라에서 전해진 판본으로,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논어의 편차가 이를 따른 것으로 추정됩니다. 3) 제논어(齊論語) : 제나라에서 전해진 판본입니다.
2. 주석 1) 정현~ 漢代의 훈고학의 대표적 학자로서 경전해석에서 권위적인 위치를 점했다. 논어 주석이 온전히 전하지는 않지만 정현의 주석이 하안과 형병의 주석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2) 하안 ~ 논어집해, 이것이 현재 전해지는 논어의 표준적 text이다 3) 형병 ~ 논어 정의 4) 주자 ~ 논어 집주 5) 유보남 ~ 논어정의 6) 정수덕 ~ 논어 집석
3.현대 논어 판본 1) 考古 2) 정현 3) 하안 4) 주자 5) 십삼경 주소본
4. 사고 전서 (GEMINI참조) 1) 문연각 본 ~ 문연각 본은 중국 역대의 방대한 문헌을 총망라하여 편찬한 사고전서의 초본(初本) 중 하나입니다. 사고전서는 청나라 건륭제 때 편찬된 세계 최대의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중국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입니다.
* 사고전서 : 사해의 모든 책을 두루 갖추었다는 뜻으로, 중국 역대의 문헌을 총망라하여 편찬한 거대한 백과사전입니다.
2) 문연각본의 특징 (1) 사고전서의 정본 : 문연각본은 사고전서의 여러 초본 중에서도 가장 완벽하고 권위 있는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2) 역사적 가치 : 중국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로,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3) 문화재적 가치 : 오랜 역사를 가진 귀중한 문화재로서 보존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
3) 문연각본의 역사 (1) 건륭제 시대 편찬 : 청나라 건륭제 때 사고전서 편찬 사업이 시작되었으며, 완성된 사고전서는 자금성 안에 있는 문연각에 보관되었습니다. (2) 국공내전과 함께 대만으로 이동 : 국공내전 당시 국민당 정부가 대만으로 옮겨가면서 문연각본도 함께 대만으로 옮겨졌습니다. (3) 현재 : 현재 문연각본은 대만 국립고궁박물원에 소장되어 있으며, 세계적으로 귀중한 문화재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4) 문연각본의 중요성 (1) 중국 문화 연구의 기초 자료 : 문연각본은 중국 역사, 철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자료입니다. (2) 세계 문화유산 : 문연각본은 인류의 지적 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화재로 평가됩니다. (3) 문화적 정체성 확립 : 중국인들에게는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중요한 상징이기도 합니다.
5) 결론 ~ 문연각(文淵閣) 본은 중국 문화의 보고이자 인류의 귀중한 유산입니다. 문연각(文淵閣) 본을 통해 우리는 중국 역사와 문화를 더 깊이 이해하고, 인류 문명의 발전 과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 你是你, 我是我. ~ My message is my life.
* 금성옥진(金聲玉振)은 《맹자》<만장하>에 나오는 구절 중에 들어 있다. 공자는 고대 성인(聖人)들의 장점을 집대성(集大成)하여 모두 지니고 있는 성인이라는 점을 찬미하는 말이다.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쇠로 만든 악기로 소리를 퍼뜨려 시작하고 옥으로 만든 악기로 소리를 거두어들여 마무리한다는 뜻이다. 금성옥진은 음악 연주에 비유하여, 공자의 가르침이 처음에는 웅장하고 깊은 영향력을 미쳐 만물을 조화롭게 하고, 나아가 맑고 투명한 도덕적 이상을 실현하는 데 이르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공자가 단순히 학문을 집대성한 것을 넘어, 인류의 도덕적 완성을 위한 새로운 길을 개척했다는 것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從 1) cóng ~(어린) 때로부터 2) zòng ~踪 따르다
* 음악이 너무 아름다워 鳳凰來儀 百獸率舞 했다고 합니다. 《尚書·益稷》:「簫韶九成,鳳凰來儀。擊石拊石,百獸率舞」
* 백이는 2명이다 1) BC2300년 전후 요순시대 사람, 치수에 공이 있고, 형법으로 민중을 다스림. “伯夷 聖之淸者也”에서 淸은 “형법으로 다스림”과 연결된다. 2) BC1115년 전후 상말 고죽현 왕자(伯夷, 亞聘, 叔齊) ~기존 학설이나 잘 못된 것이다. * 사마천 《사기》 <백이 열전>의 백이 숙제가 먹은 미(薇)는 고사리가 아니고 “들 완두”라고 조선 후기 박물학자 유희는 주장했다.
* 상(商)의 갑골문
- 상(商)나라에서 유래된 '상인'이라는 단어(Gemini및 Perpleity참조)
상인이라는 단어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것처럼 물건을 사고 파는 사람을 뜻하지만,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중국 역사의 한 장면과 연결됩니다. 바로 상(商)나라입니다.
1. 상나라의 멸망 : 기원전 1600년경부터 약 500년간 중국을 지배했던 상나라는 주나라에 의해 멸망하게 됩니다. 2. 유민들의 삶 : 나라가 망하자 상나라 사람들은 삶의 터전을 잃고 떠돌아다니며 살 수밖에 없었죠. 먹고 살기 위해 길을 다니며 물건을 사고 팔아야 했고, 이들을 행상이라고 불렀습니다. 3. 상인이라는 명칭의 탄생 : 주변 사람들은 이렇게 물건을 팔며 생계를 이어가는 상나라 사람들을 보고 자연스럽게 상인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즉, '상인'이라는 단어는 원래 '상나라 사람'이라는 의미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4. 상인이라는 단어가 가진 의미 변화 시간이 흐르면서 '상인'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조금씩 변화했습니다. 1) 직업으로서의 상인 : 처음에는 단순히 상나라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었지만, 점차 물건을 사고 파는 행위 자체를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2) 사회적 인식 변화 : 상업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상인이라는 직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변화했습니다. 초기에는 멸망한 나라의 유민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있었지만, 점차 경제 활동에 기여하는 중요한 존재로 인식되기 시작했습니다. 5. 왜 상인이라는 단어가 중요할까요? 1) 역사적 배경 이해 : 상인이라는 단어의 유래를 통해 중국 역사의 한 단면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사회 변화 반영 : 상인이라는 단어의 의미 변화는 사회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시입니다. 3) 우리 삶 속의 상인 : 오늘날 우리는 다양한 상인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그들의 존재가 우리 삶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상인'이라는 단어는 단순한 직업 명칭을 넘어 역사와 사회 변화를 담고 있는 의미 있는 단어입니다. 상인이라는 단어를 통해 우리는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고, 미래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2024.11.21 강의 요약자 : 주정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