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2024.12.15. 21:27 (2024.12.15. 21:13)

사마천 사기 371강 강의자료 요약 (2024.12.12)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江南曲〉과 작자 李益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曲, 樂府(민간 詩歌), 〈相和歌〉, 瞿塘, 朝朝 등......) 및 감상 ; (2) 신분에 따른 여성의 호칭(后, 夫人, 孺人, 婦人, 妻, 妾)에 대하여 설명 ; (3) 《論語》〈八佾〉3-24의 분석(版本에 따라 없는 글자(也, 出曰, 乎)와 封人, 見(jian4, xian4)과 喪(1, 4)의 발음에 따른 의미, 木鐸 등에 대하여 설명 ; (4) 一刻如三秋, 一日不見如隔三秋의 三秋(3年, 初秋, 仲秋, 季秋)의 다른 의미 ; (5) 고대의 시간단위(印度의 僧祗律 중심)秒 이상과 秒 이하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 ; (6) 9鼎에서 鼎의 구분(4足2耳, 3足2耳)과 9個說과 1個說의 소개 : (7) 고대 제사의 필수 상차림(香, 酒, 胙, 薦, 新)에 대해서 설명 ; (8) 我者(self)와 他者(the other)의 설명 ; (9) 除服의 36個月說, 27個月說(以日代月), 25個月說에 대하여 설명 ; (10) 《史記》〈管晏列傳〉「天下不多管仲之賢而多鮑叔能知人也」의 번역과 鮑叔牙의 知人 능력에 대하여 설명 ; (11) 多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및 多의 다양한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사마천 사기 371강 강의자료 요약 (2024.12.12)
 
2024년 12월 12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 唐詩 300首
 
 
1) 당시 제목: “강남곡”
2) 당시 중국어 발음
jiàtángjiǎ
cháocháoqiè
zǎozhīcháoyǒuxìn
jiànòngcháoér
3) 작자 : 이익(李益) 748年 - 827年 (perplexity 참조)
이익(李益)은 중당(中唐) 시대의 저명한 시인으로, 748년에 태어나 827년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의 자는 군우(君虞)이며, 감숙성 무위시(현재의 甘肅省 武威市) 출신입니다
이익은 769년(대력 4년)에 진사시에 합격하여 정현위(鄭縣尉)직을 맡았으나 곧 사직하고 유주절도사 유제(劉濟)의 막료가 되었습니다.
그의 문학적 재능이 알려지면서 헌종 황제의 주목을 받아 관직에 올랐습니다. 집현전 학사, 비서감, 태자빈객을 거쳐 마침내 예부상서의 고위직에 올랐습니다
 
(1) 문학 업적
이익은 중당 시단에서 큰 명성을 얻었으며, 특히 변새(邊塞) 관련 작품으로 유명했습니다.
그의 시집인 '이군우시집(李君虞詩集)' 2권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2) 대표작
이익의 대표작 중 하나로 '강남곡(江南曲)'이 있습니다. 이 시는 구당의 장사꾼에게 시집간 여인의 한탄을 노래한 것으로, 남편이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익은 뛰어난 재주를 가진 이하(李賀)와 동족으로, 당대 문학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당시의 사회상과 개인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하여 후대에까지 영향을 미쳤습니다.
 
* 장강3협
장강삼협(長江三峽, 창장싼샤)은 중국의 유명한 자연 경관으로, 세 개의 협곡으로 구성된 거대한 계곡 구간입니다.
1) 위치와 구성
장강삼협은 중국 충칭시와 후베이성의 경계에 위치하며, 총 길이는 193km에 달합니다.
세 개의 협곡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구당협(瞿塘峡) : 가장 서쪽에 위치, 길이 8km
(2) 무협(巫峡) : 중간에 위치, 길이 44km
(3) 서릉협(西陵峡) : 가장 동쪽에 위치, 길이 72km
2) 특징
각 협곡은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1) 구당협 : 가장 짧지만 가장 웅장하고 험준한 풍경을 자랑합니다.
(2) 무협 : 섬세하고 아름다운 자연으로 유명하며, '무협십이봉'이라 불리는 12개의 봉우리가 있습니다.
(3) 서릉협 : 가장 길고 험준하며, 빠른 물살로 유명합니다.
 
구당협의 모습
 
* 부인의 이름
1) 황후 ~ 后
2) 제후 ~ 夫人
3) 경대부 ~ 孺人
4) 사(士) ~ 婦人
5) 서(庶) ~ 妻
* 첩(妾) ~ 두번째의 여자 또는 겸사로 사용함. (臣妾, 小妾)
 
* 시간 단위
 
 
 
 
* 一刻如三秋(일각여삼추), 一見如隔三秋(일견여격삼추)
* 秋
1) 3년
2) 三個月 (初秋 仲秋 季秋)
 
* 辰과 更의 차이점 (perplexity 참조)
1) 진(辰)
진(辰)은 하루를 12등분한 시간 단위입니다. 이는 12지(地支)와 연관되어 있으며, 각 진은 약 2시간에 해당합니다.
12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이 체계는 태음태양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천문 관측과 계절 변화를 반영합니다.
2) 경(更)
경(更)은 밤 시간을 5등분한 단위입니다. 해가 진 후부터 다음날 해가 뜨기 전까지의 시간을 5개의 경으로 나눕니다. 각 경은 계절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지만, 대략 2-3시간 정도에 해당합니다.
3) 주요 차이점
시간 범위: 진은 24시간 전체를 커버하지만, 경은 밤 시간만을 다룹니다.
 
* 제복(除服) ~ 脫喪 3년(월을 일로 환산 시행)
1) 36개월
2) 27개월 ~ 2년 24개월 12월 + 1月 + 1 + 1
3) 25개월
* 청나라 15日로 단축, 한국 3日
 
* 수의 단위 ~ 10단위부터 숫자의 크기는 10의 4제곱 단위로 나눠 읽습니다.
1) 일(一 또는 壹), 십(十), 백(百), 천(千), 만(萬),
2) 억(億), 조(兆), 경(京), 해(垓)의 순입니다.
3) 억은 10의 8제곱, 조는 10의 12제곱, 경은 10의 16제곱으로 1만조가 1경이 됩니다.
4) 해는 10의 20제곱으로 1만경이 1해입니다.
5) 해 다음은 자(?), 양(穰), 구(溝), 간(澗), 정(正), 재(載), 극(極), 항하사(恒河沙), 아승기(阿僧祇), 나유타(那由他), 불가사의(不可思議), 무량대수(無量大數), 대수(大數), 업(業)의 순으로 확장.요.
* 출처: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19011816343985046
 
* 삼천대천세계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는 불교의 우주관을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는 한 부처님의 교화가 미치는 광대한 세계를 의미합니다.
 
1) 구조와 의미 ~ 삼천 대천 세계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 단위 : 하나의 세계 (예: 지구와 같은 별)
(2) 소천세계 : 기본 세계 1,000개로 구성
(3) 중천세계 : 소천세계 1,000개로 구성
(4) 대천세계 : 중천세계 1,000개로 구성
따라서 삼천대천세계는 기본 세계의 10억 배(1,000 × 1,000 × 1,000)에 해당하는 거대한 우주 체계를 의미합니다.
2) 불교 경전에서의 언급 ~ 여러 불교 경전에서 삼천대천세계가 언급됩니다:
(1) 화엄경 : 삼천대천세계를 불광(佛光)에 빛나는 세계로 묘사
(2) 법화경 : "오백 천만억 나유타 아승지의 삼천대천세계"라는 표현으로 우주의 광대함을 나타냄
(3) 금강경 : 삼천대천세계의 보물보다 진리를 전하는 공덕이 더 크다고 설명
3) 현대적 해석 ~ 현대 불교학자들은 삼천대천세계를 다음과 같이 해석하기도 합니다:
(1) 소천세계 : 은하단
(2) 중천세계 : 초은하단
(3) 대천세계 : 초초은하단
이는 불교가 단순한 인간 중심의 종교가 아니라 우주적 차원의 사상임을 보여줍니다.
삼천대천세계의 개념은 불교의 광대한 우주관을 반영하며, 현실과 미래를 아우르는 정신적 개벽을 추구하는 불교의 본질을 나타냅니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25강(2023.10.05.) 강의 교안
 
*《論語》〈八佾〉
3-24. 儀封人請見, 曰. 君子之至于斯也, 吾未嘗不得見也。從者見之。出曰 二三子何患于喪乎? 天下之無道也久矣, 天將以夫子爲木鐸。
의 라는 지역에 변두리를 지키는 관리 봉인이 공자를 만나기를 원해서 말하기를 군자로서 여기에 온 내가 일찍이 만나 뵙지 못한 사람이 없다. 공자를 수행하는 분이 공자를 만나게 해 주었다.
만나고 나와서 말하기를 공자의 제자 당신들은 어찌 예악문화를 잃을 걸 걱정하나요? 천하에 도덕이 행해지지 안은지 오래 되었는데 하늘이 장차 공자로서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성인으로 삼아 천하를 교화하게 할겁니다.
 
(注釋)
1) 儀 - 衛邑(河南省 蘭考縣)의名称, 공자 천하 周遊 중 도달한 지역.
2) 封人 - 변방을 지키는 관리
* 화축관의 화축은 화봉삼축(華封三祝)의 줄임말이다. 이것은 장자(莊子)에 기록된 요임금의 고사에서 유래한다. 기록에는 "요임금이 화산(華山) 지역을 시찰할 때, 그 지역의 봉인(封人)이 장수, 부귀, 다남자(多男子)라는 세 가지로 요임금을 축복하였다"라고 하였다. 화산(華山)은 중국 역사에서 매우 특이하며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한 곳이다. 바로 현대의 중국인인 중화민족의 발원지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중국인의 원류는 화산 일대에 거주했던 화하족(華夏族)이었다. 봉인이란 국경을 지키는 관리인데, 고대에는 그 지역을 지배하는 토호 세력을 의미했다. 즉, 화봉삼축이란 중화민족의 본향인 화산의 지배자가 요임금을 세 가지로 축복하였다는 의미이다.
3 )請見 - 공자를 만나 뵙기를 요청함
* 견(見)
1) jiàn ~ 보는 것
2)xiàn~ 나타나다
4) 斯 - 이, 이곳
5) 未嘗 - 일찍이 ~ 한 적이 없다. 즉 본문의 吾未嘗不得見은 내가 일찍이 만나 뵙지 못한 사람이 없다.
6) 從者 - 공자를 시종하는 제자(隨從)
7) 見之 - 그로 하여금 공자를 뵙게 했다. 之는 儀封人
8) 二三子 - 당신들(공자 제자들)
9) 患 - 근심
10) 喪(sàng) - (공자 유랑)관직, 나라 or 예악문화를 잃다.
11) 木鐸 - 목탁, 즉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목탁으로 삼다. 고대에 법령을 선포할 때에 사용함.
以A~爲B~는 A로써 B를 삼다. 즉 以夫子爲木鐸은 공자를 세상에 경종을 울리는 성인으로 삼아 천하를 교화하게 하다.
 
* 시간의 단위
1) 인도 - 僧祗(只)律--刹那(念, 0.018초),二十念(一瞬, 0.36초),二十瞬(一彈指, 7.2초),二十彈指(一羅預, 144초),二十羅預(一須叟, 48분),一日(三十須叟, 24時)
2) 중국 - (서양,2023년 노벨물리학상, 100京分의 1초, 중국은 (+2),納秒, 微秒, 毫秒) 秒, 分, 刻과
柱(15분), 點(24분), 時와 會(1시간, 60분), 辰(2時間),
更(밤 2시간, 저녁7시~다음날 새벽 5시, 5更),
1일-朔, 5일-候, 7일-週, 10일-旬, 15일-氣, 望, 28일-宿, 30일-月, 90일-季,
半年(180일), 1年(秊, 歲(木星), 載)(360일 ; 72候, 24氣(節氣), 除(3년, 喪禮), 紀(12년), 期(100歲), 1000년(千紀)
 
* 三 ~ 많다는 의미입니다.
1) 사람 ~衆
2) 동물 ~群
3) 새 ~ 雥
 
* 三人行必有我師焉 (三은 세 사람이 아니고 여러 사람이란 뜻이다.)
 
*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에서 “朋”의 해석
1) 동문
2) 공부하러 온 학생
 

 
*《史記》〈周本紀〉 注釋
1. 多 - 甲骨文,   원래는 수량이 많다.
《說文解字》「多,重也。從重夕。夕者,相繹也,故爲多。重夕爲多,重日爲曡。凡多之屬皆从多」
다는 중복이다. 석(夕)자가 중복 됬다. 석은 서로 끌러 당긴다.날이 거듭되면 첩이다.
《說文解字注》「多,緟也。緟者,增益也。故爲多。多者勝少者。故引伸爲勝之偁。戰功曰多。言勝于人也」
다는 더하다. 중(緟)은 증가시키다. 고로 다가 된다. 많다는 것은 적은 것을 이긴다.
고로 뜻을 확대시켜서 이기는 것을 일컫기도 한다. 전쟁에서 공을 세우는 것도 다이고, 다른 사람을 이길 때도 다라고 말한다.
 
* 제사
1) 死者爲先 生子爲樂
"죽은 이를 먼저 생각하고, 산 자식을 기쁘게 한다"는 의미입니다.
2) 天神 祭祀 음식 3가지
(1) 조(胙) ~고기
(2) 천(薦) ~ 반찬 (콩나물, 시금치, 쑥)
(3) 신(新) ~ 곡물 (쌀 보리)
* 향(천신을 부르기 위함)과 술(기분 좋게 하기위한)을 추가로 올려드린다.
 
 
1) 많다,
《史記》〈五帝本紀〉「萬國和,而鬼神, 山川, 封禪, 與爲多焉。獲寶鼎,迎日推筴」
제후국들이 화목하고, 귀신, 산천 봉선(天封地禪), 의식(與)이 많아졌다. 왕권을 상징하는 9정을 얻고 날짜를 예측하고 역법을 계산한다.
 
* 구정 ~
1) 3足2耳이나 4足2耳도 있다
2) 구정은 1개라는 설과 9개라는 설이 있다.
3) 정에는 그 지방의 특산물이 새겨져 있다고 한다.
 
《左傳》襄公三十一年「韓子懦弱,大夫多貪,求欲無厭,齊、楚未足與也,魯其惧哉!」
한나라 군주 한자(한기)는 유약하고 대부는 다수가 탐욕스럽다. 욕망을 추구함에 만족이 없다.
제나라와 초나라는 충분히 더불어 말하지 못한다. (더불어 교제할 수가 없다=믿을 수 없다)
노나라는 그것을 두려워한다
 
2) 남다, 잉여,
《水滸傳》第三十九回「更唤酒保計算了,取些銀子算還,多的都賞了酒保」
주보(종사자)를 다시 불러서 계산을 했다. 돈을 꺼내서 갚았다 남는 돈은 모두 주보에게 팁으로 주었다.
 
3) 무겁다,
《老子》44장「名與身孰親?身與貨孰多?得與亡孰病? 甚愛必大費,多藏必厚亡。故知足不辱,知止不殆,可以長久」
명예와 생명(身)어느 것이 믿을 만 한가? 생명과 재산 중에 어느 것을 중시하는가? 명예를 얻는 것과 생명을 잃는 것 중에 어느 것이 더 해로운가(病)? 명예를 지나치게 좋아하면 반드시 대가를 치러야 하고, 지나치게 재산을 축적하면 반드시 크게 망한다.
고로 지족하면 욕되지 않고 그칠 줄 알면 위태롭지 않아서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4) 좋다,
《呂氏春秋》〈謹聽》「聽者自多而不得」
남의 충고의 말을 듣고 스스로의 의견만 다 좋다고 하면 얻는 바가 없다.
 
5) 크다,
《呂氏春秋》〈知度》「爲人主而數窮于其下,將何以君人乎?窮而不知其窮,其患又將反以自多」
다른 사람의 임금이 되어서 빈번히 아래 사람한테 농락당하면 어찌 군주가 백성을 다스릴 수 있겠는가? 농락당하면서도 농락당 한 것을 모르면 장차 오히려 스스로를 크다고 하는 병패를 저지르게 된다.
 
6) 칭찬하다,
《史記》〈管晏列传》「吾嘗三仕三見逐于君,鮑叔不以我爲不肖,知我不遭時。吾嘗三戰三走,鮑叔不以我怯,知我有老母也。公子糾敗,召忽死之,吾幽囚受辱,鮑叔不以我爲無耻,知我不羞小節而耻功名不顯于天下也。生我者父母,知我者鲍子也。鮑叔旣進管仲,以身下之。子孫世禄于齊,有封邑者十餘世,常爲名大夫。天下不多管仲之賢而多鮑叔能知人也」
내가 일찍이 3번 벼슬을 했고, 임금한테 3번 쫓겨남을 당했다. 포숙아는 나를 불초하다고 여기지 않았다. 내가 때를 만나지 못했다고 알아주었다. 내가 일찍이 세번 전쟁터에 나가서 세번 도망갔다. 포숙아는 내가 겁이 있다고 여기지 않고 내게 늙은 어머니가 있음을 안다고 했다. 공자 규가 왕위 쟁탈전에 실패했다. 그래서 소홀이 죽었다. 나는 감옥에서 욕됨만 당했다. 포숙아는 나를 부끄럼이 없다고 여기지 않고, 생활 중 작은 일에 부끄럽지 않고, 그리고 공명을 취해서 천하에 드러나지 못했다. 나 자신을 안건 부모이고, 나 자신을 알아준 것은 포숙아이다.
포숙아는 이미 관중을 추천하고, 자신은 관중의 아래에 들어가 부하가 되었다.
포숙아의 자손은 제에서 대대로 세록을 받고 봉읍을 받은 자도 10여세대이다. 오랫동안 유명한 대부가 되었고, 천하에서 관중의 현명함은 칭찬하지 않고, 포숙아가 사람을 능히 알아본 것을 칭찬한다.
 
7) 중시하다,
《逸周書》〈程典》「爲上不明,爲下不順,無丑。輕其行,多其愚,不知」
위 사람이 되어 현명하지 못하고 아래 사람으로서 순종하지 못하면 부끄러움도 없다.
행동은 가볍고, 우매함을 중시하면 지혜롭지 않은 것이다.
 
8) 단지, 다만, 불과,
《論語》〈子張〉「叔孫武叔毁仲尼。子貢曰. 無以爲也!仲尼不可毁也。他人之賢者,丘陵也,猶可逾也;仲尼,日月也,無得而逾焉。人雖欲自絶,其何傷于日月乎?
숙손무숙이 공자를 비평하니, 자공이 말하기를 “그러지 마라. 공자는 훼손할 수가 없다. 다른 사람의 어짊이란 그저 언덕이다 가히 뛰어 넘을 수 있다. 공자는 日月이다. 초월함을 얻을 수 없다.
사람이 비록 스스로 끊고자 해도 해와 달을 손상시킬 수 없다.
 
 
(2024.12.12 강의 요약자: 주정봉)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