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2025.01.12. 17:04 (2025.01.01. 17:44)

사마천 사기 372강 강의자료 요약 (2024.12.26)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囉嗊曲(其四)〉과 작자 劉采春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望夫歌〉,淮甸, 伶工, 周季崇, 唐代四大女詩人, 桐廬 등......) 및 감상 ; (2) 方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3) 法家의 法(엄형준법-商鞅), 術(신하장악 기술-申不害) 勢(군권 절대성-愼到)와 韓非子, 李斯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뻐꾸기와 飽腹의 전설에 대하여 설명 ; (5) 3尊(事)과 3祀(君, 父, 師의 쌍방윤리와 就養無方과 有方, 致喪, 方喪, 心喪) 등 관련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6) 고대 백과사전, 訓詁學 사전 《爾雅》와 《廣雅》(曹魏, 張揖) 및 별칭 《博雅》에 대하여 설명 ; (7) 《易經》〈繫辭〉의 窮→變→通→久에 의거하여 현 국내상황 진단과 해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사마천 사기 372강 강의자료 요약 (2024.12.26)
 
2024년 12월 26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 唐詩 300首
 
 
1) 당시 제목: “나홍곡(기4)”
2) 당시 중국어 발음
niánbié
zhīdàozhùtóng
tóngrénjiàn
jīnguǎngzhōushū
3) 작자 : 유채춘(劉采春) (PERPLEXITY와 바이두 참조)
유채춘은 당나라의 4대 여시인(女詩人)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녀는 이야(李冶), 설도(薛濤), 어현기(魚玄機)와 함께 당대의 뛰어난 여성 시인으로 인정받았습니다.
유채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한적이지만,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1. 그녀는 당나라 시대의 연극 배우였습니다.
2. 유채춘은 다른 세 명의 여시인들과 달리 도고(道姑, 여성 도사)가 아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3. 설도(薛濤)와 관련된 일화가 있습니다. 설도가 유채춘이라는 연극배우와 사랑에 빠졌다는 소문을 듣고 상심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작자의 고향은 Huaidian(淮甸)과 Yuezhou(越州)였습니다.
그는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나 나중에 오페라단에 합류했습니다. 그녀와 그녀의 남편은 모두 오페라 배우로 극단을 결성해 여행을 다니고 있다. 그녀의 남편 주계숭(周季崇) 은 하이쿠 배우로 군극에 능하다. 유재춘도 노래하는 소녀였는데, 특히 노래를 잘해 나이팅게일 같은 목소리를 가졌고, 당시 강남 지역에서는 유재춘이 노래할 때마다 노래하는 소리가 가득했다.
당말 판우의 『운희유의』에 따르면 유채춘은 당나라에서 유행했던 군사극을 잘 소화한 당나라 중기 여배우였다.
작자는 Zhou Dehua라는 딸을 낳았습니다.
Yuan Zhen이 Yuezhou의 주지사이자 절강 동부 관찰 사절로 재직할 때 유채춘은 남편등과 함께 Huaidian에서 Yuezhou에 왔습니다. "왕부송"은 "낙소송", "당나라 전시"에는 6곡이 수록되어 있다. 독특한 메이크업과 아름다운 외모를 자랑하는 유채춘은 위안진과 7년째 알고 지낸 사이다.
 
* 북경의 상유정책(上有政策)과 광주의 하유대책(下有對策)은 중국의 오래된 속담을 현대적 맥락에 적용한 예시입니다.
1) 상유정책(上有政策)~"상유정책"은 중앙 정부나 상위 기관에서 정책을 만들어 내린다는 의미입니다.
2) 하유대책(下有對策)~"하유대책"은 하위 기관이나 일반 국민들이 상위 정책에 대응하여 자신들의 방식으로 대처한다는 뜻입니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26강(2023.10.12.) 강의 교안
 
*《史記》〈周本紀〉 注釋
1. 方 - 甲骨文,    원래는 쫒아내다.
《說文解字》「并船也。象两舟省緫頭形。凡方之屬皆從方。或從水作汸」
배를 나란히 두다. 배 머리 2개를 묶은 모양이다. 무릇 방에 속한 글자들은 모두 방에 따르고. 물 수를 넣어서 세차게 흐를 방(汸)으로 쓴다.
 
1) 도(道),
《易經》〈恒卦〉「君子以立不易方」
군자는 덕업을 수립해서 도를 바꾸지 않는다.
注.「方,猶道也」
방은 도(道)와 같다
 
2) 술수(術,法),
《易經》〈繫辭〉「方以類聚」
방은 술수로서 모으다. (類聚)
 
疏..「方謂法術性行」 (본성과 행위)
방은 법과 술 그리고 인간의 본성과 행위를 일컫는다.
 
 
* 법가 사상 ~ 군주가 신하를 장악하는 방법 (GEMINI참조)
법가 사상은 춘추전국시대의 혼란 속에서 강력한 통치 체제를 구축하고자 등장한 사상입니다. 법가 사상의 핵심은 명확한 법규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효율적인 통치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습니다. 법가 사상은 크게 법(法), 술(術), 세(勢) 세 가지 요소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법(法) ~ 상앙(商鞅, 기원전 390년 ~ 기원전 338년) 진나라의 법가
• 명확하고 객관적인 법규 : 법가는 모든 백성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명확하고 객관적인 법규를 강조했습니다. 개인의 감정이나 주관적인 판단을 배제하고, 법규에 따라 엄격하게 처벌하는 것을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자 했습니다.
• 법의 공정한 집행 : 법규만 아니라 법의 공정한 집행 또한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누구든 법을 어기면 엄격하게 처벌함으로써 법의 권위를 세우고, 백성들에게 법을 준수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고자 했습니다.
 
2. 술(術) ~ 신불해(申不害, 하남성 정주시 형양시 (? ~ 기원전 337년)는 한(韓)나라의 명재상
• 효율적인 통치 기술 : 술은 군주가 백성을 다스리는 데 필요한 기술을 의미합니다. 법가는 군주가 백성을 다스리는 데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신하를 잘 활용하는 방법을 강조했습니다.
• 신하의 역할 : 법가는 신하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신하는 군주의 명령을 충실히 이행하고, 법을 집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 간신 배척 : 법가는 군주 주변에 아첨하는 간신을 배척하고, 유능한 인재를 등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3. 세(勢) ~ 신도(愼到, 기원전 395년 - 기원전 315년)은 중국의 철학자. 그는 조나라 출신으로 제나라의 직하학궁(稷下學宮)에서 봉사
• 권력의 중요성 : 세는 군주의 권력을 의미합니다. 법가는 군주가 강력한 권력을 가지고 있어야만 법을 효과적으로 집행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 권력 집중 : 법가는 권력을 한 곳에 집중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권력이 분산되면 효율적인 통치가 어렵고,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법, 술, 세의 상호 관계
• 법 :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백성들을 통제하는 도구
• 술 : 법을 효과적으로 집행하고, 군주가 백성을 다스리는 기술
• 세 : 법과 술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권력
 
법가 사상의 영향
법가 사상은 중국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진시황은 법가 사상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통일된 법 체계를 구축하고,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만들었습니다. 법가 사상은 이후 중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법과 정치에도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법가 사상의 한계
법가 사상은 효율적인 통치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지만, 인간의 자유와 권리를 억압하고, 획일적인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또한, 법규에만 의존하다 보면 인간적인 측면이 간과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결론
법가 사상은 명확한 법규와 강력한 권력을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효율적인 통치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했던 사상입니다. 법, 술, 세라는 세 가지 요소를 통해 법가 사상의 핵심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법가 사상은 역사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지만, 그 장단점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현대 사회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 한비자의 주요 내용과 특징
1) 법치주의 강조 : 인간의 본성은 이기적이므로 도덕보다는 법으로 사람들을 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2) 상벌의 명확성 : 법을 어기면 반드시 처벌하고, 법을 잘 지키면 반드시 상을 주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3) 권력 집중 :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통해 효율적인 통치를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4) 현실주의적 관점 : 이상적인 통치보다는 현실적인 문제 해결을 중시했습니다.
 
한비자의 영향
한비자의 사상은 진시황에게 큰 영향을 미쳐, 진시황은 한비자의 주장을 바탕으로 법치주의를 강화하고 통일을 이루었습니다. 하지만 한비자의 엄격한 법치주의는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고 비인간적인 측면도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합니다.
 
3) 쫓다(放),
《書經》〈堯典〉「方命圯族」
명령을 따르지 않고 동족에게 해를 가한다.
《釋文》「方,放也」
방은 따르다.
 
4) 이런 것이 있다(有之, 有這樣的),
《詩經》〈召南〉「維鵲有巢,維鳩方之」
까치가 집을 지었네, 비둘기가 그 안에 있네.
傳「方,有之也」
방은 이런 것이 있다
.
* 뻐꾸기 (飽腹) ~ 포복 중국 고사(飽腹 中國 古祠)
1. 중국에서 뻐꾹이 울음 소리를 바오푸(飽腹)라고 한다.
2. 옛날 2 형제가 아주 가난하게 살았는데 형은 장님이어서 동생이 구걸해 와서 형을 먹여 주고 했다.
가능하면 자기 적게 먹고 형을 많이 주었다. 형은 살이 찌고 동생은 마른 채로 몇 년이 흘러요.
형이 안 보이므로 동생이 먹는 소리가 안 들리므로 형이 의심이 들었다. 동생은 밖에서 맛 있는 것 먹고 형에게 이런 것만 주는 것으로 의심하게 되었다. 그 의심이 쌓이고 싸여 한 번 식사 때 동생의 팔을 만져 보려고 잡았는 데 동생의 다리를 잡았다. 다리를 팔로 오해해서 동생이 살이 쪄 있다고 오판한 즉시 화가 나서 칼로 동생을 죽였다. 죽은 동생이 뻐꾸기가 되어 형이 지금도 잘 먹고 있는지 주위에 날아와 “바오푸 바오푸” 하면서 살핀다는 중국고사가 있고, 이것이 한국에 전해져 뻐꾸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 버꾸기 한국 설화
㉠ 첫째는 「떡국새 전설」이다. 옛날에 마음씨 고약한 시어머니와 착한 며느리가 있었다. 어느 날 며느리가 떡국을 퍼 놓고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에 개가 달려들어 먹어치우고 도망갔다. 시어머니는 이를 며느리의 소행으로 생각하고 홧김에 몽둥이로 때린다는 것이 며느리를 죽이고 말았다. 며느리의 원통한 넋은 새가 되어 날아가며 “떡국 떡국 개개개”하고 자신의 무죄를 주장하였는데, '떡꾹은 내가 안먹고 개가 먹었다'는 뜻이라고 한다. ‘뻐꾹새’는 ‘떡국새’가 변하여 된 것이다.
㉡ 둘째는 「풀국새 전설」이다. 이 유형은 「콩쥐팥쥐」이야기에 접속된다. 계모의 학대에 시달려 굶주리던 전처의 딸은 호청에 들일 풀을 보고 정신없이 퍼 먹다가 계모에게 맞아 죽고 말았다. 딸의 원통한 넋이 한 마리 새가 되어 날아가며 “풀국 풀국”하고 울었다. ‘뻐꾹새’란 풀국을 먹다가 죽은 딸이 환생한 ‘풀국새’가 변음된 것이다.
㉢ 셋째는 「나무꾼과 선녀」설화에 접속된 것이다. 두레박을 타고 승천하여 그리던 처자와 단란한 생활을 누리던 나무꾼은 다시 지상에 남기고 온 노모가 보고 싶어 견딜 수가 없었다. 이에 나무꾼의 아내가 천마 한 마리를 주며, 지상으로 내려가되 말이 세 번 울기 전에 반드시 승천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영원히 승천하지 못할 것이라 당부하였다. 아들을 만난 노모는 반가운 나머지 아들이 좋아하던 박국을 끓여주었다. 그러나 너무 뜨거워 미처 먹지 못하는 사이에 천마는 두 번 울었다. 아들은 급히 서두르다 뜨거운 박국을 말 등에 엎질렀다. 깜짝 놀란 말이 펄쩍 뛰는 바람에 나무꾼은 땅으로 떨어졌고 말은 세 번째 울음을 울고 승천하여 버렸다. 그리하여 하늘나라로 되돌아가지 못한 나무꾼의 원혼은 새가 되었고, 박국 때문에 승천하지 못했다고 하여 “박국 박국”하게 되었다고 한다.
 
5) 지금(今),
《詩經》〈秦風〉「方何爲期」
지금 언제 만나기로 할까?
箋「方今以何時爲還期」
지금 언제 돌아올 것으로 할까요?
 
* 方今 = 至今= 現今= 如今= 而今 = 現在= 時今 (正時, 當時)
* 經方(=古方) ~ 옛날 처방
 
 
*《대학》(大學) (GEMINI참조)
대학은 사서오경의 하나인 유교 경전이나, 본래 《소대예기》(小戴禮記)의 제42편 인데 , 송나라 시대에 주자가 성리학이 확립하면서 사서의 하나로 만들었다.
《대학》의 원작자에 대해서는 정설이 없는데, 주희는 경문 1장을 증자가 지었고, 전문 10장을 증자의 문인이 해설했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대학의 본문중 증자 왈로 시작되는 문구로 기인한 주희 개인의 추측에 의한 단정 이였을 뿐이다.
경문은 성인이 직접 언급한 진리, 전문은 성인에 버금가는 현인이 경문을 정리한 것이라는 의미이다. 삼강령을 밝힌 부분을 경문으로, 팔조목을 밝힌 부분을 전문으로 보았다. 주희는 사서체제를 정립하면서 공자(논어) -> 증자 -> 자사(중용) -> 맹자(맹자)의 도통이 필요했고 이 과정에서 대학을 증자의 저서라 하진 못하더라도 증자와 관계 있는 책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고고학적 성과인 곽점초 묘 죽간의 발견으로 자사의 문인들이 작성했을 것이라는 견해가 대세가 되었고 자사나 그의 문인들이 저술한 중용을 계승하고 있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사서의 시대적 저작 시기도 논어-중용-대학-맹자 순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있다
주희가 정이의 설을 따라 3강령 중 ‘親民’을 ‘新民’으로 고치고, 본래 있던 성의·정심·수신·제가·치국·평천하 조 앞에 격물과 치지의 장을 새로 지어 보망(補亡)한 8조목을 만든 이래, 송대 성리학을 존숭하는 이들과 고본 《대학》에 충실하고자 하는 이들 사이에 수많은 논란이 있었다. 왕수인은 ‘친민’이 옳다고 하여 고본 《대학》을 따랐으니, 주자학과 양명학의 차이점 가운데 하나가 된다. 주희는 사서를 대학, 논어, 맹자, 중용의 순으로 읽으라 할 정도로 대학을 중요시했다.
현대 학자들의 견해는 주희는 그가 정의하여 해석한 고전의 시각으로 공자와 맹자를 정의하려 했다면 왕수인은 공자와 맹자의 시각으로 고전을 해석하려 했다는 점이 다르다고 말한다 개인의 시각이냐 공맹의 생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냐가 다를 뿐이다.
 
 
* 후한 말기의 학자, 정현(鄭玄) (GEMINI참조)
정현(鄭玄)은 중국 후한 말기의 대표적인 유학자로, 13경에 대한 해석과 주석을 통해 유교 학문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인물입니다. 특히, **훈고학(訓古學)**이라는 학문 분야를 발전시켜 경전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를 깊이 있게 연구하고 해석하는 데 힘썼습니다.
1.정현의 업적과 중요성
1) 13경 주석: 정현은 시경, 서경, 주역 등 13경에 대한 방대한 주석을 남겼습니다. 그의 주석은 단순히 문자의 의미를 풀이하는 것을 넘어, 당시 사회의 가치관과 사상을 반영하며 유교 경전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해석하고자 했습니다.
2) 훈고학의 대성: 정현은 경전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를 깊이 있게 연구하는 훈고학을 발전시켜 후대 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훈고학은 문자의 형태, 음운, 의미 등을 꼼꼼하게 분석하여 경전의 원래 의미를 파악하려는 학문입니다.
3) 유교 경전의 권위 확립: 정현의 주석은 유교 경전의 권위를 더욱 확고히 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그의 해석은 후대 유학자들에게 오랫동안 참고되었으며, 유교 사상의 체계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공영달(孔穎達, 574-648) : 유학의 거성(GEMINI참조)
1.유교 경전 해석의 대가
공영달은 당나라 시대를 대표하는 유학자로, 유교 경전 연구에 깊이 몰두하여 후대 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오경정의(五經正義)**를 편찬하여 유교 경전 해석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며 유학 사상의 체계화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2.오경정의의 중요성
오경정의는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 등 유교의 핵심 경전에 대한 상세한 해석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은 이후 수많은 유학자들에게 필독서가 되었으며, 유교 경전 연구의 표준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오경정의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유교 학문의 체계화 : 다양한 학설이 난립하던 유교 경전 해석에 대한 통일된 기준을 제시하여 유교 학문을 체계화했습니다.
2) 문화적 통합 : 남북조 시대 이후 분열되었던 유교 학문을 통합하고, 당나라 문화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3) 후대 유학에 미친 영향 : 오경정의는 조선 시대를 비롯한 동아시아 유학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유교 사상의 발전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3.공영달의 다른 업적
1) 수서(隋書) 편찬 : 위징 등과 함께 수나라 역사를 기록한 수서 편찬에 참여했습니다.
2) 효경의소(孝經義疏) 편찬 : 폐태자 이승건의 명으로 효경에 대한 해석서인 효경의소를 편찬했습니다.
3) 과거 제도 개선 : 과거 제도를 개선하여 유능한 인재를 선발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莊子》〈天地〉「方且本身而異形」
장차 스스로를 변하지 않는 근본으로 삼고 그리고 외부나 바깥의 모든 것은 변하여 이형 다른 것이 된다.
注..「凡言方且者,言方將有所爲也」
무릇 방차는 방장을 말하고 소위 할 바가 있음을 말한다.
 
6) 곡식이 아직 열매를 맺지 않은,
《詩經》〈小雅〉「旣方旣皁」
이미 곡식이 싹이 트고 이미 알갱이가 여물어 졌다.
 
箋「方,房也。謂孚甲始生而未合時也」
싹(孚甲)이 트나, 아직 때에 맞지 않음을 이른다.
 
7) 아우르다(倂),
《儀禮》〈鄕射禮〉「不方足」
충분히 아우르지 못했다.
注「方,猶倂也」
방은 “아우르다”이다.
 
8) 한쪽에서 나오다(旁出),
《儀禮》〈大射禮〉「左右曰方」
한 가운데 빼고 양 옆이 방이다.
注「方,旁出也」
방은 옆에서 나오는 것이다.
 
9) 판(板),
《儀禮》〈聘禮〉「不及百名,書於方」
백명에 못 미쳤다. 나무판에 썼다.
注「方,板也」
방은 나무 판이다.
 
* 簡冊 ~ 대나무를 엮어 만든 것
板牘~ 나무 판자를 엮어 만든 것
간독학(簡牘學) ~ 간책과 판독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禮記》〈中庸〉「布在方策」
대나무판에 기록(布)하였다. (策= 簡冊)
注「方,板也。策,簡也」
방는 판(板)이고 책은 간(簡)이다.
 
10) 항상(常),
《禮記》〈檀弓〉「左右就養無方」
좌우에서 나아가 봉양함에는 일정한 법칙이 없다.
注「方,猶常也」
방은 항상이다.
 
 
 
* 以日代月~ (바이두 참조)
이것은 황제가 죽은 후 왕위에 오른 왕자가 3년, 총 36개월 동안 애도해야 했던 고대의 의례 제도를 말합니다. 그리고 애도 기간을 원래의 36개월을 대신하여 36일로 단축했습니다.
이 제도의 배경은 고대 황제가 죽은 후, 왕자가 죽은 황제에 대한 깊은 애도를 표현하기 위해 3년 동안 애도해야 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한나라 문제는 3년의 애도는 너무 길어서 국가의 정상적인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애도 기간을 36일로 단축했다. " 이런 종류의 개혁은 원 황제의 전통 의례에 대한 존중을 반영했을 뿐만 아니라 국정에 대한 그의 강조도 반영했습니다. 사료에는 '한서: 원제(文帝) 연대기'에 한나라 원제(文帝)의 상례 방식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각 단계에 따른 애도 시기와 색상도 포함되어 있다. 이 제도는 한나라 원제(文帝) 이후 역대 황제들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고대 황제들의 전통 의례와 국사 간의 균형을 보여주는 방편적인 제도가 되었다. 나중에 27일로 변경되었다.
 
* 窮變通久 (GEMINI참조)
궁변통구(窮變通久)는 주역의 계사전에 나오는 말로,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고, 통하면 오래간다"는 뜻입니다.
즉, 어떤 상황이 극한에 이르면 반드시 변화가 일어나고, 그 변화를 통해 새로운 길이 열리며, 그 길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1) 의미와 해석
• 변화의 필요성: 어떤 상황이 고착되거나 극한에 이르면 변화는 필연적입니다. 변화를 거부하거나 두려워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변화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 위기는 기회: 위기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긍정적인 측면을 찾고, 변화를 통해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 합니다.
• 지속 가능성: 변화를 통해 얻은 성과는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발전하고 노력해야 오랫동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현대 사회에서의 의미
궁변통구는 단순히 과거의 철학적 개념이 아니라,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데에도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 개인의 성장: 인생의 어려운 시기를 겪을 때 변화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해야 합니다.
• 기업 경영: 시장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기업은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혁신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해야 합니다.
• 사회 변화: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존의 시스템과 관념을 바꾸는 변화가 필요합니다.
 
3) 결론
궁변통구는 변화와 성장, 지속 가능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철학적 원리입니다. 우리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궁변통구의 지혜를 배우고 실천하여 더 나은 삶을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11) 문장(文),
《禮記》〈樂記〉「變成方謂之音」
소리가 서로 호응하여 변화가 생기고 그 변화는 문장이 되고 그래서 소리라고 일컫는다.
声相應故生變
注「方,猶文章也」
방은 여러 문장과 같다.
 
12) 의의 마땅함(義之宜),
《左傳》隱公三年「臣聞愛子,敎之以義方」 又 閔公二年「授方任能」
은공 3년 뒤에 신이 자식을 사랑한다는 말을 들었는 데 마땅함으로 가르쳐야 한다.
또 민공 2년에 의의 마땅함을 받아 가지고 가르치고, 능력 있는 자를 임명한다.
注「方百事之宜也」
방는 많은 일들에 마땅함이다.
 
13) 비유(比方),
《論語》〈憲問〉「子貢方人。子曰賜也賢乎哉? 夫我則不暇」
자공이 다른 사람의 장단점을 논하니까, 공자께서 자공아 너가 현명하냐? 나는 그렇게 네 말 들어 줄 정도로 한가하지 않다.
何晏 注「比方人也」
다른 사람을 비유하는 곧 장단을 논의하는 것이다.
 
14) 크다, 바르다(大, 正),
《博雅》「方,大也,正也」
방은 “크다. 바르다”이다.
 
 
* 박아(博雅) (GEMINI참조)
박아(博雅)는 이아( 爾雅)를 모방해 쓴 책으로서 위(魏)나라의 장읍(張揖)이 지은 10권으로 된 자서(字書)로서, 광아(廣雅)라고도 한다. 넓고 깊은 학문적 소양을 갖추고, 세상의 이치를 폭넓게 이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단순히 많은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통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상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1. 박아(博雅)의 핵심 개념
• 다양한 분야의 지식 습득: 문학, 역사, 철학, 예술,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갖추는 것입니다.
• 지식의 통합: 습득한 지식들을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하고 통합하여 새로운 시각을 얻는 것입니다.
• 세상에 대한 깊은 이해: 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세상의 현상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그 이면에 숨겨진 의미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 끊임없는 학습: 새로운 지식을 탐구하고, 기존의 지식을 끊임없이 업데이트하는 자세를 의미합니다.
 
2. 박아(博雅)의 중요성
박아(博雅)는 개인의 성장과 사회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창의적인 사고력 증진: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 소통 능력 향상: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을 위한 공통의 언어를 제공하고, 서로 다른 관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리더십 함양: 넓은 시야와 깊이 있는 사고를 바탕으로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비전을 제시하고, 사람들을 이끌어갈 수 있습니다.
• 인생의 풍요로움: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는 과정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박아(博雅)를 위한 노력
• 독서: 다양한 분야의 책을 꾸준히 읽고, 깊이 있는 사고를 하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 토론: 다른 사람들과의 토론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여행: 다양한 문화와 환경을 경험하며, 세상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습니다.
• 취미 활동: 예술, 음악, 스포츠 등 다양한 취미 활동을 통해 균형 잡힌 삶을 살 수 있습니다.
 
4. 결론
박아(博雅)는 단순히 많은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삶을 풍요롭게 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중요한 자질입니다.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는 자세를 통해 박학다식한 인물로 거듭나기를 바랍니다.
 
 
* 이아 (爾雅) (GEMINI참조)
중국 고대의 중요한 문헌 중 하나로, 사전과 백과사전의 성격을 모두 갖춘 책입니다. 주로 명칭과 의미를 짝지어 설명하고 있으며, 특히 동식물, 천문, 지리, 사회 등 다양한 분야의 용어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1. 이아의 특징과 중요성
1) 명칭 해석: 당시 사람들이 사용하던 다양한 사물과 현상의 명칭을 해석하고, 그 의미를 설명합니다.
2) 동의어 및 반의어 제시: 같은 의미를 가진 다른 표현이나 반대되는 의미의 표현을 제시하여 단어의 뉘앙스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고전 연구의 기초 자료: 후대 문헌의 어휘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필수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4) 중국 문화 이해의 창: 고대 중국인들의 사고방식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2. 이아의 구성
이아는 크게 釋詁(석고), 釋言(석언), 釋訓(석훈), 釋形(석형), 釋蟲(석충), 釋鳥(석조), 釋獸(석수), 釋魚(석어), 釋草(석초), 釋木(석목) 등의 장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각 장에서는 해당 분야의 명칭과 의미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 釋詁(석고): 일반적인 명칭과 의미를 설명합니다.
• 釋言(석언): 어휘의 유래나 다른 뜻을 설명합니다.
• 釋訓(석훈): 명령어나 금지어 등의 의미를 설명합니다.
• 釋形(석형): 사람의 신체 부위나 동물의 형태를 설명합니다.
• 釋蟲(석충): 곤충류를 설명합니다.
• 釋鳥(석조): 새를 설명합니다.
• 釋獸(석수): 짐승을 설명합니다.
• 釋魚(석어): 물고기를 설명합니다.
• 釋草(석초): 풀을 설명합니다.
• 釋木(석목): 나무를 설명합니다.
 
3. 이아가 후대에 미친 영향
이아는 중국 문학, 역사,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사전 편찬과 백과사전 제작의 기초를 마련했으며, 후대 학자들의 어휘 연구와 문헌 해석에 필수적인 자료로 활용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아는 중국 고대의 지식 체계를 집대성한 중요한 문헌으로, 중국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자료입니다.
 
15) 제사 명칭(祭名),
《詩經》〈小雅〉「以社以方」
각 방면의 귀신들을 제사 지내는 것이다.
傳「迎四方氣於郊也
교외에서 사방의 기운을 맞이하다.
 
16) 地名,
《詩經》〈小雅〉「侵鎬及方」
주나라 수도인 호경과 방을 침범했다.
注「鎬,方,皆北方地名」
호경과 방은 모두 북방의 지명이다.
 
17) 姓,
《詩經》〈小雅〉「方叔涖止」
경대부인 방숙이 임지에 도달하다(부임하다)'
傳「方叔,卿士也」
방숙은 경대부다.
 
18) 官名, ~관직의 명칭이다.
《周禮》〈司馬〉「職方氏,土方氏,懷方氏,合方氏,訓方氏,形方氏」
 
19) 의약 처방,
《史記》〈扁鵲傳〉「乃悉取其禁方書,盡與扁鵲」
그 금지한 방서(처방전)를 모두 거둬들여서 다 편작에게 주었다.
또 《前漢書》〈郊祀志〉「少君者,故深澤侯人主方」
소군은 그런 까닭에 심택후 (한고조 유방을 도와 큰 공을 세운 조장야이다)의 사람들이 약 처방을 주관했다.
注「侯家人主方藥也」
심태후의 사람들이 약 처방을 주로 한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27강(2023.10.19.) 강의 교안
 
* 《論語》〈八佾〉
3-26. 子曰 居上不寬,爲禮不敬,臨喪不哀,吾何以觀之哉?
통치자의 자리에 있으면서 관대하게 하지 않고, 예를 행할 때 공경하지 않고, 조상에 임해서 슬퍼하지 않으면 내가 어찌 그것을 보겠는가?
 
1) 居 - 擔當하다(모종의 지위 혹은 신분)
2) 上 - 지위가 높은, 통치지위
3) 寬 - 寬厚仁慈
4) 爲 - 行하다
5) 禮 -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그러나 여기서 禮는 執事이고 執事의 의미는 (관리가)백성의 일처리 하다를 가리킨다. 그래서 執事不敬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執事는 禮와 같고, 禮와 敬은 동일 의미이다.
《論語》〈子路〉「居處恭,執事敬」
恭은 밖으로 드러난 謙遜하고 예의 있는 모습이고,
敬은 마음속의 엄숙하고 공경하는 태도를 말한다.
6) 敬 - 嚴肅恭敬
7) 臨 - 대하다, 만나다, 당하다.
8) 喪 - 초상, 喪事를 치르다.
9) 哀 - 내심에 진정한 슬픔(哀戚)
10) 何以 - 무엇으로써, 왜, 어찌
11) 觀 - 자세히 보다, 보고 싶지도 않다.
《春秋》莊公23年「常事曰視, 非常曰觀。觀, 無事之辭也」 이에 대하여
《朱子集注》「居上主于愛人, 故以寬爲本。爲禮以敬爲本, 臨喪以哀爲本。旣無其本, 則以何者而觀其所行之得失哉?」
상사 통상적인 것은 시(視)이고 어쩌다 한 번 행해지는 것은 관(觀)이다. 관은 어떤 일함이 없다는 그런 단어이다.
주자는 통치자의 자리에 있을 때에는 백성을 사랑하는 것을 위주로 해야 하고, 고로 관대함을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 예를 행할 때 관리가 백성의 민원 업무를 행할 때 백성을 공경하는 것을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 그리고 조상을 당했을 때에는 슬퍼하는 것이 근본이다.
이미 그 근본이 없는 데 그 행하는 것의 득실을 보겠는가?
後外 - 何以觀之는 왜 그런 인간들을 봐야 하는가, 즉 「吾不欲觀之」, 즉 「不想看」 보고 싶지 않다의 의미이다.
12) 之 - 위에 열거한 3가지 종류의 인간
 
 
(2024.12.26 강의 요약자: 주정봉)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