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천 사기 373강 강의자료 요약 (2025.1.9)
2025년 1월 9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 唐詩 300首
1) 당시 제목 : “유자음” 2) 당시 중국어 발음 慈 | 母 | 手 | 中 | 線 | cí | mǔ | shǒu | zhōng | xiàn | 游 | 子 | 身 | 上 | 衣 | yóu | zǐ | shēn | shàng | yī | 臨 | 行 | 密 | 密 | 縫 | lín | xíng | mì | mì | féng | 意 | 恐 | 迟 | 迟 | 歸 | yì | kǒng | chí | chí | guī | 誰 | 言 | 寸 | 草 | 心 | shuí | yán | cùn | cǎo | xīn | 報 | 得 | 三 | 春 | 暉 | bào | dé | sān | chūn | huī |
3) 작자 : 맹교(孟郊, 751-814) (PERPLEXITY참조) 맹교는 당나라 시대의 시인으로, 그의 자는 동야(東野)이며 현재 절강성 덕청 출신입니다. 맹자의 후손이다. (1) 맹교의 생애와 작품의 특징 - 젊은 시절 숭산(嵩山)에 은거했고, 성격이 결백하고 사리에 밟았다. - 여러 차례 진사 시험에 낙방한 후 45세 무렵에 합격하였다. - 율양위(溧陽尉)와 수륙전운판관(水陸轉運判官) 등 말직과 한직을 전전하며, 가난하게 살았다. (2) 시인으로서의 특징 - 시작(詩作)에 몰두하여 '시囚(시수)'라는 별칭을 얻었습니다 - 시의 격식을 매우 중시했고, 정확한 시어 선택에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 한유(韓愈)의 복고주의에 동조하여 악부나 고시를 많이 지었습니다 - 가도(賈島)와 함께 '郊寒島瘦(교한도수)'로 평가받았습니다. (3) 대표작 - 맹교의 대표작 중 하나는 "유자음(遊子吟)"입니다. 이 시는 어머니의 사랑과 아들의 효심을 섬세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많은 이들의 가슴을 울리는 명작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맹교의 시는 고독한 느낌이 있으면서도 형식을 중시하는 특징을 보여, 당시 문학계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 惧內(구내: 恐妻家) 兩情相悅, 時間久而久之, 由愛成畏. 1) 兩情相悅(양정상열) : 두 사람의 마음이 서로를 좋아하며 조화로운 상태. 2) 時間久而久之(시간구이구지) : 시간이 오래 지나며 변화가 발생. 3) 由愛成畏(유애성외) : 사랑에서 시작하여 두려움으로 발전하는 감정. 남자들은 결혼 초기에 서로 사랑하며 다정했던 부부가 시간이 지나며 관계의 역동성에 따라 다른 감정으로 변화. 사랑이 깊을수록 상대를 잃거나 실망시키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음. 특히 전통적인 가부장적 구조에서 남성이 가사나 아내의 역할을 이해하지 못하다가, 늙어서 아내의 강한 주장에 눌리면서 두려움을 느끼는 상황이 발생.
* 大學之道 在明明德 在親(新)民 在止於至善 1)大學 (1) 大人之學 가. 大人 가) 귀족 자식 나) 15세에 小學 後 大學에 입학 다) 관리가 되려는 자 라) 스스로 聖人이 되려는 자 (2) 교육기관 (3) 공자가 남긴 책
2) 道 ~ 종지(宗旨), 대의, 큰 뜻 3) 在 = 當 = 마땅히 ~에 있다 4) 明 ~ 드러내다 (顯) 5) 明德 ~ 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은 천부적 本性으로 광명정대한 품덕이다. (=仁義禮智) 6) 親民 ~ 백성을 교화해서 7) 新民 ~ 백성을 새롭게 해서
<본문해석> 대개 내가 그것을 듣자 하니, “敬”이라는 한 글자는 공자 학문(聖學)의 시작이 되고 끝이 되는 바이다.
소학을 공부하는 애들은 이것(天賦的 本性)으로 말미암지 않을 수 없다. 진실로 본성을 함양할 방법이 없다. (敬을 배우지 않고는 다음의 것들은 쓸 데 없게 된다.) 확실히(謹) 저(夫) 물뿌리고 청소하고 접대하고 들락날락하는 예절과 저 六藝를 외운다.
대학을 공부하는 애들은 이것(天賦的 本性)으로 말미암지 않을 수 없다. 역시 총명함을 개발하고 덕성을 함양하는 데에 나아가고, 학문을 닦고 그렇게 해서 명덕 신민의 공에 이를 방법이 없다. 그래서 이에 따라 정자가 격물하는 방법을 드러냈다. 그리고 이것으로 주장을 삼았다
“경”은 일심(一心) 주제이고, 만사의 근본이다. 그 힘을 쓰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즉 소학자도 敬에 의하지 않고는 시작이 될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 소학이 敬에 의해 시작됨을 알면 즉 대학도 이 敬에 의해서 마침이 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가히 하나로서 꿰고(一以貫之) 의심할 것이 없다. 대개 이 마음이 세워지면 이로 말미암아 격물치지 해서 사물의 이치를 다 알게 된다.
즉 소위 “尊德性 導問學이다. (소학을 할 때도 “敬”에서 시작해야 하고, 대학에서도 “敬”에 의해서 마쳐야 한다. 그래야 格物致知 誠意正心 修身齊家 治國平天下。<격물치지 성의정심 수신제가 치국평천하> 할 수 있다)
1) 주희 《중용장구》 존심 그 하늘부터 부여 받은 그 깨끗한 그 광명정대한 그 마음을 유지하고, 도체 우주 만물의 본체의 큰 엄청남의 극에 이르도록 하고, (그 마음을 한없이 확장 시킴) 그 다음 도문학은 내가 아는 것을 최고로 끌어 올리고 우주 만물의 세부적인 것을 다 이용할 줄 아는 것이다. 2) 《주문공문집》 <답항평부> 대저 子思이래사람을 가르치는 방법에는 오직 尊德性 道門學 이 두가지가 힘을 써야 할 요체이다. (道는 사물이 마땅히 행해지는 원리이고, 道體는 우주의 근원이요 우주 만물의 운행의 기준이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27강(2023.10.19.) 강의 교안
* 《史記》〈周本紀〉 注釋 1. 旣 - 甲骨文, 원래는 그릇 앞에 앉아서 바라보는, 또는 배부른 모습 ; (여자와 제기) 《說文解字》「旣, 小食也。从皀旡聲。論語曰.不使勝食既」 旣는 적게 먹는 거다. 글자는 旣jì 의 “皀”를 따르고 소리는 旡jì를 따른다.
* 향당(鄕黨) “肉雖多, 不使勝食旣氣, 唯酒無量, 不及亂 공자의 식사 예절과 음주 태도를 설명합니다. 이 구절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육수다(肉雖多): 고기가 많이 있더라도 2. 불사승식기기(不使勝食旣氣): 밥보다 많이 먹지 않는다 3. 유주무량(唯酒無量): 오직 술에 대해서는 정해진 양이 없으나 4. 불급난(不及亂): 어지러움에 이르지 않는다 공자는 고기를 과도하게 먹지 않고 밥과 균형 있게 섭취했습니다. 술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았지만, 결코 취하여 어지러워지는 정도까지 마시지 않았습니다.
1) 다하다, 완료하다, 《莊子》〈應帝王〉「列子見之而心醉, 歸, 以告壺子, 曰. 始吾以夫子之道爲至矣, 則又有至焉者矣。壺子曰. 吾與汝旣其文,未旣其實, 而固得道與? 衆雌而無雄, 而又奚卵焉!」 列子가 그것을 보고 마음에 도취되어 돌아가 자기 선생인 壺子에게 고하기를 “처음에 나는 선생님의 도리가 최고인 줄 알았습니다. 즉 또 깨우친 자가 있네요.” 호자가 대답하시기를 내가 너에게 준 것은 겉으로 드러난다(형식적인 것). 그 실직적인 것은 아직 다 주지 않았다. 확실히 그 뜻을 깨우쳤느냐? 암컷이 많고 수컷이 없으면 또 어찌 알을 낳겠느냐?”
* 雌 = 牝, 雄 = 牡 * 壺子 即壶丘子,名林。战国郑人,列子之师。
2) 日蝕(月蝕), 《春秋》桓公三年「秋七月壬辰朔,日有食之,旣」 가을 7월달 임진날 초하루에 일식이 있었다. 태양이 완전히 가렸다.
3) 끝나다, 韓愈, 〈進學解〉「言未旣,有笑于列者曰. 先生欺余哉!弟子事先生,于兹有年矣。先生口不絶吟于六藝之文,手不停披于百家之编。記事者必提其要,纂言者必鉤其玄。貪多務得,細大不捐。焚膏油以繼晷,恒兀兀以窮年。先生之業,可謂勤矣」 <학문을 증진하는 해석> 말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어떤 사람이 행열 중에 웃고 있었다. 선생님이 우리를 속이는 것 아닌가요? 제자는 선생님을 섬기는데 여러 해가 되었고, 선생님은 입에서 육예를 읇조리기를 끊이지 않았다. 손은 백가의 책을 펴는 걸 멈추지 않았다. 어떤 사건을 기록하는 사람은 그 요점을 드러내야 한다. 편집하는 사람은 갈고리로 심오한 의미를 걸어 올리고, 많이 읽고 얻기를 힘쓴다. 작은 지식이나 큰 사상도 버리면 않된다. 기름을 태워 어둠을 밟히고, 평생 항상 게으름을 피우지 않았다. 선생의 학업은 가히 열심히 노력했다.
* 붉은 글씨는 현전하는 책이다.
* 六家 ~ 儒,墨,道,法,名,陰陽 九家 ~ 六家 + 農,雜,縱橫 十家 ~ 九家 + 小說 十二家 ~ 十家 +兵家+醫家 * 宋代13經 (3經, 3禮, 3傳, 爾雅, 孝經, 論語, 孟子) * 淸代 乾隆帝 13經注疏本
* 縱横家:鬼谷子 귀곡자는 기원전 4세기경 전국시대를 살았던 정치인이자 사상가로, 제자백가 중 종횡가에 속합니다. 전설에 따르면 성은 왕(王)씨이고 이름은 후(詡)라고 합니다. 제나라 또는 초나라 출신으로 추정됩니다. 귀곡자라는 이름은 그가 귀곡이라는 곳에서 은거했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귀곡 선생'(鬼谷先生)이라고도 불렸습니다 그의 제자로 소진과 장의가 있었고, 그들의 활약을 통해 귀곡자는 당대 최고의 외교가이자 전략가로 이름을 떨쳤습니다.
1) 귀곡자의 사상과 가르침 귀곡자는 단순히 말 잘하는 사람을 넘어, 사람의 심리를 꿰뚫어보고 상황을 판단하여 유리하게 이끌어내는 뛰어난 능력을 가졌다고 전해집니다. 그의 사상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람의 마음을 읽는 법 : 상대방의 표정, 행동, 말투 등을 통해 그들의 속마음을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황을 유리하게 이끌어내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 설득의 기술 : 논리적인 주장과 감성적인 호소를 적절히 활용하여 상대방을 설득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전략과 전술 : 다양한 상황에 맞는 전략과 전술을 제시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 인간관계론 : 사람들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유지하고, 필요한 경우 사람들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2) 귀곡자의 영향력 귀곡자의 사상은 당대와 후대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종횡가의 발전 : 귀곡자는 종횡가를 대표하는 인물로, 그의 사상은 종횡가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정치가와 전략가들에게 영감 : 귀곡자의 사상은 정치가와 전략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그들이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 현대 사회에도 적용 : 귀곡자의 사상은 단순히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도 리더십, 협상, 설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치 있는 지혜입니다.
3) 《귀곡자》 저서 귀곡자의 사상은 《귀곡자》라는 책으로 전해집니다. 이 책의 저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현존하는 형태는 육조시대 사람이 귀곡자의 이름을 빌려 엮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책의 주요 내용은 선진시대 종횡가들의 이론을 포함하고 있어, 귀곡자의 사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귀곡자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와 해석 • 신비로운 인물 : 귀곡자는 깊은 산 속에서 수련하며 신비로운 능력을 습득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옵니다. 이러한 이야기는 귀곡자를 단순한 정치가나 사상가를 넘어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인물로 만들었습니다. •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 귀곡자는 정치뿐만 아니라 병법, 음양오행, 풍수지리 등 다양한 분야에 능통했다고 합니다. 이는 귀곡자가 단순히 말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시대를 앞서가는 지식인이었음을 보여줍니다. • 후대에 미친 영향 : 귀곡자의 사상은 후대의 정치가, 군사 전략가, 그리고 소설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삼국지의 제갈량이나 수호지의 무송 등이 귀곡자의 사상을 계승한 인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5) 귀곡자의 사상이 현대 사회에 주는 시사점 • 리더십 : 상대의 마음을 읽고 설득하는 능력은 리더십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 전략적 사고 : 복잡한 상황을 분석하고 최적의 해결책을 찾는 능력은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 소통 능력 :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관계를 구축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6) 귀곡자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 • 권모술수 : 귀곡자의 사상이 권모술수를 조장하고, 정치적 음모를 부추길 수 있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 현실주의의 극단 : 귀곡자의 사상은 현실주의에 치중하여 도덕적인 측면을 간과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姜夔, 《白石詩話》「悲如蛩螀曰吟,通乎俚俗曰謠,委曲盡情曰曲(GEMINI참조) • 「吟」:悲涼的意境 o 姜夔將「吟」與蟋蟀、蟈蟈的鳴叫相聯繫,生動地描繪出這種詩歌形式所營造的悲涼、低沉的意境。 o 這種悲傷的情調,往往源於詩人對人生、社會、情感等方面的感悟,通過詩歌的形式,將內心的悲愁表達出來。 • 「謠」:通俗的語言 o 「謠」的特色在於其語言的通俗易懂,貼近民間生活。 o 這種詩歌形式往往具有較強的口頭性,容易被廣大民眾所接受和傳唱。 o 通過使用通俗的語言,詩人能夠更直接地表達情感,拉近與讀者的距離。 • 「曲」:細膩的情感 o 「曲」的特點在於其情感的細膩曲折,能夠充分表達詩人的內心世界。 o 這種詩歌形式往往具有較強的抒情性,能夠將詩人的喜怒哀樂、悲歡離合等情感淋漓盡致地表現出來。 o 通過曲折的表達方式,詩人能夠更深入地挖掘情感的內涵,給人留下深刻的印象。
(2025.1. 9 강의 요약자: 주정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