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2025.01.28. 18:20 (2025.01.28. 17:57)

사마천 사기 375강 강의자료 요약 (2025.1.23)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警雪〉과 작자 陸暢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警雪, 陸暢, 怪得, 前庭後院, 天人, 剪水 등......) 및 上有天堂,下有蘇杭, 상추(宮菜)와 부추를 심는 이유 등 설명 ; (2) 《史記》〈太史公自序〉「士不可以不弘毅, 任重而道遠。仁以爲已任, 不亦重乎? 死而後已, 不亦遠乎? 俠者救人于厄,振人不贍,仁者有乎., 不旣信,不倍言,義者有取焉」을 《論語》〈泰伯〉의 관련 문장과 비교 설명 ; (3) 司馬遷과 《史記》에 대한 5不(著者, 體制, 書名, 原本, 誤謬)와 3疑(出生地, 太史公, 不敬罪)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效周公, 繼春秋, 君子曰, 禁書 ; 12本紀, 30世家, 70列傳, 10表, 8書, 130編 등 각각의 의미와 숫자 유래 설명 ; 北宋本, 文淵閣 四庫全書本, 中華書局點校本과 총 글자수 ; 漢代 後宮(皇后-夫人-美人-良人......) 직급 설명 ; 死刑罪의 贖刑 조건 ; 宮刑(生不如死)의 제반사항; 董仲舒(今文)와 孔安國(古文) ; 李陵, 李夫人, 李廣利, 汗血馬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사마천 사기 375강 강의자료 요약 (2025.1.23)
 
 
2025년 1월 23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 唐詩 300首
 
 
1) 당시 제목: “춘계사”
2) 당시 중국어 발음
niǎoniǎochéngbiānliǔ
qīngqīngshàngsāng
longwàngcǎi
zuómèngyáng
 
3) 작자 : 장중소(張仲素) AD769~AD819) (GEMINI참조)
 
장중소의 시에 대한 심층 분석
• 자연과의 교감 : 장중소의 시는 자연을 단순히 배경으로 삼는 것을 넘어, 자연 속에서 인간의 삶과 감정을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특히 계절의 변화, 자연의 아름다움을 통해 인생의 덧없음과 삶의 의미를 사색하는 모습을 자주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서정적 표현의 특징 : 장중소의 시는 섬세하고 아름다운 언어로 가득합니다. 비유와 의성어, 의태어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감정을 생생하게 표현하며, 독자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 불교 사상의 영향 : 당대 지식인들이 그러했듯, 장중소 역시 불교 사상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의 시에는 무상관, 연기법 등 불교의 주요 개념이 반영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삶의 고뇌와 해탈에 대한 성찰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백거이와의 교류와 문학적 영향
• 문학적 교류의 의미 : 백거이와 장중소의 교류는 당대 문단에 활력을 불어넣었으며,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문학적 성장을 이루는 데 기여했습니다.
• 관반반 이야기의 확산 : 장중소가 백거이에게 전한 관반반 이야기는 두 시인뿐만 아니라 당대 많은 문인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다양한 문학 작품으로 재창조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관반반은 중국 문학사에 길이 남는 비운의 여인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장중소의 문학적 위치와 평가
• 당대 문단의 중심 인물: 장중소는 당대 문단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많은 문인들에게 존경받는 인물이었습니다. 그의 시는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중국 문학사에 빛나는 한 페이지를 장식했습니다.
• 현대적 재평가: 현대 문학 연구에서는 장중소의 시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그의 문학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자연과 인간의 관계, 감정 표현의 섬세함 등 그의 시가 지닌 현대적인 의미를 새롭게 발견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장중소는 당대를 대표하는 시인이자, 자연과 인간의 감정을 아름다운 시로 표현한 뛰어난 작가입니다. 그의 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으며, 중국 문학사에 깊은 흔적을 남겼습니다.
 
* 천자문에 봄 춘(春)자가 없는 이유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 (GEMINI참조)
1. 지역적 특성과 기후의 영향
1) 주흥사의 남방 출신: 천자문의 저자인 주흥사가 남쪽 출신이었다는 점은 봄의 개념이 북방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강조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2) 따뜻한 기후: 남쪽의 따뜻한 기후에서는 뚜렷한 사계절의 변화보다는 온화한 날씨가 지속되므로, 봄이라는 계절의 특수성이 덜 부각되었을 수 있습니다.
3) 봄의 상징성: 봄은 생명의 탄생과 성장을 상징하는 계절입니다. 하지만 남쪽의 경우 겨울에도 식물이 완전히 죽지 않고 생명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 봄의 상징성이 약화되었을 수 있습니다.
 
2. 문자 선택 기준과 교육적 목적
1) 다양한 한자 학습: 천자문은 다양한 한자를 익히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흔히 사용되는 글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한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2) 교육적 효과: '자빠질 패(沛)', '멀 막(邈)'과 같이 생소한 한자를 포함시킴으로써 학습자의 기억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키려는 의도가 있었을 것입니다.
3) 글자 선택의 다양성: 봄을 나타내는 다른 표현(예: 춘삼월, 춘풍, 양춘 등)이 많기 때문에, 굳이 '춘'자만을 포함시킬 필요가 없었을 수도 있습니다.
 
3. 경전 인용과 사상적 배경
1) 다양한 경전의 인용: 천자문은 다양한 유학 경전에서 내용을 인용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춘'자가 포함된 내용이 상대적으로 적었거나, 다른 표현으로 대체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사상적 배경: 천자문에 담긴 사상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봄이라는 계절에 대한 인식도 시대와 사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춘'자가 포함되지 않은 이유를 사상적인 측면에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4. 기타 가능성
1) 우연성: 천자문의 글자 배열이 완전히 계획적인 것이 아니라 우연적인 요소도 작용했을 수 있습니다.
2) 저자의 의도: 주흥사가 특별한 이유 없이 '춘'자를 의도적으로 배제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陌"(백)과 "阡"(천)은 원래 중국 고대의 농경 사회에서 밭 사이의 길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두 글자는 방향에 따라 구분됩니다.
1) 陌(백): 원래는 밭 사이의 동서 방향 길을 의미했습니다.
2) 阡(천): 원래는 밭 사이의 남북 방향 길을 의미했습니다.
이후 이 두 글자는 농경 사회의 토지 구획과 관련된 의미로 확장되었고, 나중에는 일반적인 길이나 도로를 가리키는 말로도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阡陌"(천백)이라는 단어는 농촌의 전원적인 풍경이나 시골 길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데 쓰이기도 합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토지 구획과 농업이 사회의 핵심이었기 때문에, "阡"과 "陌"은 단순히 길을 넘어 농업 경제와 사회 구조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이었습니다.
따라서 "陌"과 "阡"은 원래 농경 사회에서 방향에 따라 구분된 길을 의미했지만, 이후 더 넓은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되었습니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27강(2023.10.19.) 강의 교안
 
*《史記》〈周本紀〉 注釋
1. 旣 - 甲骨文, 원래는 그릇 앞에 앉아서 바라보는, 또는 배부른 모습
《說文解字》「旣, 小食也。从皀旡聲。論語曰. 不使勝食既」
 
1) 다하다, 완료하다
2) 日蝕(月蝕),
3) 끝나다,
4) 잃어버리다,
 
5) 안정되다
沈亞之, 〈夢游仙賦〉「忽發寤以無睹,魂迷念兮情旣」
홀연히 깼는데 아무도 보이지 않네, 깊은 생각에 빠져 정서가 안정되었다.
 
6) 이르다 또는 및,
劉義慶, 《世說新語》〈品藻〉「王脩齡問王長史 我家臨川, 何如卿家宛陵? 長史未答, 脩齡曰. 臨川譽貴。長史曰. 宛陵未爲不貴。劉尹至王長史許清言, 時苟子年十三, 倚床邊聽。旣去,問父曰. 劉尹語何如尊?」
왕유령이 왕장사에게 “우리집은 임천이고 경의 집 완릉인데 비교하면 어떠하냐”고 물어 보았다.
왕장사가 대답을 않으니, 왕유령이 임천은 명성이 귀하다고 말했다. 왕장사가 “완릉도 귀하지 않은 적이 없다.”고 말했다. 유윤이 왕장사 집에 이르자 평가하는 말을 청했다. 당시 아들 구자가 나이 13세였다. 상에 기대어 듣고 있었다. 돌아간 뒤 아버지에게 물어보기를 유윤의 말이 어찌 높이는 말이 되나요?”
 
7) 전부,
《左傳》僖公二十二年「彼衆我寡,及其未旣濟也,請擊之」
상대는 많고 나는 적다. 전부 건너 가기 전에 이르러 청하건 데 공격하세요.
 
* 彼衆我寡 = 寡不敵衆 = 衆寡不敵
 
8) 이미,
《尙書》〈堯典〉「克明俊德,以親九族,九族旣睦,平章百姓。百姓昭明,協和萬邦」
요임금이 큰 덕을 스스로 밟히고, 구족을 다 친밀하게 해서 구족이 화목하게 하고, 관리(百姓)를 유무능을 변별하고 관리는 소명을 밟히고, 수많은 제후국들과 화합한다.
 
* 九族
1) 고조, 증조, 조부, 부친, 자기, 아들, 손자 현손까지의 동종 친척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자기를 본위로 직계친은 위로 4대 고조, 아래로 4대 현손에 이르기까지이며, 방계친은 고조의 4대손이 되는 형제ㆍ종형제ㆍ재종형제ㆍ삼종형제를 포함한다.
2) 어머니 쪽인 외조부, 외조모, 이모의 자녀와 처족(妻族)인 장인ㆍ장모, 아버지 쪽인 고모의 자녀, 자매의 자녀, 딸의 자녀와 자기의 동족(同族)을 통틀어 이르는 말
 
* 十族
1. 명나라 영락제 시절 처음이자 마지막 "십족멸족"
명나라 태조 홍무제의 4남 永樂帝(朱棣)시절 방효유(方孝孺)는 유명한 학자이자 충신이었습니다. 그는 건문제의 신하로, 영락제가 건문제를 몰아내고 황제가 되려는 정변(靖難之變)에 반대했습니다. 영락제는 방효유에게 자신의 즉위 조서를 작성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방효유는 이를 거부하며 영락제의 정당성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영락제는 크게 분노하여 방효유에게 극형을 내렸습니다. 방효유는 자신뿐만 아니라 그의 친척, 제자, 친구 등 10족에 해당하는 사람들까지 모두 처형당하는 "십족멸족"이라는 끔찍한 형벌을 받았습니다. 이 사건은 중국 역사상 가장 잔혹한 처벌 중 하나로 기록됩니다.
 
2. 배사(拜師)의 의미
방효유의 비극적인 최후는 후세에 큰 교훈을 남겼습니다. 특히 "배사(拜師)“라는 말은 "스승을 잘못 선택하면 죽음을 면치 못한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방효유는 건문제를 섬겼고, 그 결과 영락제의 분노를 사 참혹한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이는 스승이나 주군을 선택할 때 신중해야 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배사"는 단순히 죽음을 무릅쓰는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선택이 얼마나 큰 비극을 초래할 수 있는지를 상기시키는 말로 사용됩니다. 방효유의 이야기는 충성심과 원칙을 지키는 것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현명한 선택의 필요성도 강조합니다.
"배사"라는 말은 그의 이야기를 통해 스승이나 주군을 선택할 때 신중해야 한다는 교훈을 전달하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의미 있는 경고로 남아 있습니다.
 
 
* 明나라 학구적인 3대 황제인 成祖(朱棣)가 논어 爲政에 나오는 色難(부모에 대한 진정한 孝)의 대련을 신하들에게 문제로 냈다.
《永樂大全》의 저자인 해진(解縉)이 容易(군주에 대한 거짓 忠)라고 대구를 냈다고 한다.
효를 행하긴 어렵지만, 군주를 속이긴 쉽다는 대련이다.
 
또 朱棣(주체)는 신하들과 대련을 좋아했다고 한다.
많은 황제들도 자신의 재능을 과시하기 위해 신하들과 대련을 맺는 것을 좋아합니다. 등불 축제 때 주체가 상련을 냈다.
 
燈明月明 大明一統 “등불도 밝고, 달도 밝으니 명나라가 통일되었구나”
 
신하들은 모두 고개를 숙이고 숙고하며, 두 번째 대련을 어떻게 내놓을지 몰랐다. 분위기가 어색했을 때 江蘇省 沭陽縣 출신 사서오경(四書五經)에 정통한 팽인산(彭印山) 이라는 6세 천재소년(13세에 사망)이 대련을 내길
 
君樂臣樂 永樂萬年 “임금이 즐거우면 신하도 즐겁고, 황제(永樂帝)가 즉위해서 만년 동안 즐거우리라”
 
하여 좌중을 놀라게 하였다고 한다.
 
朱棣가 낙양에서 북경으로 천도하여 자금성을 지었고, 주원장의 4째 아들로 永樂帝로 불린다.
 
9) 곧, 금방
《荀子》〈强国〉「公孫子曰. 子發將西伐蔡,克蔡,獲蔡侯,歸致命曰.. 蔡侯奉其社稷,而歸之楚, 舍屬二三子而治其地。旣,楚發其賞」
초나라 재상 자발이 군대를 거느리고 서쪽 채 나라를 정벌했다. 채 나라를 정복 후 채나라 군주를 포로 잡고 귀국하여 사명을 보고했다. ‘채 후가 그 사직을 받들고, 초나라에 귀의하고, 군대를 여러 사람에게 속하게 하여 그 땅을 다스렸다. 곧 초나라 왕이 상을 내렸다.
 
梁啓雄 釋.「旣,旋,不久之後」
 
기는 선(旋) 금방
 
오자(吾子) ~ 너(你)
오자(吾者) ~ 나(我)
오등(吾等) ~ 우리들
 
* 입춘이 되면 입춘 쓰고 대문 기둥이나 대들보 등에 붙이는데 흔히 아는 '立春大吉 建陽多慶(입춘대길 건양다경)'을 씁니다. 앞으로는 立春大吉, 萬事亨通을 쓰면 좋겠습니다.
입춘 축 기원은 桃符(周나라 시기)에 복숭아 나무로 장방형(길이 6촌, 넓이 3촌)으로 만들어 神荼(신도)와 郁壘(욱루) 라는 신의 이름을 써서 대문 양쪽에 걸어둔 것입니다.
建陽多慶의 뜻은 “양력을 쓰면 경사스러운 일이 많다, 또는 건양 연호를 쓸 때에 경사스러운 일이 많았다”라는 뜻입니다.
 
1896년(음력1985년 11월17일을 양력1986년 1월1일-建陽) 高宗은 (양력사용, 斷髮, 기타개혁을 위해)일본의 강요에 의해서 1897년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 즉위(光武)를 합니다.
친일세력은 일본의 권유로 양력을 사용하고, 조선에서 봉건적인 잔재 타파하여 좋은 일이 많아진 것은 建陽(1896년) 부터라고 주장하기 위해서朝鮮儒道聯合會(친일단체: 해방후 성균관유도회총본부와는 다르고, 1929년 강대성이 창립한 갱정유도회와도 다름)에서 建陽多慶을 쓰기 시작한 것입니다.
 
10) 즉,
《逸周書》〈克殷〉「王旣以虎賁戎車馳商師,商師大敗。商紂奔内, 登于鹿台之上, 屏遮而自燔于火。武王乃手太白以麾諸侯, 諸侯畢拜。遂揖之。商庶百姓咸俟于郊」
왕이 근위병 호분(용감한 병사 300명)과 병차인 융차로 상나라 군사를 공격했다. 상나라 군사가 대패를 했고, 상나라 주왕이 안으로 도망을 가서 재물 창고인 녹대 위로 올라갔다. 보석으로 된 옷들을 쌓아 놓고 가린 후 불에 뛰어내려 자살했다. 무왕이 손으로 깃발(태백)을 들고 다 끝났다고 제후에게 흔드니, 제후들이 모두 절을 했다.읍을 하고, 상 나라 서민과 관리들이 교외에서 모두 기다렸다
 
* 廩臺(름대)
廩臺는 상나라 때 곡식을 보관하던 창고를 의미합니다. ‘廩(름)’은 곡식을 저장하는 곳집을 뜻하며, ‘臺(대)’는 높은 장소나 구조물을 나타냅니다.
廩臺는 국가의 경제적 기반을 상징하며, 농업 중심의 상나라에서 곡식의 축적과 배급이 이루어진 곳이었습니다.
하지만 주왕(紂王)의 사치와 폭정으로 인해, 廩臺에 저장된 곡식이 백성을 위해 사용되지 않고, 낭비되는 일이 잦았다고 전해집니다.
 
* 鹿臺(녹대)
鹿臺는 주왕이 사치를 위해 세운 호화로운 누대를 가리킵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녹(鹿)’은 사슴을 뜻하지만, 이곳은 사냥이나 여흥을 위한 장소가 아니라, 주왕의 금은보화와 귀중품을 저장한 창고로 사용되었습니다.
주왕은 鹿臺를 짓는 데 막대한 자원을 낭비했으며, 백성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자신의 쾌락을 추구하는 데 몰두했습니다.
 
* 紂王(주왕)
주왕은 상나라의 마지막 왕으로, 폭군의 대명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본명은 제신(帝辛)이며, 초기에는 유능한 군주로 평가되기도 했으나, 점차 사치와 향락에 빠지며 폭정을 일삼았습니다.
특히 妲己와의 방탕한 생활로 인해 백성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국가를 혼란에 빠뜨렸습니다.
역사적 기록과 전설에 따르면, 주왕은 잔혹한 형벌을 고안하고, 백성의 고혈을 짜내어 자신과 妲己의 쾌락을 위해 사용했다고 합니다.
 
* 妲己(달기)
妲己는 주왕의 총애를 받은 애첩으로, 중국 역사에서 대표적인 요부(妖婦)로 전해집니다.
妲己는 주왕과 함께 상나라 멸망의 원흉으로 자주 지목됩니다.
그녀는 잔혹하고 향락적인 삶을 즐겼으며, 주왕을 부추겨 잔인한 형벌과 사치를 일삼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11) ~ 뿐만 아니라 ~도 또한 (又, 且, 也와 연계하여),
《國語》〈晉語〉「旣無老謀,而又無壯事,何以事君」
심대한 계책이 없을 뿐만 아니라 또한 장대한 사업계획도 없으니, 어찌 임금을 섬기겠는가?
 
* 뿐만 아니라 ~ 또한
1) 旣 ……… 且 or 又 or 也
2) 不但……而且
3) 但………且
 
12) 다른 사람에게 보내는 곡물(餼와 통한다),
《儀禮》〈聘禮〉「明日,問大夫。夕,夫人歸禮。旣致饔,旬而稍,宰夫始歸乘禽,日如其饔餼之數」
다음날 군주 부인인 대부를 방문하고, 저녁에 부인이 예물로 소와 양 돼지를 보내고 나서 10일 후 곡식을 보내면 소 양 돼지를 잡는 도살자가 비로소 꿩과 기러기 2마리씩 보내고, 일마다 꿩 기러기를 숫자가 동일하게 보낸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28강(2023.10.26.) 강의 교안
 
*《論語》〈里仁〉
4-01. 子曰 里仁爲美。擇不處仁,焉得知?
里仁爲美()()。擇()不處()仁,焉()得()知()()?
 
* 붉은색은 대체, 푸른색은 첨가
 
【注釋】
1) 里 - 명사, 동사 모두 거주지, 거주하다(居住), 邑, 鄕邑. 즉 居住於有仁德者之鄕邑爲美也
2) 仁 - 仁德있는 사람(有仁德者), 또는 몸과 마음으로 仁德을 실천하려는 사람(身心俱居于實踐仁德者)
3) 美 - 좋다(善), 최고다(美)
4) 擇 - 선택하다.
5) 處 - 마음을 두다, 장소.
6) 焉得 - 어찌 능히 얻을 수 있겠는가? (怎麽能得到, 不能得到, 怎麽得到)
7) 知 - 지혜(智). 즉 以文會友,以友輔仁,以仁啓智; 千金置宅,萬金買隣; 近朱者赤,近墨者黑의 사고와 생활태도
 
【해석】
인덕이 있는 사람이 거주하면 좋고, 인덕이 있는 사람이 거주하지 않으면 어찌 지혜를 얻을 수 있겠는가?
 
* 博施濟衆
* 居必擇仁 隣方仁 以仁者爲鄰
* 爲學日益 爲道日損 (道德經48章)
 
* 孔子의 儒家 사상(有爲而治)을 비평한 老子(無爲而治)-《道德經》제19장 상세풀이
 
「絶聖棄智,民利百倍。絶仁棄義,民復孝慈。絶巧棄利,盗賊無有。此三言也,以爲文未足,故令之有所属; 見素抱朴,少私而寡欲; 絶學無憂」
 
【注釋】
1) 絶 - 거절
2) 聖 - 성인
3) 棄 - 포기
4) 智 - 지혜; 絶聖棄智는 즉 絶棄聖智,유가의 이상형 성인을 숭배하지 않고, 성인의 지혜를 믿지 않으면
5) 仁義 - 인의 즉 유가의 주요 관념 仁을 추구하지 않고, 義를 실천하려 하지 않으면
6) 復 - 회복
7) 孝慈 - 효성과 자애
8) 巧 - 유가의 형식위주 궤변과 위선
9) 利 - 탐욕
10) 三言 - 聖智, 仁義, 巧利
11) 以爲 - ~라고 여기다
12) 文 - 꾸미다
13) 未足 - 천하 통치를 위해서는 부족하다
14) 令 - ~로 하여금
15) 之 - 백성들의 인식
16) 屬 - 귀결, 귀납
17) 見 - (겉으로)나타내다
18) 素 - 단순
19) 包 - (속으로)포함, 유지
20) 朴 - 소박
21) 少私而寡慾 - 少寡私慾, 즉 개인적인 욕심을 줄이다.
22) 絶學 - 絶棄聖智, 仁義, 巧利之學
 
【國釋】
유가의 성인을 숭배하지 않고, 성인의 지혜를 믿지 않으면, 백성은 백배의 이익을 얻을 것이다. 유가의 仁을 추구하지 않고, 義를 실천하지 않으면, 백성은 효성과 자애를 회복할 것이다. 유가의 형식위주 궤변과 위선 및 탐욕을 추구하지 않으면, 도적은 저절로 없어질 것이다. 聖智, 仁義, 巧利 이 3가지는 그저 형식적으로 꾸미는 것으로 천하 통치를 위해서는 부족하다. 그런 까닭에 백성들의 인식으로 하여금 귀결되는 바가 있게 해야 한다. 즉 겉으로는 단순함을 나타내고 속으로는 소박함을 유지하며, 개인적인 욕심을 줄여야 한다. 그리고 聖智, 仁義, 巧利 등 인위적인 학문 배우기를 거절하고 포기하면 근심이 없게 되는 것이다.
 
 

 
*《史記》〈周本紀〉 注釋
1. 絀 - 원래 의미는 짙은 홍색(深紅色), 물리치다, 부족하다(不足, 不够)
《說文解字》「絀,絳也。从糸出聲」
출(絀 )은 진홍색이다. 실사 변에 소리는 출(出)이다.
 
1) 黜과 통한다. 즉 罷免, 革除.
《史記》〈老莊申韓列傳〉「自孔子死之後百二十九年,而史記周太史儋見秦獻公曰.始秦與周合,合五百歲而離,離七十歲而霸王者出焉。或曰儋卽老子,或曰非也,世莫知其然否。老子,隱君子也。老子之子名宗,宗爲魏將,封于段干。宗子注,注子宮,宮玄孫假,假仕于漢孝文帝。而假之子解爲胶西王卬太傅,因家于齊焉。世子學老子者則絀儒學,儒學亦出老子.道不同不相爲謀,豈謂是邪?李耳無爲自化,清靜自正」
공자가 죽은지 129년에 역사에 기록하기를(史記) 주나라 태사담이 진나라 헌공을 뵙고 말하기를 처음에 진나라는 주나라와 합했다.합해진지 5백년 이후에 분리되었다. 분리된지 70년만에 다시 패왕(진시왕)이등장했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담이 노자다.” 어떤 사람은 아니다라고 했다.그런지 안그런지 알 수가 없다. 노자는 은군자이다. 노자의 아들 이름은 종(宗)이다. 宗은 위나라 장군이다. 단간의 책봉을 받았다. 宗의 아들은 注이고, 注의 아들은 宮이고, 宮의 현손은 假이고, 假는 한나라 효문제 때 벼슬을 했고, 假의 아들 解는 교서왕 “卬”의태부가 되었다. 그래서 제나라에 정착(家)하게 되었다.
세자가 노자를 배우면 즉 유학을 없애 버린다. 도가 다르면 서로 도모하는 바가 없다. 어찌 이것을 일컫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이( 李耳)는 우리가 알고 있는 노자인데 “無爲”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인위적으로 하는 것도 없고 인위적으로 하지 않는 것도 없다(自化).
 
(自化 = 無力而無不孝 =道法自然)
청정하면 자연에 순응해서 자정이 된다. ( 淸淨-> 自正= 順應自然)
 
 
* 秦與周合, 合五百世而離, 離七十歲而霸王者出焉
“진나라와 주나라가 합쳐져 500년 동안 이어지다가 분리되었고, 분리된 지 70년 만에 패왕이 나타났다.”
 
이 구절은 진(秦)나라와 주(周)나라의 관계를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이 구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진(秦)과 주(周)의 합(合): 진나라와 주나라가 합쳐졌다는 의미입니다. 주나라는 중국 고대의 왕조로, 기원전 1046년부터 기원전 256년까지 존속했습니다. 진나라는 주나라 말기에 등장한 강력한 국가로, 주나라와의 관계는 복잡했습니다. 초기에는 주나라의 제후국 중 하나였으나, 점차 세력을 키워 주나라를 압도하게 되었습니다.
2) 합쳐진 지 500세(世): 여기서 '세(世)'는 세대를 의미합니다. 진나라와 주나라가 합쳐진 지 500세대가 지났다는 것은 매우 긴 시간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는 역사적 사실보다는 상징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3) 500세 후에 분리(離): 500세대가 지난 후에 진나라와 주나라가 분리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진나라가 주나라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세력으로 성장한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일 수 있습니다.
4) 분리된 지 70년 후에 패왕(霸王者)이 출현: 분리된 지 70년 후에 패왕(霸王者)이 등장했다는 의미입니다. 패왕은 진시왕을를 의미합니다. 이는 진나라가 주나라로부터 독립한 후 70년 만에 강력한 군주가 등장하여 패권을 잡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025.1. 23 강의 요약자: 주정봉)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