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궁인창의 독서여행궁인창의 지식창고 2025.01.28. 19:59 (2025.01.28. 19:42)

【남극 탐험 ⑧】 여행과 모험, 즐거움과 학습 결합한 ‘탐험 여행’ 창시한 역대 최고 탐험가 20인 선정

 
남극 생태 관광의 아버지 ‘라스 에릭 린드블라드’
남극 생태 관광을 처음 시작한 ‘라스 에릭 린드블라드(Lars-Eric Lindblad, 1927~1994)’는 1927년 1월 23일 스웨덴 스톡홀름 북쪽의 솔나(Solna) 도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와인 전문가였고, 어머니는 캐비닛 제작자의 딸이었다.
여행과 모험, 즐거움과 학습 결합한 '탐험 여행' 창시한 역대 최고 탐험가 20인 선정
- 남극 생태 관광의 아버지 ‘라스 에릭 린드블라드’
 
 
남극 생태 관광을 처음 시작한 ‘라스 에릭 린드블라드(Lars-Eric Lindblad, 1927~1994)’는 1927년 1월 23일 스웨덴 스톡홀름 북쪽의 솔나(Solna) 도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와인 전문가였고, 어머니는 캐비닛 제작자의 딸이었다.
 
린드블라드는 어릴 때 탐험 이야기가 좋아 스웨덴 지리학자, 탐험가, 여행 작가로 중앙아시아를 4번이나 탐험한 스벤 헤딘(Sven Hedin, 1865~1952)과 핀란드 광물학자이자 극지탐험가인 닐스 노르덴스크올드(Nils NORDENSKJÖLD, 1792~1866)의 책을 열심히 탐독했다.
 
그는 스위스에서 대학을 졸업한 후 토마스 쿡과 함께 여름 직장을 구했지만, 스웨덴이 변화가 없고 갑갑하게만 느껴져 24세의 나이에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다. 1951년 뉴욕에 도착한 날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에서 일을 시작해 시민권을 얻고 1958년 코네티컷에서 자신의 이름을 건 ‘린드블라드 트래블’을 설립해 이국적인 먼 땅을 탐험하려는 강렬한 열정에 빠진 사람들을 모집해 30년간 재직했다. 당시 관광객들은 안전하며 친숙한 나라로 대부분 여행을 떠났다.
 
 
▲ 남극 탐험의 창시자(사진:내셔널 지오그라피)
 
1959년 에콰도르는 다윈 탄생 100주년을 맞아 갈라파고스를 국립공원으로 지정했다. 1961년 유네스코의 지원으로 갈라파고스 해양생물학연구소가 설립되고, 1964년 찰스 다윈 연구센터가 개관했다. 이는 린드블라드와 함께 12번 이상 갈라파고스를 탐험한 영국 박물학자(博物學者) 피터 마크햄 스코트(Sir Peter Markham Scott, 1909~1989)와 친구들 지원 덕분이다.
 
1966년 1월 23일에는 자신의 명예를 걸고 아르헨티나 해군 배를 전세 내 정예의 탐험가와 여행객을 태워 남극 관광의 새 역사를 펼쳤다. 여행객들은 배에서 남극을 바라보며 빙산과 많은 동물을 보았다. 그는 남극에 도착하여 탐방객을 이끌고 빙하 지역을 두루 탐험하며 남극 환경의 생태적 민감성에 대해 알리고 남극 대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나바리아(M/S Navarino)호
 
 
그는 1967년에 가방에 칠레 페소를 가득 담아 발파리이소로 향해 나바리아(Navarino)호를 전세 낸 후 리마로 순항해 7월에 최초의 시민탐험가(the first citizen explorer) 탐험대를 이끌고 이스터섬과 갈라파고스로 탐험을 떠났다.
 
1968년 영국령 포클랜드 제도(말비나스 군도)에 대한 그의 관심은 유명한 조류학자, 예술가인 로저 토리 피터슨(Roger Yory Peterson, 1908~1996)의 제안으로 뉴욕 사무실에서 영국인 조류학자 이안 스트레인지(Ian John Strange, 1934~2018)가 전화를 걸면서 촉발되었다.
 
조류학자는 1960년대에 포클랜드에 정착하여 야생동물 보호에 앞장을 섰다. 린드블라드는 1968년 스트레인지에게 자신의 전세 크루즈선 나바리노 호를 위해 포클랜드 방문을 주선해 달라고 요청해 포클랜드 제도의 첫 관광 크루즈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스트레인지와 아내 마리아는 승객 착륙을 위해 포클렌드 서쪽 섬 웨스트포인트(West Point)와 카캐스(Carcass) 섬을 선택하는 등 준비를 완벽하게 마쳤다.
 
 
▲ 1969년 MS 린드블라드 익스플러러 크루즈 선박
 
 
린드블래드의 아들 스벤-올로프 린드블래드(Sven Olof Lindblad)는 해양 중심 특수 탐험 부서를 설립하여 아버지의 유산을 확장했다. 1969년에 많은 관광객을 남극으로 수송하기 위해 핀란드 조선소에서 세계 최초의 탐험선 'MS 린드블래드 익스플로러'를 건조했다.
 
남극 탐험을 위해 만든 특별한 배는 비교적 작고 얼음에 강했다. 배는 기동성을 위해 활 추진기와 충분한 담수 공급을 보장하기 위한 증발기가 장착되어 있었다. 승객들은 부두 없이도 어디든 착륙할 수 있게 고무 조디악 상륙정을 준비해 항상 외딴섬에 상륙할 수 있어 여행에 만족을 주었다. 조디악 상륙정은 항해에 새로운 혁명을 일으켰다.
 
 
▲ 라스 에릭 린드블라드 남극 방문(사진:Lindblad Expeditions)
 
 
대서양 중부에서 항해하다 배에 화재가 발생하여 몬테비테오 항구에서 수리하였다. 1970년 2월 칠레 푼타 아레나스를 출항하여 남극 횡단 크루즈를 마치고 포클랜드 제도, 사우스 조지아, 고프섬, 트리스탄 다 쿠냐, 케이프타운를 방문했다. 여행과 모험, 즐거움, 학습을 결합하는 항해 상품을 보고 다른 선박회사들이 다양한 상품을 출시했다. 1972년에는 회사의 선박 하나가 남극에서 좌초되어 칠레 해군이 구조하였다.
 
아들이 만든 린드블라드 익스페디션은 1972년 4월 30일 아마존으로의 항해하고 고객이 가고자 하는 세상 끝까지 어느 곳이든지 찾아가 350개의 기항지를 방문했다. 1984년에는 관광선으로 캐나다 뉴펀들랜드에서 북서항로(Northwest Passage)를 지나 베링해협을 통과해 요코하마 항구까지 40일 동안 8,920마일(16,520km)을 항해해 전 세계에 널리 소개되었다.
 
 
▲ 북서항로(Northwest Passage routes)(사진:위키피디아)
 
 
린드블라드 익스페디션은 북극, 티에라델푸에고, 포클랜드 제도, 세이셸, 이스터 섬, 인도네시아, 아마존으로의 관광 탐험을 개척했고 여러 해에 걸쳐 탐험 여행의 개념을 새롭게 개척하고, 고객에게 매우 다양한 예상하지 못하는 여행 코스를 소개했다. 여행사의 상품 가격은 비쌌지만, 전문 강사의 흥미진진한 강의와 가이드를 결합하여 고객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 북서항로(사진:Silversea Cruises Ltd)
 
 
여행사는 사람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으로의 여행이 지구를 보존하고 보호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고 오지 야생지대 탐험을 주도하고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의 여행을 이끌었다. 1987~89년에 캄보디아와 베트남 여행을 모집했는데 미국 행정부는 미국의 무역 금수 조치를 위반한 혐의로 75,000달러 이상의 벌금을 부과했다. 여행사는 1989년 영업을 중지했다.
 
린드블래드는 “여행을 금수 조치하는 것은 책을 불태우거나 신문사 기자들을 감금하는 것과 같다.”라고 강변하였다. 1992년 조지 H.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캄보디아에 대한 금수 조치를 해제하였고, 1994년 2월 빌 클린턴 대통령이 베트남에 대한 무역 금수 조치를 해제하면서 많은 미국 기업들이 베트남에서 여행 투어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 IAATO(국제남극관광운영자협회)
 
 
남극 여행은 초기에 약 300명이 남극을 방문했다. 1991년 7개 회사가 모여 IAATO(국제 남극관광 운영자협회)를 설립했다. 협회를 설립한 것은 남극 주변의 8개국이 영유권을 주장했기 때문이다. 이 협회는 안전하고 환경 측면에서 책임 있는 민간 부문의 남극 여행 관행을 옹호하고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IAATO는 남극조약 권고안 XVIII-1 개발의 기초가 되었고, 남극 반도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장소의 허용 시간, 1일 방문 승객수, 선박 일정 등을 관리한다. 현재 IAATO 회원 수는 46개 운영자, 11개 임시운영자, 45개 준회원 등이 있다.
 
국제남극여행사협회(IAATO) 2024년 11월 4일 발표 자료를 보면 2012~2013년 시즌에는 34,354명, 2018~2019년에 56,168명, 2020년에 74,000명, 2022~2023년에 106,000명, 2023~2024년에 122,072명을 기록했다. 남극을 방문한 여행객의 국적은 미국, 독일, 호주, 영국, 중국, 캐나다, 스위스, 프랑스 등이다. 방문객의 35%는 크루즈 전용 선박을 이용했다.
 
 
▲ 자서전 《Passport to Anywhere》(사진:Lindblad Expeditions)
 
 
린드블라드는 관광이 많은 위협 지역을 구한다고 생각한 환경운동가이다. 세계의 외딴 지역과 이국적인 지역을 관광으로 찾아가서 실태를 알렸다. 린드블라드가 1983년 저술한 《Passport to Anywhere》를 미국의 저명한 조류학자 로저 토리 피터슨(1908~1996)이 사람들에게 여러 번 소개했다.
 
피터슨은 20세기 환경운동의 창시자로 많은 이에게 영감을 준 인물이다. 자서전 이름을 딴 유튜브 〈Passport to Anywhere〉 채널에는 60개 볼만한 동영상이 있다.
 
 
▲ 남극의 에릭 린드블라드(사진:Lindblad Expeditions)
 
 
그는 생애에서 많은 영예를 얻고 상을 받았다. 야생동물 보호에 대한 공로로 네덜란드 베른하르트 왕자는 황금 방주 훈장을 수여했다. 1987년 스웨덴 국왕으로부터 ‘북극성 기사’ 작위를 받았다. 세계자연기금과 아프리카 야생동물 재단 이사회에서 활동해 미국 여행사협회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기업은 그에게 특별한 트로피를 수여했다.
 
1993년, 트래블 앤 레저 잡지는 그를 역대 최고의 탐험가 20인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 1995년, 남극지명자문위원회는 그를 기리기 위해 남극 반도의 5마일 너비의 만에 ‘린드블라드 코브’라는 이름을 붙였다. 미국여행사협회 회장은 그를 “여행을 조직하는 데 관여한 가장 창의적인 사람 중 한 명이며 혁신적인 선구자였다.”라고 회고했다.
 
 
▲ 아르헨티나 우수아이아 크루즈(사진:GET YOUR GUIDE)
 
 
우리나라에도 남극 관광 체험을 하고 온 사람이 제법 많다. 여행 유튜버의 개척자이며 구독자가 239만 명인 빠니보틀(박재환)은 춘천에서 태어나 항상 다른 세계를 동경했다. 그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서울산업대학교) 도예·시각디자인과에 입학하여 영상 제작 기술을 배웠고 군에서 제대한 후 유럽 여행을 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여행 중 추억의 장소와 사진이 기억에서 사라져 일기장에 하루 일상을 하나씩 기록하기 시작했다.
 
2024년에는 방송인 노홍철과 함께 남극을 여행하며 영상을 찍었다. 두 사람은 아르헨티나 우수아이아에서 크루즈 선박을 타고 남극에 도착하여 바닷물에도 뛰어들고, 눈 속에서 비박을 경험하고. 펭귄을 가까이에서 바라보았다. 이제 남극의 체험 여행은 누구나 할 수 있게 일상화되었다.
 
 
▲ 남극 관광(사진:빠니보틀, 노홍철 SNS)
 
 
사람들이 그의 블로그와 유튜버 영상을 자주 보는 이유는 그가 10년간 자전거 여행을 하면서 글과 사진을 계속 올리고 2015년 3월부터는 여행 영상을 생생하게 전하기 때문이다. 그는 여행사에서 취급하지 않는 색다른 장소를 찾아가 자연의 모습을 날것으로 보여준다.
 
유튜버가 2005년 11월 6일 네이버에서 처음 게인 블로그를 시작할 때는 ‘avante2110’으로 시작하여 ‘자유, 자전거, 여행’으로 하였다가 2017년 5월엔 동남아 배낭여행을 3개월 하면서 ‘여행이나 가자’로 변경했다.
 
그는 인도 기차에서 잠을 자고 있는데 물 파는 상인이 “빠니보틀, 빠니보틀”하고 통로를 지나가 깊은 잠에서 깬 후 물을 파는 상인의 목소리가 너무나 절박하고 인상에 남아 2017년 8월 16일부터 빠니보틀(물병)을 공식 채널명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빠니보틀’은 힌디어로 ‘물’을 뜻하는 ‘빠니’와 병을 의미하는 영어 ‘Bottle’을 합성하여 ‘Pani Bottle’을 만들어냈다. 다른 사람이 여행을 왜 가냐고 질문하면 그는 “여행을 왜 하긴? 싸돌아 댕기는 게 재밌으니까 하지!”라고 말한다.
 
(다음 회로 이어집니다.)
 
 
생활문화아카데미 대표 궁인창
【작성】 궁 인창 (생활문화아카데미)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