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2025.03.29. 00:58 (2025.03.22. 13:33)

사마천 사기 378강 강의자료 요약 (2025.3.20)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池上〉과 작자 白居易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小娃, 撑,篙,楫 비교, 一道 등......)에 대하여 설명 ; (2)《論語》〈里仁〉「唯仁者能好人, 能惡人」을 《四書集註》와 《日講四書解義》의 관련내용과 비교 설명 ; (3) 大中至正(大道之中, 至正之道)의 바른 의미를 《中庸》「大中至正其介如石」, 「允執厥中」 등과 비교설명 및 蔣中正(介石)의 이름 유래 및 기타 雅號와 字를 짓는 원칙 등에 대하여 설명 ; (4)《禮記》〈禮運〉의 「大同」과 《詩經》〈民勞〉의 「小康」을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 방면과 비교하여 설명 ; (5) 天下爲公과 天下爲私(家)의 비교와 禪讓과 世襲 및 許由(許由洗耳)와 巢父(巢父飮牛)의 사례 설명 ; (6 )고대 人才登用(選賢與能)과 曹操,〈短歌行〉「周公吐哺, 天下歸心」과 《史記》〈魯周公世家〉「一沐三捉髮, 一飯三吐哺, 起以待士, 猶恐失天下之賢人」의 禮賢下士의 태도 설명 ; (8)周公(禮樂)과 召公(仁義)을 비교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사마천 사기 378강 강의자료 요약 (2025.3.20)
 
2025년 3월 20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 唐詩 300首
 
 
1) 당시 제목: “지상”
2) 당시 중국어 발음
Xiǎochēngxiǎotǐng
tōucǎibáiliánhuí
jiěcángzōng
píngdàokāi
 
3) 작자: 백거이(白居易, 772-846) (377강참조)
중국 당나라의 시인으로, 자는 낙천(樂天),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 또는 향산거사(香山居士)이다. 그의 시는 평이하고 쉬운 표현으로 유명하며, 사회 비판적인 내용과 인간적인 감정을 솔직하게 담아낸 작품을 많이 창작했다.
 
 
* 노의 종류 (Perplexity참조)
撐(탱)
撐은 장대나 노를 이용하여 바닥을 짚어 배를 움직이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얕은 물에서 배를 조종하는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篙(호)
篙는 긴 장대를 가리키며, 주로 두 가지 용도로 사용됩니다:
1. 배를 밀어 움직이는 도구
2. 물의 깊이를 측정하는 도구
 
楫(즙)
楫은 배를 젓는 도구인 노를 의미합니다. 노는 물살을 저어 배를 움직이는 추력을 발생시키는 도구입니다1. 노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길쭉한 장대 모양으로, 손잡이 쪽은 둥글고 물을 젓는 쪽은 편평합니다.
• 배에 고정된 노받이에 걸어 사용합니다.
• 제3종 지레의 원리로 작동하여, 적은 힘으로 큰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노를 사용하는 방법:
1. 노를 젓는 사람은 보통 선미를 바라보고 앉습니다.
2. 노받이에 노를 걸고 잡아당깁니다.
3. 물에 잠긴 노는 반대 방향으로 물살을 저어 추력을 만들어 배를 앞으로 움직이게 합니다.
이러한 도구들은 수천 년 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신석기 시대의 노 유물이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 중국의 유명한 생수회사 (GEMINI참조)
1. 와하하(娃哈哈): 1987년 설립된 중국의 대표적인 음료 기업으로, 생수 외에도 다양한 음료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90년대 출시한 음료로 중국 대표 음료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와하하의 생수는 정제수이며, 모든 불순물을 제거해 H2o만 있는 약알칼리성생수입니다.
 
 
2. 농부산천(农夫山泉, Nongfu Spring): 중국 최대의 생수 기업으로, 다양한 종류의 생수를 생산합니다.
 
3. 백세산(百岁山, C'estbon): 중국의 대표적인 광천수 브랜드입니다.
 
4. 이바오(怡宝, Cestbon): 화룬그룹에서 만든 생수로, 중국 내에서 최초로 순정수를 식수로 사용했습니다. -
 
5. 캉스푸(康师傅, Master Kong): 대만 딩신그룹의 자회사로, 생수 외에도 라면, 음료 등 다양한 식품을 생산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중국 생수 브랜드들이 있으며, 각 브랜드마다 특징과 제품군이 다양합니다.
 
 
* 춘분(春分) (GEMINI참조)
춘분(春分)은 24절기 중 네 번째 절기로, 2025년에는 3월 20일 목요일이 춘분입니다. 태양의 황경이 0도가 되어 태양이 적도 바로 위에 위치하는 날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는 시기입니다. 춘분은 예로부터 농경 사회에서 중요한 절기로 여겨졌으며, 다양한 풍속과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춘분의 의미와 풍속
• 봄의 시작: 춘분은 본격적인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추운 겨울이 지나고 따뜻한 봄기운이 완연해지면서 만물이 소생하는 시기입니다.
• 농경의 시작: 춘분은 농사철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시기였습니다. 농부들은 춘분을 맞아 씨앗을 뿌리고 밭을 갈아 농사를 준비했습니다.
• 낮과 밤의 균형: 춘분에는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집니다. 이는 음양의 조화와 균형을 상징하며,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 다양한 풍속: 춘분에는 다양한 풍속들이 전해져 내려옵니다. 예를 들어, 농가에서는 춘분 날씨를 보고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기도 하고, 춘분 무렵에 봄나물을 캐어 먹으며 봄기운을 만끽하기도 합니다.
 
- 춘분과 관련된 속담
•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춘분 무렵의 꽃샘추위를 경계하는 속담입니다.
• "경칩에는 새싹이 트고 춘분에는 꽃이 핀다.": 춘분 무렵에 본격적으로 봄꽃이 피기 시작함을 나타내는 속담입니다.
 
- 춘분과 관련된 현대의 모습
• 현대에는 농경 사회의 중요성이 줄어들었지만, 춘분은 여전히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의미를 갖습니다.
• 많은 사람들이 춘분을 맞아 봄나들이를 가거나 봄맞이 대청소를 하는 등 봄을 맞이하는 다양한 활동을 합니다.
 
춘분은 자연의 변화를 느끼고 새로운 시작을 다짐하는 의미 있는 절기입니다.
 
* 꽃샘 추위 = "倒春寒" (dàochūnhán)
 
 
*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330강(2023.11.16.) 강의 교안
 
* 《論語》〈里仁〉
4-03.子曰:唯仁者能好人,能惡人。
 
오직 어진 마음을 가진 사람들만 사람을 좋아할 수 있고, 능히 사람을 미워할 수도 있다.
 
* 注釋
1) 唯 - 오직; 비록~하더라도 (發語詞)
2) 仁者 - 仁者(仁心),人之極(有德行, 有恩情)也
인지극은 고도로 수양이 된 사람이다. (덕행도 있고, 착한 마음도 있다.)
3) 好人 - 사람을 좋아하다
4) 惡人 - 사람을 미워하다.
 
(참고)《朱子集注》「蓋無私心,然後好惡當于理。程子所謂得其公正是也
대개 사사로운 마음을 없앤 연후에 좋아하고 미워하는 것이 마땅한 이치에 이른다.
정자가 일컫는 바 그 공정함을 얻었다는 것이 이것이다.
 
《日講四書解義》「曰. 仁人之心公而情正也 。無私好,無私惡,王道之所以大中至正也」
말하기를 어진 사람의 마음은 사적이 아닌 공적이고 생각도 바라야(正) 하고, 사사로이 좋아하는 것도 없고 사사로이 싫어하는 것도 없는 것이 덕치(왕도)의 방법이요 대중지정이다.
 
* 도두 인(仁)을 갖춘 사람의 공정성을 이야기하고 있다.
 
 
* 중용(中庸)에 “大中至正其介如石”, 介=堅固
최고의 통치 원칙은 지극히 치우침이 없이 지극히 바른 것이 돌과 같이 견고해야 한다.
大中 = 大道之中,
대도(大道) = 최고 통치 원칙, 중(中)=中庸=允執厥中=公正不偏不倚
至正 = 至正之道
 
* 蔣中正 (이름), 介石(자)
~ 장개석은 20대 후반에 중국을 통치하겠다는 큰 뜻을 품고 이름을 고치고 자를 中正 介石을 사용한 것이다.
 
* 중정기념당
 
 
* 김영환 교수님의 호: 후외(後外)
其身而身先 (자신을 뒤로 물리지만, 오히려 자신이 앞서게 되고)
其身而身存 (자신을 돌보지 않지만, 오히려 자신이 보존된다.)
 
출처: 노자- 도덕경 7장
天長地久
天地所以能長且久者 以其不自生
故能長生
是以聖人其身而身先 其身而身存
非以其無私邪
故能成其私
 
 
* 大同과 小康의 비교 《禮記》〈禮運〉의 「大道之行也」 분석
「大道之行也,天下爲公,選賢與能,講信修睦。故人不獨親其親,不獨子其子,使老有所終,壯有所用,幼有所長,矜、寡、孤、獨、廢疾者皆有所養,男有分,女有歸。貨惡其棄于地也,不必藏于己;力惡其不出于身也,不必爲己。是故謀閉而不興,盗竊亂賊而不作,故外户而不閉,是謂大同」
최고의 통치원칙(大道)은 천하가 공공 모두의 것이 되어야 한다. (선양을 의미한다.)
현명한 사람을 선발하고 능력 있는 사람을 추천하고(與), 주변 제후국에게 신용 믿음을 애기하고, 화목을 추구하고(修), 고로 사람이 자기 어버이만 섬기지 않고 그 자식만 자식으로 여기지 않고, 노인으로 하여금 집에서 선종(편안하게 죽는 것)하고 어른들은 쓸 바가 있어야 하고 어린이들은 잘 자랄 수 있게 해야 한다. 홀아비(矜=鰥), 과부, 고아, 자식 없는 자 장애가 있어 아픈 사람들 모두 보살핌을 받아야 한다. 남자는 남자로서 할 직분이 있고, 여성은 결혼을 해야 하고, 재물이 땅에 버려지는 것을 싫어하고, 반드시 자기 집에 자기가 보관할 필요가 없다. 힘은 자기 몸에서 나오지 않는 것을 싫어 한다.
(노동은 남을 시키면 안된다). 유익이 자기 자신을 위한 것일 필요는 없다. 이런 까닭에 간사한 계획은 막히고, 생겨 나지 않는다. 남의 것을 홈치고 국가를 반란하고 남에게 폐해를 끼치는 것이 생겨 나지 않는다. 그런 까닭에 바깥 대문을 잠그지 않고 사는 것 이것이 대동이다. (태평성대)
 
* 허유세이 소부 천우(許由洗耳 巢父遷牛) (제미나이참조)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고사성어로, 속세의 명예와 이익을 멀리하고 청렴결백하게 살았던 허유와 소부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요(堯)임금은 사람을 보내 어질다는 허유(許由)에게 자신의 뒤를 이어 천하를 다스려 달라고 전했으나 허유는 오히려 거절하고 기산(箕山)으로 은거(隱居)했다. 요는 처음이라 사양하는 줄 알고 또다시 사람을 보내 구주(九州)의 장(長)을 맡아 달라고 했다. 허유는 이번에도 정치를 하라는 더러운 소리를 들었다며 근처의 영수(潁水) 물가로 가서 귀를 씻었다. 마침 옆에서 소를 몰고 냇가의 물을 먹이려던 친구 소보(巢父)가 허유에게 왜 귀를 씻느냐고 묻자 허유는 "요임금이 나더러 자기의 뒤를 이어 임금이 돼 정치를 하라는군! 그런 더러운 정치 소리를 들었기에 귀가 더럽혀져 귀를 씻는다"라고 대답했다. 이 소리를 들은 소보는 "그 더러운 물을 내 소에게 먹여 소의 입을 더럽히지 안겠다!"고 하면서 소를 몰고 냇가 상류 쪽으로 올라갔다.
 
 
* '금조(琴操)'는 동진 시대 채옹(蔡邕)이 편찬한 거문고 악보 집입니다. '금조'는 원래 거문고 악보 집이지만, 한국의 전통 음악사에서 가야금과 같은 다른 현악기의 음악 이론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제미나이 참조)
 
- 금조의 내용
• '금조'는 거문고의 연주법과 악곡을 기록한 책으로, 거문고 음악의 이론과 실제를 담고 있습니다.
• 이 책에는 여러 악곡의 악보와 함께, 각 악곡의 내용과 배경에 대한 설명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 '금조'는 거문고 음악의 역사와 이론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가야금과의 연관성
• 한국의 전통 음악사에서 '금조'는 거문고뿐 아니라 가야금과 같은 다른 현악기의 음악 이론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 고려시대 역사서인 '고려사'에는 가야금에 대한 설명에서 '금조'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는 '금조'가 한국 전통 음악계에서도 중요한 참고 자료였음을 보여줍니다.
 
- 금조'의 역사적 의미
• '금조'는 중국 고대 음악의 이론과 실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입니다.
• 또한,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전통 음악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가 큽니다.
• '금조'는 오늘날에도 전통 음악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요임금 선양(禪讓)의 이야기 (제미나이참조)
 
요임금이 순에게 권력을 넘겨주며 두 딸을 시집 보낸 이야기는 중국 고대 신화이자 역사 속 아름다운 선양의 이야기로 전해집니다.
 
- 이야기의 배경
• 요임금은 중국 고대 전설상의 이상적인 군주로, 백성을 위한 현명한 통치를 펼쳤습니다.
• 나이가 들면서 요임금은 자신의 뒤를 이을 현명한 후계자를 찾고자 했습니다.
• 요임금은 자신의 아들 단주가 아닌, 덕망과 능력을 갖춘 순을 후계자로 선택했습니다.
 
- 요임금의 선택
• 순은 효성이 지극하고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깊어 백성들 사이에서 존경받는 인물이었습니다.
• 요임금은 순의 인품과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자신의 두 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순에게 시집을 보냈습니다. (잉처)
• 요임금은 두 딸을 통해 순의 가정생활과 인품을 더욱 자세히 관찰했습니다.
• 순은 두 아내와 원만한 부부 생활을 유지하며 가정을 잘 이끌었고, 이는 요임금에게 깊은 감동을 주었습니다.
 
- 권력의 이양
• 요임금은 순이 자신의 후계자로 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점차적으로 권력을 이양했습니다.
• 순은 요임금의 도움을 받아 국정을 운영하며 뛰어난 통치 능력을 보여주었습니다.
• 요임금은 순에게 완전히 권력을 넘겨주고 은퇴하며, 이상적인 선양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이야기의 의미
• 이 이야기는 사사로운 욕심 없이 능력과 덕망을 갖춘 인물에게 권력을 물려주는 선양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또한, 요임금과 순의 이야기는 이상적인 군주의 모습을 보여주며,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습니다.
• 이 이야기는 이상적인 지도자의 모습과 권력 이양의 모범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로 남아있습니다.
 
* 서구 정치학에서 Military Democracy라고 한다.
 
 
* '잉처(媵妻)'는 고대 중국에서 제후가 혼인할 때 정실부인과 함께 데려오는 여성들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잉(媵)'은 '딸려 보내다'라는 뜻이고, '처(妻)'는 '아내'를 의미합니다.
 
- 잉처의 역할과 특징
• 정실부인의 동반자: 잉처는 정실부인과 함께 혼인한 남편에게 시집을 갔으며, 정실부인을 보좌하고 남편을 섬기는 역할을 했습니다.
• 신분적 차이: 잉처는 정실부인보다 신분적으로 낮았으며, 정실부인의 친족이나 같은 나라의 여성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 자녀 출산: 잉처도 남편의 자녀를 출산할 수 있었으며, 자녀는 적자로 인정받았습니다.
• 지위 변화: 잉처의 지위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했으며, 일부 잉처는 남편의 총애를 받아 높은 지위를 얻기도 했습니다.
 
- 잉처 제도의 의미
• 정치적 목적: 잉처 제도는 정략결혼을 통해 국가 간의 관계를 강화하고 안정을 도모하는 데 활용되었습니다.
• 가문 번영: 잉처를 통해 많은 자녀를 얻어 가문의 번영을 도모했습니다.
• 사회적 안정: 잉처 제도는 일부다처제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을 분담하고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 우왕이 치수 능력으로 순 임금의 선양과 아들 계에게 왕위를 세습한 이야기
1. 우왕의 치수와 순 임금의 선양
• 홍수와의 싸움:
o 요임금 시절, 황하 유역에 대홍수가 발생하여 백성들이 큰 고통을 겪었습니다. 요임금은 곤에게 치수를 맡겼지만 곤은 제방을 쌓아 물을 막는 방식만을 고집하여 실패했습니다.
o 순 임금은 우왕에게 치수를 맡겼고, 우왕은 아버지 곤과 달리 물길을 따라 흐르게 하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그는 13년 동안 온 힘을 다해 물길을 정비하고 백성들과 함께 홍수를 극복했습니다.
o 이 과정에서 우왕은 세 번이나 집 앞을 지나면서도 들르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만큼 헌신적으로 치수에 임했습니다.
 
• 순 임금의 인정과 선양:
o 우왕의 뛰어난 치수 능력과 헌신적인 모습에 감탄한 순 임금은 그에게 왕위를 물려주기로 결심했습니다.
o 우왕은 백성들의 존경과 신임을 얻었고, 순 임금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라 하(夏)나라를 건국했습니다.
 
2. 아들 계에게 세습
• 세습 왕조의 시작:
o 전통적으로 중국 고대 사회에서는 덕이 있는 사람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선양 방식이 이루어졌습니다.
o 하지만 우왕은 자신의 아들 계에게 왕위를 물려주었고, 이는 중국 역사상 최초의 세습 왕조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습니다.
o 이로써 하나라는 세습 왕조의 시대를 열었고, 이후 중국의 왕조들은 1911년 청나라가 멸망할 때까지 대부분 세습 방식으로 왕위를 계승하게 되었습니다.
 
우왕의 이야기는 뛰어난 지도자의 능력과 헌신이 어떻게 백성들을 구하고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또한, 그의 아들 계에게 왕위를 물려준 것은 중국 역사에서 세습 왕조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 선양(禪讓)
선양은 왕위를 혈연관계가 아닌, 덕망 있고 능력 있는 인물에게 물려주는 제도이다. 요(堯) 임금이 순(舜)에게, 순 임금이 우(禹)에게 왕위를 물려준 것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선양은 천하위공(天下爲公) 사상에 기반하며, 지도자의 능력과 덕을 중시하는 이상적인 정치 형태로 여겨졌다.
 
* 세습(世襲)
세습은 왕위를 혈연관계에 있는 자손에게 물려주는 제도이다. 하(夏)나라의 우(禹) 임금 이후, 그의 아들 계(啓)가 왕위를 계승하면서 세습제가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세습은 천하위사(天下爲私) 사상과 연결되며, 왕위 계승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지도자의 자질이 부족한 인물이 왕위를 계승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 조조의 단가행(短歌行)
술잔 앞에 노래하니, 인생이 얼마나 될까? (對酒當歌,人生幾何?)
비유컨대 아침 이슬 같으니, 지나간 날이 괴롭기만 하구나. (譬如朝露,去日苦多。)
마음속에 근심이 일어 끊을 수 없구나. (憂從中來,不可斷絕。)
어떻게 하면 근심을 풀 수 있을까? 오직 술만이 있구나. (何以解憂,唯有杜康。)
푸른 옷깃이여, 그대들을 생각하노라. (靑靑子衿,悠悠我心。)
그러나 그대들 때문에 오늘까지 깊이 생각하노라. (但爲君故,沈吟至今。)
밝은 달과 같이 빛나는데 언제나 딸 수 있을까? (明明如月,何時可掇?)
마음속의 근심은 끊을 수가 없구나. (憂從中來,不可斷絕。)
논두렁 밭두렁을 지나 그대들이 찾아와 주었으니, (越陌度阡,枉用相存。)
담소를 나누며 옛 은혜를 이야기하세. (契闊談讌,心念舊恩。)
달은 밝고 별은 성긴데, 까막까치가 남쪽으로 날아가네. (月明星稀,烏鵲南飛。)
나무를 세 번이나 돌아도 의지할 가지가 없구나. (繞樹三匝,何枝可依?)
산은 높아서 싫증나지 않고, 바다는 깊어서 싫증나지 않으니, (山不厭高,海不厭深。)
주공은 천하를 평정하고 인재를 맞이했네. (周公吐哺,天下歸心。)
 
단가행은 조조가 적벽대전을 앞두고 지은 시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시는 그의 호탕한 기상과 함께 인재를 갈망하는 그의 마음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 사기의 노주 공세가(魯周公世家)에 주(周)나라 주공(周公)이 그의 아들 백금(伯禽)을 훈계하면서 한 말이다.
 
"나는 문왕(文王)의 아들이고 무왕(武王)의 동생이며 성왕(成王)의 숙부이니, 천하에서 내 지위가 결코 낮지 않다. 그러나 나는 머리를 감다가 세 번 머리카락을 움켜쥐고, 밥을 먹다가 세 번 음식을 뱉으며 일어나 선비를 기다렸으니, 오히려 천하의 현인을 잃을까 두려워 해서이다. 네가 노나라에 가서 다스리게 되더라도, 나라를 가졌다고 하여 결코 사람들에게 교만하게 행동하지 마라."
 
이 훈계는 높은 지위에 있더라도 항상 겸손한 자세로 인재를 존중하고 그들의 의견에 귀 기울여야 한다는 주공의 철학을 드러낸다.
 
 
'일목삼제발(一沐三捉髮) 일반삼토포(一飯三吐哺) 유공실 천하지현인(猶恐失天下之賢人).'는 주공이 인재를 얼마나 소중하게 여겼는지 보여주는 고사성어입니다.
 
- 일목삼제발(一沐三捉髮)
• 한 번 목욕하는 동안 세 번 머리를 움켜쥔다는 뜻입니다.
• 주공은 머리를 감다가도 인재를 만나기 위해 머리를 움켜쥐고 뛰어나갔다고 합니다.
 
- 일반삼토포(一飯三吐哺)
• 한 끼 식사를 하는 동안 세 번 음식을 뱉어낸다는 뜻입니다.
• 주공은 밥을 먹다가도 인재를 만나기 위해 입안의 음식을 뱉고 뛰어나갔다고 합니다.
 
이 고사성어들은 주공이 천하의 인재를 얻기 위해 얼마나 간절하고 정성을 다했는지 잘 보여줍니다. 주공은 항상 인재를 갈망하며, 그들을 위해 자신의 편안함까지 희생했습니다. 이러한 주공의 노력 덕분에 주나라는 태평성대를 이룰 수 있었습니다.
 
* 공자의 주공에 대한 평가
공자(孔子)는 주공을 이상적인 인물로 숭배하며 그의 예와 덕을 본받고자 했다. 《논어(論語)》 술이(述而)편에서 공자는 "내가 쇠약 해졌다! 주공을 꿈에서 다시 보지 못하게 되었으니"고 탄식하며 주공에 대한 존경심을 표현했다. 이는 공자가 주공의 사상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했는지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 주공(周公)과 소공(召公)의 관계 (제미나이 참조)
모두 주나라 건국과 초기의 안정에 크게 기여한 인물들입니다. 공자는 특히 주공을 높이 평가했는데, 그 이유는 주공의 뛰어난 덕망과 실천적인 업적 때문이었습니다.
 
- 주공의 업적
• 주나라 건국 공헌: 주공은 무왕을 도와 은나라를 멸망시키고 주나라를 건국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 성왕 보필 및 섭정: 무왕 사후 어린 성왕을 대신하여 섭정을 하면서 주나라의 기틀을 확립하고 안정을 가져왔습니다.
• 제도 정비: 주나라의 예악 제도를 정비하고, 봉건 제도와 정전제를 확립하여 사회 질서를 안정시켰습니다.
• 난 진압: 삼감의 난을 성공적으로 진압하여 주나라의 통치 기반을 강화했습니다.
• 문화 발전: 주례, 의례, 주역 등 유교 경전의 기초를 다져 중국 문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 소공의 업적
• 주나라 건국 공헌: 소공 역시 무왕을 도와 주나라 건국에 공헌했습니다.
• 성왕 보좌: 성왕을 보좌하며 주나라 초기 안정에 기여했습니다.
• 낙읍 건설: 주나라의 새로운 도읍인 낙읍 건설을 주도했습니다.
• 민심 안정: 백성들을 안정시키고 교화하는 데 힘썼습니다.
 
- 공자가 주공을 높게 평가한 이유
• 뛰어난 덕망: 주공은 겸손하고 공정하며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나라를 다스렸습니다.
• 실천적인 업적: 주공은 이론에 그치지 않고 실제 정치와 사회 개혁을 통해 주나라의 안정을 가져왔습니다.
• 유교적 이상 실현: 주공은 유교에서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성왕의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예악 정비: 주공이 정비한 예악은 공자가 추구한 이상 사회의 중요한 기반이었습니다.
공자는 주공의 업적과 인품을 통해 유교적 이상 사회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했습니다.
 
- 가족 관계:
• 주공의 이름은 단(旦)이며, 주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이자 무왕(武王)의 동생입니다.
• 소공의 이름은 석(奭)이며, 주공과 마찬가지로 무왕의 동생이지만 서자이다.
 
- 정치적 협력:
• 두 사람은 함께 주나라 왕조의 기반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주공이 어린 성왕(成王)의 섭정을 맡았을 때, 소공과 협력시하여 반란을 진압했습니다.
• 주공은 7년간 섭정을 한 후 물러났지만, 소공은 그 이후 강왕 때까지 정치를 보살폈습니다.
 
- 공동 업적:
• 두 사람은 주나라의 제도와 문물을 정립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 주공이 예악(禮樂)과 법도(法度)를 제정할 때, 소공도 이를 지지하고 협력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 주공과 소공의 협력은 주나라 초기의 안정과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이들의 관계는 형제애와 정치적 동맹의 모범으로 여겨집니다.
 
* 의문점
소공이 호경을 仁과義로 통치하였으나
주공은 낙양을 禮樂과 法度로 다스림 (상나라 유민에 대한 강압 통치)
공자는 소공의 인(仁)을 가장 중요시 하고 있으나 실제로 주공을 더 칭송하고 있다.
 
 
 
(2025.3. 20 강의 요약자: 주정봉)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