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2025.04.06. 12:22 (2025.04.06. 12:09)

사마천 사기 380강 강의자료 요약 (2025.4.3)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罰赴邊有懷上韋令公〉과 작자 薛濤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聞道, 羞將, 門下曲과 盧綸의 《塞下曲》, 隴頭兒, 黠虜, 直北 등......)설명 ; (2) 고문헌에 나오는 夏商周의 학교 명칭과 다양한 역할 및 교과과목(小學, 6德, 6行, 6藝), 《周禮》〈春官 大司樂〉「大司樂掌成均之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 學校와 學生의 別稱과 桃李의 관련문헌에 대하여 설명 ; (4) 訊馘과 斬首, 左耳, 鼻(劓)의 차이와 耳塚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사마천 사기 380강 강의자료 요약 (2025.4.3)
 
2025년 4월 3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 唐詩 300首
 
 
 
1) 당시 제목: “벌부변유회상위령공”
2) 당시 중국어 발음
 
罰 赴 邊 有 懷 上 韋 令 公 --- 薛 濤
 
wéndàobiānchéng
Jīnláidàoshǐzhī
xiūjiāngménxià
Chànglǒngtóuér
diányóuwéimìng
fēngyānzhíběichóu
quèjiàoyánqiǎnqiè
gǎnxiàngsongzhōu
 
3) 작자: * 설도(薛濤, 768~832) (FELO 참조)
설도는 중국 당나라의 대표적인 여류 시인입니다. 자는 홍도(洪度)입니다. 그녀는 장안(현재의 시안)에서 태어나 아버지의 직업 때문에 어린 시절을 촉(현재의 쓰촨 성)에서 보냈습니다. 설도는 뛰어난 재능과 아름다움으로 주목받았으며, 16세에 기생으로 입문하게 됩니다. 그녀는 당대의 여러 문인들과 교류하며, 특히 시인 원진과의 사랑 이야기로 유명합니다.
주요 생애 및 업적
1) 아버지인 설운(薛鄖)은 관리로서 학식이 높았고, 설도는 어린 시절부터 시와 음악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습니다. 그녀는 8세 무렵부터 시를 짓기 시작했으며, 아버지와의 시가 교류로 유명해졌습니다.
2) 기생 생활: 아버지의 사망 후, 설도는 생계를 위해 기생으로서 삶을 선택하게 됩니다. 그녀는 뛰어난 시와 음악 실력으로 빠르게 명성을 얻었고, 여러 문인들과 관계를 통해 그녀의 시가 널리 알려지게 됩니다.
3) 문학적 기여: 설도는 약 500편의 시를 썼으며, 현재 전해지는 시는 약 93편입니다. 그녀의 시는 주로 사랑과 이별, 자연에 대한 감상을 담고 있으며, 특히 '춘망사(春望詞)'와 같은 작품이 유명합니다. 그녀는 또한 '설도지(薛涛纸)'라는 특별한 시지 제작법을 개발하여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4) 사후 영향: 설도의 시는 그녀의 사후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그녀의 삶과 작품은 후대 문인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5) 설도는 어현기, 이야, 이채춘과 더불어 당대 사대 여류 시인이라고 불렸으며, 탁문군, 화예부인, 황아와 더불어 촉중4대재녀라고 불렸습니다.
 
설도는 단순한 기생이 아닌, 당대의 뛰어난 문인으로서 그녀의 재능과 아름다움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기억되고 있습니다. 그녀의 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 별부 변(罰赴 邊) : 벌(罰)로 변방에 보낸다.
"별부는 조직에서 처벌"이나 "징계"의 의미를 갖습니다.
 
* 시(始) : 비로소
 
 
* 문화곡(門下曲)의 개념 (FELO 참조)
문화곡은 당나라 시대의 궁중 음악 중 하나로, 주로 궁중에서 연주되던 음악을 의미합니다. 이 음악은 궁중의 공식 행사나 연회에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악기와 함께 연주되었습니다.
 
-당나라 시대의 문화곡 특징
1. 다양한 악기 사용: 문화곡은 다양한 악기와 함께 연주되었습니다. 특히, 관악기와 타악기가 주를 이루며, 이들은 궁중의 화려한 분위기를 더욱 강조했습니다.
2. 의식과 행사에서의 역할: 문화곡은 궁중의 공식 행사, 즉 왕의 즉위식, 연회, 제사 등의 중요한 의식에서 필수적으로 연주되었습니다. 이러한 음악은 행사에 품격을 더하고, 참석자들에게 감동을 주는 역할을 했습니다.
3. 음악의 구조: 문화곡은 일반적으로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부분은 특정한 감정이나 분위기를 표현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음악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만들어 주며, 청중의 감정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했습니다.
4. 문화적 융합: 당나라 시대는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융합된 시기로, 문화곡에서 이러한 특징이 나타납니다. 서역의 음악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당나라의 음악이 국제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습니다.
5. 문학과의 연계: 문화곡은 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많은 곡들이 유명한 시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이는 음악과 문학의 상호작용을 통해 당대의 문화적 풍요로움을 보여줍니다.
 
- 결론 : 당나라 시대의 문화곡은 궁중 음악의 중요한 부분으로, 다양한 악기와 구조를 통해 공식 행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음악은 당나라의 문화적 융합과 문학적 요소를 반영하며, 그 시대의 음악적 풍요로움을 잘 보여줍니다.
 
 

 
*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331강(2023.11.23.) 강의 교안
 
* 夏商周(三代)의 學校 명칭, 역할 및 兼論 成均
 
 
* 양로의 개념 (FELO 참조)
양로는 노인을 돌보고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히 신체적 돌봄을 넘어, 정신적, 사회적, 정서적 지원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입니다. 하 상 주 시대의 학교는 이러한 양로노의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기능했습니다.
 
- 학교의 역할
가. 교육과 훈련 제공: 학교는 노인들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여 그들이 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이는 노인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나. 사회적 연대 강화: 학교는 노인들이 서로 소통하고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했습니다. 이를 통해 노인들은 외로움을 극복하고,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다. 건강 관리 및 상담: 학교는 노인들에게 건강 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의료 서비스와 연계하는 역할도 수행했습니다. 이는 노인의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라. 문화 및 여가 활동: 학교는 노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 및 여가 활동을 조직하여,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활력을 불어넣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노인들이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했습니다.
마. 정신적 지원: 노인들은 종종 고립감을 느끼기 쉬운데, 학교는 이들에게 정서적 지지와 상담을 제공하여 심리적 안정을 도모했습니다.
 
- 결론: 하 상 주 시대의 학교는 양로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노인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제공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노인의 사회적 통합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였습니다.
 
 
* 습사(習射) (FELO 참조)
중국 고대의 전통적인 사격 훈련 및 의식으로, 주로 유교의 교육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훈련은 단순한 사격 기술을 넘어서, 개인의 도덕적 수양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교육적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1) 습사의 역사적 배경
- 고대 기원: 습사는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주나라 시기부터 중요한 교육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당시의 교육은 '여섯 가지 기술'인 육예(六藝) 중 하나로, 예(禮), 악(樂), 사(射), 마(御), 서(書), 수(數)가 포함되었습니다. 이 중 사(射)는 전투 기술만 아니라, 예절과 음악과 결합하여 인격 수양의 일환으로 여겨졌습니다.
- 당나라의 발전: 당나라 시대에는 습사가 더욱 발전하여, 군사 훈련과 국가 의식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당 태종(李世民)은 자신의 군대에 사격 훈련을 강조하며, 정기적으로 사격 의식을 개최했습니다. 이러한 의식은 군사적 준비만 아니라, 국가의 안정과 평화를 기원하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2) 습사의 구성 및 절차
가. 습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습니다:
준비 단계: 사격을 위한 장소를 정하고, 필요한 장비(활과 화살)를 준비합니다.
나. 의식단계: 사격 전에 음악을 연주하고, 참가자들이 서로 인사하며 예를 갖추는 의식을 진행합니다.
다. 사격단계: 참가자들이 차례로 활을 쏘며, 각자의 사격 실력을 겨룹니다. 이때, 사격의 정확성과 기술이 평가됩니다.
라. 상벌단계: 사격 결과에 따라 우수한 성적을 거둔 참가자에게는 상을 주고, 미흡한 성적을 기록한 경우에는 벌을 주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3) 습사의 교육적 의미
습사는 단순한 사격 기술 훈련을 넘어,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가. 도덕적수양: 습사는 개인의 인격을 함양하고, 사회적 책임감을 기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격을 통해 집중력과 인내심을 기르고, 규칙을 준수하는 태도를 배웁니다.
나. 사회적연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소속감을 느끼게 하며, 동료들과 협력및 경쟁을 통해 사회적 유대감을 강화합니다.
다. 군사적준비: 국가의 안전과 방어를 위한 군사적 기술을 익히는 중요한 수단으로, 전통적으로 군인만 아니라 일반 시민에게도 강조되었습니다.
습사는 중국 고대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오늘날에도 전통 문화의 일환으로 계승되고 있습니다.
 
 
* 시학의 개념 (FELO 참조)
시학(視學)은 교육 기관과 수업 내용을 감찰하고 지도 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교육의 질을 보장하고, 교육 정책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하 상 주 시대의 시학 역할
1. 교육 감찰 및 감독: 시학관(視學官)은 학교의 운영과 교육 과정을 감시하고, 교사와 학생의 학습 상황을 점검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이를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고, 교육 목표가 제대로 달성되고 있는지를 확인했습니다.
2. 정책 시행: 시학관은 국가의 교육 정책을 현장에서 실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들은 교육 내용과 방법이 국가의 방침에 부합하는지를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개선을 요구했습니다.
3. 교사 및 학생 관리: 시학관은 교사와 학생의 행동을 감독하고,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들은 교사에게 수업을 시키거나 학생들에게 시험을 치르게 하는 등의 권한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4. 민족 교육의 통제: 하 상 주 시대의 시학관은 민족 교육을 감시하고, 국가의 이념에 맞지 않는 교육 활동을 억제하는 역할도 수행했습니다. 이는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5. 교육의 질 향상: 시학관은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사들에게 전문적인 지도와 지원을 제공했습니다. 이를 통해 교사들이 더 나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 합악(合樂)의 개념 (FELO 참조)
합악은 교육과 음악, 그리고 공동체의 화합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학생들이 음악을 통해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학생들의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기여합니다.
 
- 하 상 주 시대의 합악 역할
1. 음악 교육의 중요성: 하 상 주 시대에는 음악이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졌습니다. 음악 교육은 학생들에게 감정 표현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배우게 하며,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2. 사회적 화합: 합악은 학생들이 함께 음악을 연주하거나 노래함으로써 서로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사회적 통합을 촉진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3. 정서적 발달: 음악 활동은 학생들의 정서적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합악을 통해 학생들은 감정을 표현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4. 문화 전통의 계승: 합악은 하 상 주 시대의 문화와 전통을 계승하는 중요한 수단이었습니다. 음악과 관련된 교육은 후대에 전해지는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석전의 개념 (FELO 참조)
석전(釋奠)은 유교 전통에서 선성(先聖)과 선사(先師)에게 제사를 지내는 의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교육 기관에서 스승과 성인의 가르침을 기리고, 그들의 학문과 도덕적 가치를 존중하는 중요한 행사입니다.
 
- 하 상 주 시대의 석전 역할
1. 교육적 의미: 석전은 학생들에게 유교의 가르침을 체득하게 하고, 스승에 대한 존경심을 고취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도덕적 가치와 인격을 함양할 수 있었습니다.
2. 문화적 전통의 계승: 석전은 하 상 주 시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적인 의식으로, 교육 기관에서의 중요한 행사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는 후대에 걸쳐 유교 문화와 교육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3. 사회적 통합: 석전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학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행사로, 사회적 유대감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공동체 의식을 느끼고, 서로의 관계를 돈독히 할 수 있었습니다.
4. 제사 의식의 중요성: 석전은 단순한 제사 의식을 넘어, 교육과 도덕적 교훈을 결합한 행사로, 학생들에게 삶의 지혜와 교훈을 전달하는 중요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 석전(釋奠) (GEMINI참조)
공자를 비롯한 유교 성현들에게 제사를 드리는 의식입니다. 석전을 드릴 때 사용되는 천저찬작(籩菹簒酢)은 제사에 쓰이는 제기(祭器)와 제수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천(籩): 대나무를 엮어 만든 제기로, 과일이나 포 등을 담는 데 사용됩니다.
 
• 저(菹) : 채소나 고기를 잘게 썰어 만든 절임 음식으로, 제사에 올리는 제수 중 하나입니다.
• 찬(簒) : 대나무를 엮어 만든 제기로, 곡식으로 만든 제수를 담는 데 사용됩니다.
• 작(酢) : 식혜나 술과 같은 음료를 담는 제기입니다.
 
즉, 천 저 찬 작은 석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제기와 제수를 통칭하는 용어이며, 이는 석전이 단순한 의례가 아닌, 정성을 다해 준비된 음식과 격식을 갖춘 제기를 사용하는 엄숙한 의식임을 보여줍니다.
 
 
* 택사(擇士)의 개념 (FELO 참조)
택사란 인재를 선발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고대 중국에서 인재를 발굴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제도였습니다. 이 시기에는 주로 혈연 관계와 사회적 지위에 따라 인재가 선발되었으며, 학교는 이러한 인재 선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후에 발전된 과거의 인재 선발 제도인 과거제(科举制)와도 연결되는 중요한 기초가 되었습니다.
 
 
* 강무(講武)의 개념 (FELO 참조)
강무는 군사 훈련과 무예 교육을 의미하며, 고대 중국에서 군사적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중요한 교육 방식이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군사적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국가의 안전과 직결되었기 때문에, 강무는 학교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신괵(訊馘)의 의미 (GEMINI참조)
• 괵(馘): 전쟁에서 적군의 왼쪽 귀를 베어 전리품으로 삼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적군의 사망을 증명하고, 전공을 인정받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신(訊): 심문하다, 확인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살아있는 포로를 조사하는 것이다.
 
 
* "참수(斬首)", "좌이(左耳)", "비(劓)" (FELO 참조)
모두 과거 형벌의 종류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각 단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참수(斬首): 죄인의 목을 베어 죽이는 형벌입니다. 가장 극형에 해당하는 형벌로, 공개적으로 집행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주기도 했습니다.
• 좌이(左耳): 죄인의 왼쪽 귀를 자르는 형벌입니다. 얼굴에 흉터를 남겨 죄를 지었음을 드러내는 형벌입니다. 원나라 이후 시행되었습니다.
• 비(劓): 죄인의 코를 베는 형벌입니다. 좌이와 마찬가지로 얼굴에 흉터를 남기는 형벌입니다.
 
이 세 가지 형벌은 모두 신체를 훼손하는 잔혹한 형벌로, 과거 권위주의 사회에서 죄인을 처벌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조선인의 귀와 코를 베어 전공을 증명하기 위해 일본으로 가져가 묻은 '이총(耳塚)'은 일본 교토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GEMINI참조)
 
• 위치: 일본 교토부 교토시 히가시야마구 차야마치
• 역사적 배경:
o 임진왜란 당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일본군에게 조선군의 수급 대신 귀와 코를 베어 전공을 증명하도록 했습니다.
o 잘린 귀와 코는 소금에 절여 일본으로 보내졌고, 교토에 묻혀 이총이 되었습니다.
o 원래는 코무덤이라 불렸으나, 그 잔인함 때문에 귀무덤으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이 이총(耳塚)은 임진왜란의 참혹함을 보여주는 역사적 증거이며,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아픔을 주는 장소입니다.
 
 
* 제전 (FELO 및 GEMINI참조)
1. 경전 교육의 중심
 
하 상 주 시대의 학교는 유교 경전인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 등을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이러한 경전들은 도덕적 가치와 사회적 규범을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었으며, 학생들은 이를 통해 올바른 행동과 사회적 책임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제전은 고대 중국의 문화유산을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학교는 학생들에게 이러한 문헌을 가르침으로써, 그들이 전통적인 가치관과 역사적 지식을 이해하고 계승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이는 사회의 지속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2. 도덕적 및 윤리적 교육
학교에서의 제전 교육은 학생들에게 도덕적 및 윤리적 기준을 심어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경전의 가르침을 통해 학생들은 개인의 이익보다 공동체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가치관을 배우게 되었고, 이는 후에 사회의 일원으로서 행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3. 학교의 역할
하 상 주 시대의 학교는 단순한 교육 기관을 넘어, 사회적 질서 유지와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제전은 이러한 학교의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적인 활동 중 하나였으며, 학생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지식, 기술, 윤리적 가치를 배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 망기(望氣)의 의미 (GEMINI참조)
• 망기는 말 그대로 '기운을 바라본다'는 뜻입니다. 고대 중국인들은 하늘의 기운이 인간 세상에 영향을 미친다고 믿었으며, 이러한 기운을 관찰하고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 망기는 천문학적 지식만 아니라, 점술과 예언의 영역까지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 학교와의 관련성
하 상 주 시대의 학교, 특히 주나라의 국학(國學)은 단순한 학문 교육 기관이 아니라, 국가의 통치와 관련된 다양한 지식을 가르치는 곳이었습니다.
 
• 천문 교육:
o 국가의 통치자는 하늘의 뜻을 따라야 한다고 믿었으므로, 천문학은 매우 중요한 학문이었습니다.
o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천체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국가의 길흉화복을 예측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o 망기는 이러한 천문 교육의 핵심적인 요소였습니다.
 
• 역법 제작:
o 정확한 역법은 농업 생산과 국가의 제례를 위해 필수적이었습니다.
o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천체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계산하여 정확한 역법을 제작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o 망기는 역법 제작의 기초가 되는 천문 관측 활동이었습니다.
 
• 정치적 활용:
o 통치자들은 망기를 통해 하늘의 뜻을 해석하고, 이를 정치에 활용했습니다.
o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망기를 통해 정치적 판단력을 기르고, 국가의 통치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했습니다.
 
- 종합: 망기는 하 상 주 시대 학교에서 천문학, 역법, 정치 등 다양한 분야와 관련된 중요한 활동이었습니다. 학교는 망기를 통해 학생들이 국가의 통치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고,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했습니다.
 
 
'치력(治歷)' (GEMINI참조)
치력은 고대 중국의 천문학과 역법(曆法)을 다루는 중요한 교육 활동입니다. '치(治)'는 다스리다, 관리하다, 연구하다 등의 의미를 가지며, '력(歷)'은 달력, 역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치력은 천체의 운행을 관측하고 계산하여 정확한 역법을 만들고 관리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 치력의 중요성
• 농업 생산: 고대 중국은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였으므로, 정확한 역법은 농업 생산에 필수적이었습니다. 치력을 통해 계절의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농사 시기를 결정할 수 있었습니다.
• 국가 통치: 역법은 국가의 제례, 행사, 조세 징수 등 다양한 행정 업무에 활용되었습니다. 정확한 역법은 국가의 권위를 상징하며, 안정적인 통치를 위한 필수 조건이었습니다.
• 천문 관측: 치력은 천체의 운행을 관측하고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이는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우주와 자연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기타 출전
《禮記》〈學記〉(〈學記〉는 孟子 제자 樂正克이 저술)「家有塾, 黨有庠, 術有序, 國有學」
「學記」에 말하기를 옛날의 가르치는 곳으로는 ‘家’에 ‘塾’이 있고, ‘黨’에는 ‘庠’이 있고, ‘術’에는 ‘序’가 있으며 ‘國’에는 ‘學’이 있다. 고 했다.
 
* 백성 중에 집에 있는 자는 아침저녁으로 塾에서 가르침을 받는다. 500家를 ‘黨’이라 하며 ‘黨’의 학교를 ‘庠’이라 하는데 ‘閭’의 ‘塾’에서 오른 바의 사람을 가르친다. ‘術’은 12,500家가 術‘의 학교를 ‘序’라 하며 ‘黨’의학교에서 오른 바의 사람을 가르친다.
 
《禮記》〈王制〉「有虞氏養國老於上庠, 養庶老於下庠。夏后氏養國老於東序, 養庶老於西序。殷人養國老於右學, 養庶老於左學。周人養國老於東膠, 養庶老於虞庠」
有虞氏 순임은 상상(上庠)에서 퇴직한 고급관리(國老)를 양육하고, 하상(下庠 )에서 士級관리와 백성 (庶老)을 양육하였고, 夏后氏 요임금은 동서(東序)에서 國老를 양육하고 서서(西序)에서 庶老를 양육하였다. 상나라 사람은 우학(右學)에서 國老를 양육하고 좌학(左學)에서 庶老를 양육하였다. 주나라 사람은 동묘(東膠)에서 國老를 양육하고 우상(虞庠)에서 庶老를 양육하였다.
 
 
* 참고1 - 經典에 나오는 古代 學校의 别稱
泮(宮,水)、庠、庠序、國學、鴻都門學、太學、國子監、文廟、孔廟、書院、蒙學、族學、私塾、學堂......
 
* 반궁(泮宮) (FELO 참조)
1) 정의: 반궁은 고대 중국의 국가 고등학교를 의미합니다. 주로 서주 시대에 설립된 교육 기관으로, 왕이 세운 학교 중 하나입니다. 반궁은 교육의 중심지로서, 귀족 자제들이 교육받는 장소였습니다.
2) 기능: 반궁은 학생들에게 도덕과 정치, 문학 등을 가르치는 곳으로, 국가의 인재를 양성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곳에서 교육받은 학생들은 후에 관직에 나가 국가를 이끌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습니다.
 
* 반수(泮水) (FELO 참조)
1) 정의: 반수는 반궁 앞에 위치한 반원형의 물이 고인 연못을 의미합니다. 이 연못은 반궁의 상징적인 요소로, 학생들이 입학할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장소입니다.
2) 기능: 반수는 교육의 시작을 알리는 의식적인 장소로, 학생들이 반궁에 들어가기 전에 이곳에서 의식을 치르며, 교육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했습니다. 물은 정화의 상징으로, 학생들이 새로운 지식을 배우기 위해 마음을 다잡는 장소로 여겨졌습니다.
 
* 원형적인 반수는 「시경 노송 반수」에서 노희공이 건사한 반궁 곁에 흐르는 하천이었다. 반궁은 천자국이었던 주나라의 학교인 벽웅에 대응되는 제후국의 학교라는 정체성이 있었고, 제사와 교화의 두 가지 기능이 함께 이루어진 성소였다. 후대에 공묘와 학궁이 결합된 묘학제도가 생기면서, 반수는 지방관학에서 중요한 공간구성요소가 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대 대학원 정우진외2인 논문 “중국 묘학 반수의 변천 과정과 전개양상”참조)
* 논문중 사진 참조
 
 
 
* 참고2 - 經典에 나오는 古代 學生의 别稱
學子、學童、門人、門生、門下、門下士、門下生、門下客、門弟子、門徒、生員、生徒、學徒、藝徒、桃李、高足、上足、小子、仁弟.....
 
* 授業 = 書生= 同筆硏 도 학생의 별칭이다
 
 
* 도이(桃李)의 유래 (FELO 참조)
1) 비유적 의미: 도이는 '복숭아 나무(桃)'와 '자두 나무(李)'를 의미합니다. 이 두 나무는 봄에 꽃을 피우고 가을에 열매를 맺는 특성 때문에, 교육에서 학생들이 성장하고 성취하는 과정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즉, 학생들이 선생님의 가르침 아래에서 성장하여 훌륭한 인재로 자라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역사적 배경: 이 용어의 기원은 춘추전국 시대의 한 이야기에서 비롯됩니다. 당시의 대臣인 자질(子質)은 자신이 가르친 제자들이 성공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고 자랑스럽게 여겼습니다. 그는 "봄에 심은 복숭아와 자두 나무가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하고, 가을에는 열매를 맺는다"는 비유를 통해, 자신이 가르친 학생들이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3) 도이의 사용
- 학생을 지칭하는 용어: 도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학생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도리 만천하(桃李满天下)"라는 표현은 많은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성장했음을 의미하며, 이는 선생님의 교육적 성과를 나타냅니다.
- 교육의 중요성: 도이는 또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십년 수목, 백년 수인(十年树木,百年树人)"이라는 속담처럼, 인재를 양성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상기시킵니다. 이는 교육이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인격과 도덕성을 함양하는 과정임을 나타냅니다.
 
 
* 도이불언 하자성혜(桃李不言 下自成蹊)" (GEMINI참조)
사마천의 '사기(史記)'에 나오는 말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1) 겉뜻: 복숭아나무와 자두나무는 말을 하지 않지만, 아름다운 꽃과 맛있는 열매 때문에 사람들이 저절로 찾아와 그 아래에 길이 생긴다.
2) 속뜻: 덕이 있는 사람은 스스로를 드러내려 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따르고 존경하게 된다.
 
이 말은 한나라의 명장 이광(李廣)을 칭송하며 한 말로, 이광은 뛰어난 무예와 덕으로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지만, 자신을 드러내려 하지 않았습니다. 이처럼 "도이불언 하자성혜"는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으며 덕을 쌓는 사람에게는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모여든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 "자치통감(資治通鑑)") (FELO 참조)에서 언급된 “도리만천하(桃李滿天下)와 춘휘편사방(春晖遍四方)”은 교육과 인재 양성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주로 스승의 덕과 제자의 성장을 강조합니다.
 
- 도리만천하(桃李滿天下)
• 의미: "복숭아와 오얏이 천하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이는 훌륭한 제자들이 많다는 것을 비유합니다. 복숭아와 오얏은 각각 스승이 가르친 제자들을 상징하며, 이 표현은 스승이 많은 제자를 양성했음을 나타냅니다.
• 출처: 이 구절은 자치통감의 唐纪·则天皇后久视元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여기서 狄仁杰라는 인물이 여러 인재를 추천하며, "天下桃李悉在公门矣"라고 언급하여, 자신의 추천으로 많은 인재들이 공직에 나가게 되었음을 자랑스럽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 춘휘편사방(春晖遍四方)
• 의미: "봄의 햇살이 사방에 퍼진다"는 뜻으로, 이는 스승의 가르침이 널리 퍼져 제자들이 각지에서 성공적으로 활동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스승의 영향력이 제자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결과를 강조합니다.
• 맥락: 이 두 표현은 함께 사용되며, 스승이 제자를 잘 가르치면 그 제자들이 사회 각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게 되고, 이는 결국 스승의 명성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즉, 스승의 덕이 제자들에게 전해져 그들이 사회에 기여하게 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결론적으로, 도리만천하와 춘휘편사방은 스승과 제자 간의 관계를 통해 교육의 중요성과 그 결과를 강조하는 표현으로, 자치통감에서 중요한 교육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成均之法」의 분석과 定說은?
(1說) 成均 - 학교 명칭에서 유래(鄭玄(東漢) 注, 賈公彥(唐) 疏, 《周禮注疏》「董仲舒云..成均, 五帝之學)-周代-大學(University)에서 남쪽에 설치한(College) 成均(樂舞 학습)--한국은 《高麗史》, 고려, 충선왕~공민왕, 國子監-國學-成均監-成均館. 즉 成均之法은 학교명칭 및 확대된 의미로 일종의 교육방법을 의미함.
(2說) 成事均(調) 音; 成-음악의 章; 均-調-음악(악기)의 음률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것; 즉 成均은 음악의 12律을 조정하여 맞추는 것으로 음악 위주의 교육을 하는 음악학교를 의미함.
(3) 결론 - 成均은 중국 고대(周代) 학교 명칭이고, 최초 출전으로 볼 수 있는 것은 《周禮》〈春官•大司樂〉「大司樂掌成均之法」이다. 결국 의미를 확대하면 (2설)은 (1설)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또 한국에서 말하는
a. 金昌淑(?)..《周禮》〈 ? 〉「成人才之未就, 均風俗之不齊」 ?
b. 「成人材修己, 均風俗治人」은 朱子,《朱文公文集》〈學校貢擧私議〉「成人材而厚風俗, 濟世務而興太平」 문장을 모방하지 않았을까 ??, 모두 알 수 없는 사실임(皆未知孰是).
 
 
 
 
* 추기급인(推己及人) (FELO 참조)
"자신의 처지를 미루어 다른 사람의 형편을 헤아린다"는 뜻의 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자신의 입장에서 다른 사람의 상황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태도를 강조합니다.
- 의미와 유래
• 의미: 추기급인은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고 그에 맞춰 행동하라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즉, 자신이 원하지 않는 일을 남에게도 하지 말라는 의미로, 상대방의 감정을 고려하여 행동해야 한다는 도덕적 원칙을 나타냅니다.
• 유래: 이 성어는 중국의 고전 문헌인 《논어》에서 유래하였으며, 공자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합니다. 공자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강요하지 말라"는 원칙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인간관계에서의 도리를 설명했습니다.
추기급인은 현대 사회에서도 중요한 윤리적 가치로 여겨지며, 사람들 간의 관계를 원활하게 하고 서로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 과녁
 
 
 
* 정의(井儀) (FELO 참조)의 의미는 주로 활 쏘기와 관련된 용어로, 활을 쏘는 자세나 형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정의'는 활을 가득 벌린 모습이 '井'과 같은 형태가 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화살이 발사될 때의 정확한 자세와 관련이 있습니다.
 
활 쏘기에서 정의는 화살이 과녁에 정확히 맞추는 것을 강조하며, 이는 활의 조준과 발사 과정에서의 정밀함을 나타냅니다. 또한, 정의는 활 쏘기의 기술적 요소만 아니라, 예의와 관련된 측면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활 쏘기는 단순한 무술이 아니라, 예절과 덕목을 함께 갖춘 행위로 여겨집니다.
 
따라서 정의(井儀)는 활쏘기의 기술적 정확성과 함께, 그 행위가 지니는 예의와 도덕적 의미를 모두 포함하는 복합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순(巡): 활쏘기에서 한 사람이 정해진 횟수만큼 화살을 쏘는 단위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5발을 1순으로 합니다.
 
* 접장(接場)이라는 용어는 활을 쏘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일반적으로 20발 중 10발을 명중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활쏘기 성과를 평가하는 기준 중 하나로, 명중률이 50%에 해당하는 성적을 나타냅니다.
 
* 양척(讓尺)"은, 활 쏘기에서 겸손의 표현으로 자신이 먼저 쏘는 것을 사양하고 다른 사람에게 먼저 쏠 기회를 양보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입니다.
 
* 구글 이미지 참조
 
* 1 乘
1) 左射
2) 牛矛
3) 지휘관 4) 주위 보명 72명 5) 예비 25명 총 100명
 
* 천자는 1千乘
 
 
(2025.4. 3 강의 요약자: 주정봉)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