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문화재·역사·전고재완의 지식창고 2025.05.31. 15:33 (2025.05.31. 15:27)

불국사 석가탑에 사리(舍利) 말고 무엇이 있었나?

 
석탑을 이전, 또는 개 · 보수할 때 사리(舍利)와 사리 장엄구, 불상, 불경, 공양물, 기록물 등이 발견되는데 오늘은 경주 불국사 석가탑에서 나온 유물에 대해 알아봅니다.
석탑을 이전, 또는 개 · 보수할 때 사리(舍利)와 사리 장엄구, 불상, 불경, 공양물, 기록물 등이 발견되는데 오늘은 경주 불국사 석가탑에서 나온 유물에 대해 알아봅니다.
 
 
일반적으로 석탑의 유물은 사리, 사리 장엄구, 불상, 불경, 공양물 그리고 발원문 등의 기록물이 나옵니다.
석가탑에서는 사리, 공양물 외에 불경이 나왔다.
 
 
● 탑(塔)과 사리(舍利)
 
• 석가모니는 약 40년간 가르침을 전하고 여든 살에 인도 북동부에서 생애를 마쳤다. 석가의 시신은 인도 장례 풍습에 따라 화장하였고 화장 후에 얻은 유골로 탑을 세우려 했다. 석가의 화장 소식은 이웃 부족들에게 전해져 여덟 개의 부족이 석가의 유골을 나누어 달라고 요청하였다. 이에 따라 석가의 유골은 여덟 부분으로 나누어졌고 각 부족이 각각 탑을 세웠는데 이를 근본팔탑(根本八塔)이라 한다.
 
• 인도를 최초로 통일한 마우리아 왕조의 아쇼카왕(기원전 273〜232)은 석가의 무덤 여덟 기를 발굴하고 그 안에 있던 석가의 유골을 나누어 통일 왕조 영토 곳곳에 많은 탑(스투파)을 세웠다. 이후 탑은 석가의 유골 즉 사리를 봉안하는 구조물에서 석가모니의 실재(實在)로 인식되었다.
 
 
● 경주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 釋迦塔)에서 나온 유물
 
• 1916년 일제 강점기(좌측)와 현재의 석가탑을 비교하면 보수한 흔적이 보인다.
 
 
• 1966년 9월 도굴꾼에 의해 불국사 삼층 석탑이 훼손되어 문화재위원회 조사단을 구성하여 석탑 훼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해체 수리가 결정되었고 석탑을 해체하는 도중 2층 탑신석에서 사리장엄구(사리 48과)가 발견되었다. 이때 수습된 유물은 금동제 사리외함과 공양품 등 총 40건이다.
• 1966년 석탑 해체 당시 사리공의 크기는 사방(가로×세로) 41㎝, 깊이 19㎝로 사리공 안에서 금동제 사리외함과 각종 공양품이 있었다. 사리공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금동제 사리외함의 남쪽에는 원형 구리거울, 서쪽에는 비천상, 북쪽에는 소량의 목탑이 있었고 주위에서 금박편, 수정옥, 관옥,구슬,향목 등이 발견되었다.
• 그리고 사리공 바닥에는 2~3㎝ 두께의 흙과 먼지가 쌓인 상태로 특히 금동제사리외함 하부에서 비단으로 쌓인 묵서지편(墨書紙片)이 여러 겹 응고된 상태로 발견되었다. 이때 발견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은 비단으로 쌓이고 실로 묶여 금동 방형 사리함 위에 안치되어 있었다.
 
☞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번뇌의 때가 없는 깨끗하고 빛나는 큰 주문(呪文)에 대한 경(經)"이란 뜻으로 두루마리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너비가 약 8cm, 전체 길이는 약 620cm이다. 여기에 쓰인 다라니는 7일 뒤에 죽어서 16지옥에 떨어지게 되어 있는 바라문(婆羅門)을 석가모니(釋迦牟尼)가 구제하기 위하여 외우도록 한 것이다.
 
 
• 1966년 이후 2010년 12월 석탑 북동측 기단 덮개돌의 균열이 확인되었고 문화재위원회 및 관계 전문가 검토 결과 석탑 해체 수리가 결정되었다. 2012년 불국사 삼층석탑 해체 수리를 착수하고 다음 해 4월, 2층 옥개석을 해체한 후 1966년에 봉안했던 사리 장엄구를 수습하였다. 2013년에 수습한 유물은 금동제 사리외함 등 18건이다.
 
• 당초무늬가 화려하게 투각 된 금동사리외함의 중앙에는 연꽃모양외 받침을 마련하고 그 위에 2겹으로 구성된 은제난형(銀製卵形)의 사리합을 안치하도록 고안되었다. 그리고 그 안에는 다시 사리를 담은 녹색 유리병을 넣어 총 4겹으로 사리를 장엄하였다. 중앙에 안치된 은제사리합옆에 3층 목탑과 보살상, 신장상이 새겨진 금동장방형사리합이 발견되었는데 그 속에는 향나무로 만든 붉은색 사리병이 들어 있었다. 이 밖에 은제사리호와 그 속에 들어 있던 금박에 쌓인 은제소합, 그리고 향과 각종 옥류 등 다양한 공양품이 함께 발견되었다.
 
 
 
출처 : 국가유산청, 불국사, 네이버,구글,민족문화대백과, 경주시, 국립문화재 연구소,국립중앙박물관
 
 

 
※ 원문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