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궁인창의 독서여행궁인창의 지식창고 2025.06.22. 10:50 (2025.06.19. 20:46)

【열하일기 6】중국 인구 대폭 늘어난 원인, 명 황무지 고구마 덕분...산, 육지, 바다 진미 48개 만한전석 요리 놀라워

 
다롄 춘화원
박지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답사 대원들은 뤼순 감옥(旅順日俄監獄博物館)의 전시실과 교형장을 견학하고 버스에 올랐다. 전쟁의 피해나 죽음, 슬픔을 대상으로 한 관광을 현대에서는 다크 투어리즘(Dark tourism)이라 부른다.
【열하일기 6】중국 인구 대폭 늘어난 원인, 명 황무지 고구마 덕분...산, 육지, 바다 진미 48개 만한전석 요리 놀라워
다롄 춘화원
 
 
박지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답사 대원들은 뤼순 감옥(旅順日俄監獄博物館)의 전시실과 교형장을 견학하고 버스에 올랐다. 전쟁의 피해나 죽음, 슬픔을 대상으로 한 관광을 현대에서는 다크 투어리즘(Dark tourism)이라 부른다.
 
감옥 견학을 통해 일본인이 어떤 이유로 저렇게까지 중국 사람들을 괴롭히고 학대했는지 상상이 가지 않았다. 어둡고 답답한 관광을 통해 지나간 역사를 배우지만, 일본제국 군대가 중국 땅에서 저지른 악행은 정말 잔인했다. 중국인들은 전시실에서 견학하며 몸을 부들부들 떨었다. 슬픈 표정과 눈물을 보았다.
 
 
▲ 다롄 시 소개(사진:궁인창)
 
 
가이드는 식당으로 이동하면서 다롄의 초기 모습과 성장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다. 다롄은 중국 랴오닝성 랴오둥반도 남쪽 끝에 있는 해양 도시로 서쪽은 보하이해에 접해 있고 사람이 살지 않는 한적한 어촌과 습지가 많은 곳이었다.
 
이 지역은 후한 말, 공손탁(公孫度)이 요동 태수를 자칭하며 독립적인 세력을 구축하여 아들 공손강, 손자 공손연까지 3대 50여 년 공손국(公孫國)의 영토였다. 이후 고구려, 발해 시기에 비사성이 있었고, 명과 청나라 때에는 청니와(青泥窪)라는 작은 어촌이었다. 어촌이 역사 무대에 등장한 것은 19세기 말에 서구 열강이 본격적으로 침략하기 시작되면서부터이다.
 
 
▲ 1900년 러시아 뤼순 적십자병원 건립 기공식(사진:궁인창)
 
 
러시아제국은 영토 확장에 나서 동진하기 시작해 1860년 베이징조약을 통해 동부 연해주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블라디보스토크 항구가 겨울이면 얼어 태평양으로 나갈 수 없어 새로운 부동항을 물색하며 철도에 눈을 돌려 시베리아횡단철도를 건설하여 1904년 2월 8일에 준공했다.
 
청나라는 1894년 청일전쟁에서 2만 명이 희생되었다. 일본제국과 배상을 협의하기 위해 1895년 2월 1일부터 일본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에서 휴전 및 강화를 위한 협상에 들어가 4월 17일 전문 11개 조항의 강화조약을 체결했다.
 
시모노세키 조약은 일본의 조선에 대한 지배권의 확립, 랴오둥반도(遼東半島)와 펑후도(澎湖) 등에 대한 영토 분할, 배상금 획득 등을 조약 내용으로 했다. 이 조약에 따라 청은 조선의 독립을 인정했고, 일본은 조선에 대한 정치적・군사적・경제적 지배권을 확립했다.
 
또 청나라는 랴오둥반도와 타이완 및 펑후도 등을 일본에 할양했으며 일본에 배상금 2억 냥을 주었다. 그 외 청나라의 징저우(荊州) 사스(沙市), 충칭(重慶), 쑤저우(蘇州), 항저우(杭州)를 개방하고 일본인의 거주, 영업, 무역의 자유를 승인했다. 서구 열강은 청나라의 약점이 하나씩 나타나자, 군대를 동원하며 압박하며 이권을 가져가려고 혈안이 되었다. 일본이 받은 배상금은 일본제국 1년 예산의 4배 규모로 일본은 배상금으로 근대화를 추진하기 위한 제철공장을 건립했다.
 
 
▲ 일본 시모노세키 조약(사진:위키백과)
 
 
청나라는 자기 나라를 지원해 줄 동맹국이 필요하여 1896년 6월 3일 러시아제국 니콜라이 2세와 러청밀약(中俄密约)을 체결하여 뤼순과 다롄에 해군기지를 독점적으로 쓸 수 있도록 조차(租借)하였다. 비밀 군사 동맹 조약으로 1897년 12월 4일 러시아제국 해군이 뤼순항에 입항하고, 이틀 후 영국 포함 다프네 호가 도착했다. 러시아제국, 프랑스, 독일제국은 일본의 빠른 성장에 놀라 삼국 간섭을 하기 시작해 랴오둥반도의 일본 할양을 적극적으로 반대했다, 1898년 러시아제국이 대련과 여순 일대를 조차하고 동청철도(東淸鐵道) 건설을 시작하자 이에 반대하는 세력들이 등장하고 의화단 투쟁이 이어져 러일전쟁 발생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 다롄역사문화거리(사진:다렌관광국)
 
 
러시아제국 해군은 이 땅을 달니이(Дальний, Dalniy, 멀리 떨어진 도시)라 부르고 시베리아 철도를 연결해 태평양으로 가는 항구를 만들어 도시를 건설하였다. 동쪽의 블라디보스토크를 대체하기 위해 항구 도시를 개발하기 시작해 당시 러시아가 건설한 시가지는 오늘날 유명한 관광 자원이 되었다. 1905년 러일전쟁 이후에는 일본이 조차(租借)하고 도시 이름도 다롄(大连)으로 바꿨다. 이후 일본령 관동주 청의 중심지로 성장하여 하얼빈으로 연결되는 남만주철도를 건설했다. 1945년에 중국은 조차한 땅을 돌려받았다.
 
가이드는 1992년 보시라이(薄熙來, 1949~ )가 다롄 시장으로 부임해 와 도시를 급속도로 발전시켜 다롄 시민들은 지금도 그를 존경한다고 말했다. 보시라이는 2001년에 랴오닝성의 성장이 되고 2004년 상무부 부장이 되고 2007년 충칭시로 파견되어 4년간 덩샤오핑이 추진한 개혁과 개방의 부작용을 해결하고자 새로운 충칭 모델을 도입해 크게 성공했다. 다롄에는 2000년대 한국 대기업 STX, LG, CJ, 효성 등이 대거 진출하기 시작하여 조선업, 경공업이 발전했다. 2021년에 상주인구가 745만 명이나 되는 경공업 도시가 성장했다.
 
 
▲ 다롄 시 전경(사진:다롄관광국)
 
 
관광버스는 러시아 거리를 지나 다롄 도심으로 들어와 식사가 준비된 춘화원(春華園)에 도착했다. 버스에서 내리니 햇빛이 너무나 강렬해 살이 익을 정도라 양산을 펼쳤다.
 
 
▲ 춘화원(春華園)(사진:궁인창)
 
 
뤼순 감옥에서 치가 떨리는 사진을 보고 온 뒤라 식욕이 나지 않았다. 가이드는 식당으로 들어서며 중국에서 가장 큰 엘리베이터로 16명이 탄다고 소개했다. 춘화원 1층에 많은 음식 사진이 보여 음식을 구경하며 한자로 어떻게 표현했는지 들여다보았다.
 
 
▲ 춘화원(春華園)(사진:궁인창)
 
 
2층의 식탁은 원형으로 12명이 앉기에 충분했다. 식탁이 원형인 것은 식사하는 가족의 단합을 상징한다. 푸짐한 음식이 식탁에 금방 차려졌다. 종업원들이 식탁에 차가 담긴 주전자를 놓을 때 주전자 입구가 사람을 향하지 않고 중앙을 향해 놓았다. 그것은 입 부분이 사람으로 향하면 그쪽에 앉은 사람이 구설수가 생긴다는 옛날부터 내려오는 미신 때문이다.
 
 
▲ 중국 음식(사진:궁인창)
 
 
중국이 풍요롭게 살고 인구가 대폭 늘어나게 된 것은 명나라 때 전해진 황무지에서도 경작이 가능한 고구마 덕분이다. 식탁에 올라온 음식을 살펴보니 다양한 볶음요리가 많고, 중국 고유의 향이 빠진 한국인의 취향에 맞게 조리된 음식이었다, 외국 여행을 가는 목적이 그 지방에서 생산된 재료로 만들어진 향(풍미)을 즐기기 위한 것인데 그런 맛을 볼 수 없어 조금 아쉬웠다. 대원들은 중국에 도착하여 첫 번째 식사를 하였다.
 
 
▲ 《중국인의 밥상》(사진:궁인창)
 
 
중국 여행을 떠나기 전에 가락몰 도서관을 방문해 《중국인의 밥상》 《중국을 맛보다》 《혁명의 맛》을 읽으며 전문가들이 소개하는 중국인의 맛과 음식이 정말 대단하다는 것을 배웠다. 오래전에 부모님을 모시고 홍콩, 마카오, 선전을 관광했는데 만한전석(滿漢全席)이 그려진 그림을 보고 깜짝 놀랐다. 음식의 가짓수에 놀랐지만, 음식마다 깊은 뜻이 담겨 있었다. 만한전석은 청나라 건륭제 시대부터 시작된 만주족 요리와 한족 요리 중 산둥요리에서 엄선한 메뉴를 갖추어 연회석에 내는 연회 양식으로 산, 육지, 바다 등에서 진미를 8개씩 모아 사팔진(四八珍)이라 정의한 것도 있었다.
 
 
▲ 《중국을 맛보다》(사진:궁인창)
 
 
중국인들이 자오즈(餃子)를 즐겨 먹는 곳은 교자가 옛 중국의 화폐인 금이나 은으로 만들어진 말발굽 모양의 원보(元寶)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중국인들은 재운(財運)이 깃들기를 염원해 명절이면 가족들이 다 모여 즐겁게 대화하며 만두를 빚는다.
 
 
▲ 싱하이 광장 전경(사진:다롄관광국)
 
 
다롄에 놀러 오는 사람들은 시가지를 조망할 수 있는 연화산(259.6m) 전망대로 향하거나 미식거리 텐진가, 이색적인 건물이 많은 중산 광장, 러시아 거리, 남산 일본 문화거리, 라오후탄 해양공원, 조개박물관, 해안지질공원, 백옥산 관광지, 유성기박물관, 동양의 베네치아라 불리는 인공운하가 4km인 동방수성(東方水城), 토속적인 워런마터우(Fisherman Pier, 渔人码头), 대흑산(大黑山) 관광구, 다롄 개항 100주년을 기념하여 1997년 개장한 싱하이 광장(星海廣場)을 많이 찾는다.
 
 
▲ 비사성(卑沙城)(사진:바이두백과)
 
 
점심 식사를 마치고 식당에서 얻은 신문과 잡지를 보았다. 이제 본격적인 역사 탐방이 시작되어 관광버스는 고구려 산성중에서도 큰 성인 대흑산(大黑山) 비사성(卑沙城)으로 향했다. 이 산성은 고구려인들이 다롄을 통치하던 시기의 정치 군사 중심지로 성이 5km에 걸쳐 웅장하게 건설되었다.
 
(다음 회로 이어집니다.)
 
 
생활문화아카데미 대표 궁인창
【작성】 궁 인창 (생활문화아카데미)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