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궁인창의 독서여행궁인창의 지식창고 2025.06.26. 11:33 (2025.06.22. 10:56)

【열하일기 7】고구려 정복 목적 수나라 대운하 건설, ...요동반도에 고구려 방어 산성 73개 축조

 
고구려 비사성
《열하일기》 답사단을 실은 버스는 다롄 도심을 벗어나 고구려 비사성(卑沙城)으로 가는 산길로 들어섰다. 그런데 도로가 좁고 길이 구불구불했다. 휴일이라 산으로 놀러 가는 차량이 많은 탓에 혼잡했다. 대흑산(663.1m)을 차장으로 바라보니 정말 산이 웅장하게 보였다.
【열하일기 7】고구려 정복 목적 수나라 대운하 건설, ...요동반도에 고구려 방어 산성 73개 축조
고구려 비사성
 
 
열하일기 답사단을 실은 버스는 다롄 도심을 벗어나 고구려 비사성(卑沙城)으로 가는 산길로 들어섰다. 그런데 도로가 좁고 길이 구불구불했다. 휴일이라 산으로 놀러 가는 차량이 많은 탓에 혼잡했다. 대흑산(663.1m)을 차장으로 바라보니 정말 산이 웅장하게 보였다. 버스가 마침내 대흑산관광구 입구에 도착했는데, 차량이 많아 버스가 움직이지 못했다. 교통안내원이 다가와 친절하게 하차를 도와주었다.
 
 
▲ 비사성 안내도 (사진:궁인창)
 
 
대흑산풍경구는 운동하러 산에 올라가는 사람과 놀러온 차량이 뒤엉켜 꼼짝할 수 없었다. 원래 계획은 점장대를 지나 당왕전(唐王殿)까지 올라가 바다를 보는 것이었는데 방문객이 너무 많아 포기했다.
 
가이드는 도로가 너무 혼잡해 버스를 세울 곳이 없다고 설명하고 주변을 30분만 구경하기로 하였다, 15분 걸어가니 입장료를 받는 문향정원(聞香庭園)이 있었다. 문향곡은 금보신구 10대 중점 관광 프로젝트로 건설된 종합 휴양단지로 꽃 경관 구역, 민박, 영화 촬영 구역, 창의적인 디자인 공간, 禪 센터, 전시 공간으로 꾸며진 휴양리조트이다.
 
 
▲ 문향정원(聞香庭園) 2023년 전시회 作者 Tyler(사진:大连金石滩旅游)
 
 
정원을 자세히 둘러보고 싶은데 시간이 없어 입구에서 내부를 구경하고 기념사진을 남겼다. 매년 다롄시 시민이 聞香谷을 찾아와 예전부터 전해오는 “醉美大黑山 芬芳聞香谷”라는 글처럼 시와 사진 창작대회, 예술제를 개최하고 마음껏 즐기는 명소이다.
 
 
▲ 문향정원(聞香庭園)(사진:궁인창)
 
 
문향정원 주변에는 과수원이 많았다. 시간에 맞추어 걸어 내려오니 일행이 사과를 먹고 있었다. 모두 중국 사과가 맛있다고 난리가 났다. 아내가 사과 한 개를 주었다. 길가에 노점 먹거리도 푸짐해 지나가는 사람들이 모두 서서 먹고 즐겼다. 버스가 언제 오나 싶어 기다리는데, 가이드가 주차장이 좁아 버스는 멀리 30분 거리에 있어 걸어가야 한다고 알려주었다. 대원들은 화장실로 가면서 조양사 사찰을 구경하러 들어갔다.
 
 
▲ 朝陽古刹(사진:궁인창)
 
 
차가 지나갈 때마다 먼지가 났지만 상관하지 않고 사과 봉지를 들고 걸어갔다. 한참 걸으면서 주변을 구경하니 기분이 한결 좋아졌다. 대장은 산에 올라가지 못한 것이 못내 아쉬워 버스 주차장에서 산 위의 성벽과 주변 산세를 자세하게 설명했다. 이곳에서 산 맛있는 사과는 며칠간 우리를 아주 즐겁게 했다.
 
바이두 백과사전을 열어 비사성에 관한 문헌을 검색하니 상당히 많은 책에 기록이 남아 있다.
 
《隋書》 《舊唐書》 《舊五代史》 《資治通鑒》 《冊府元龜》 《通鑒綱目》 《(嘉靖)遼東志》 《明一統志》 《東北邊防輯要》 《讀史方輿紀要》 《續通志》 《遼史紀事本末》 《(光緖)吉林通志》 《大清一統志》 《中國歷史地圖集(古代史部分)》 《中國歷史地圖集(第1-5冊)》 《中國史稿地圖集(下)》 大黑山风景区(사진:文化和旅游局)
 
버스를 타고 가면서 遼寧省 大連市 중부, 금주구(金州区) 서북부 우의향(友誼鄕)의 비사성에 관한 중국 자료를 읽었다. 특히 다롄시 금주구(金州区) 인민정부의 대흑산을 소개하는 글을 읽었는데, 그 문장이 너무 아름다워 한문을 번역해보았다.
 
“大黑山风景区의 평균 해발고도는 400m, 주봉은 해발 663.1m로 山자 모양의 산맥으로 長白山系와 天山余脈에 속하며 산과 돌이 대부분 옅은 검은색을 띠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관광지에는 고대 건축물, 향수관(响水观), 唐王殿, 조양사, 석고사(石鼓寺), 관음각(胜水寺), 대흑산산성(비사성), 관문채(关门寨) 등 고찰과 옛 전장터가 분포되어 있다. 봄의 살구꽃, 여름의 짙은 그늘, 가을의 단풍, 겨울의 빠른 눈이 대흑산의 시적이고 그림 같은 우아한 사계절 풍경을 이룬다. 수백 년 동안 관광객이 끊이지 않아 요동 남쪽 최고의 명승지로 알려져 있다.
 
【원문】
春之杏花, 夏之浓荫, 秋之红叶, 冬之快雪, 构成了大黑山如诗如画, 雅趣迥然的四季风光。数百年来游人不绝,号称辽南第一名胜。
 
대흑산은 다롄 고대 문화의 발상지(发祥地)이며, 중화 역사문명을 전파하는 북방 해상 실크로드의 출발점이자, 요동반도를 방어하는 천연장벽(天然屏障)으로 불교, 도교, 유교가 하나로 합쳐진 종교 성지이며, 해변 도시(海滨城市)의 인기 있는 등산 관광 명소이다.
 
대흑산은 자연경관이 수려(秀丽)하고, 산이 종횡으로 얽혀 있으며, 봉우리가 우뚝 솟아 있고, 웅장하고 계곡이 유유하며, 동굴이 아름답고, 석준(石峻)이 깊고 나무들이 무성하다. 폭포와 개울이 별처럼 흩어져 있고, 바둑판 형식 절리(麻将石), 천병천장(天兵天将), 새 매부리, 물이 떨어지는 주전자 같은 선인대(仙人台), 그 안에 舍身崖가 장식되어 있다. 산은 성(都市) 안에 있고, 성은 산을 따라 지어졌으며, 봉우리에 올라 동쪽에서는 황해의 아침 해가 짙고, 나날이 새로워지는 신구(金普新区)가 한눈에 들어온다. 서쪽에서는 발해의 저녁노을이 여운을 남기며, 비바람이 몰아치는 고성(古城)이 한눈에 들어온다.
 
멀리 바라보면, 네 개의 만 진저우만(金州湾), 다야오만(大窑湾), 샤오야오만(小窑湾), 다롄만(大连湾)이 보인다. 파도가 부서질 때 생기는 하얀 물거품(浪花)이 발밑에서 넘실거리고, 흰 구름이 손에서 소용돌이치는 것 같아 마음이 탁 트인다.
 
대흑산의 향천(响泉)은 여름을 식히고, 아침 햇살이 맑아지며, 남각(南阁)의 구름 경치는 사람을 유혹한다. 흑산의 해넘이(夕照)는 다롄의 유명한 여덟 가지 풍경 중 하나이다.
 
문장 중의 향천(响泉)을 해석하면서 문맥상 ‘시원한 물소리’,‘소리가 나는 샘’, ‘明淸 시대의 거문고(Xiǎng quán)’ 중 하나로 보기도 했으나, 세 가지 의미를 함축한 것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원문】
大黑山自然风光秀丽,山体纵横交错,石峰俯仰林立,峰雄谷幽、洞迷水奇、石峻云深秀木繁荫。瀑布小溪星罗棋布,棋盘格式节理(麻将石)、天兵天将、鹞子口、滴水壶仙人台、舍身崖点缀其中。山在城中,城依山建,登临峰巅,东眺黄海朝阳喷薄,日新月异的新区尽收眼底;西观渤海晚霞余晖,风雨沧桑的古城一览无余。极目远望,四湾映帘(金州湾、大窑湾、小窑湾、大连湾),浪花若在脚下澎湃,白云似在手中翻卷,心胸豁然。大黑山的响泉消夏、朝阳霁雪、南阁飞云景色迷人,黑山夕照则是大连著名的八大景之一。
 
 
▲ 《요동 고구려 산성을 가다》(사진:궁인창)
 
 
비사성을 보러 오기 전에 원종선 선생이 2018년에 저술한 《요동 고구려 산성을 가다》 책을 열심히 읽었다. 원종선 선생은 중국에서 무역업을 하면서 운하를 공부하다 수나라가 건설한 대운하의 목적이 고구려 정복에 있다는 것을 깨닫고 요동반도에 있는 73개의 고구려 산성을 모두 답사했다.
 
책에 안시성, 백암성 등 고구려의 수도 방어 핵심 산성 85개를 선정하여 조사하고 현지인들의 민담을 수집하고 지형과 연관된 산성들의 배치 형태를 분석했다. 비사성은 고구려 요동 방어망과 해상 방어망의 시작이 되는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성으로 현재 동벽과 남벽에는 고구려 시기에 만들어진 성벽이 잘 남아 있다고 기술했다.
 
 
▲ 三宮殿(사진:바이두백과)
 
 
본 글을 작성하면서 동북아재단에서 발표한 논문과 고구려 산성을 연구한 東潮, 田中俊明, 李成制, 서길수, 임기환, 余昊奎, 梁振晶, 張福有ㆍ孫仁杰, 遲勇, 孫德連, 王长松, 정원철, 신영식, 우석훈, 禹成旼 등 여러 연구자의 논문을 읽고 공부했다.
 
대흑산의 이름은 명대 홍치(弘治) 3년(1490)에 승수사(勝水寺)를 재건하면서 세운 비문에 “大黑山”이라고 기록된 것에서 기인한다. 명대 가정(嘉靖) 6년(1527)에 관음각(關音閣)을 개수할 때의 비문에는 “대혁산(大赫山)”이라고 했다가 청대 역사지리학자인 고조우(顧祖禹)의 《독사방여기요(讀史方輿紀要)》에는 “대흑상산(大黑尙山)”이라고 불렀다. 러일전쟁 후에는 “대화상산(大和尙山)”, “노호산(老虎山)”으로 불렀으며, 1980년대 다시 “大黑山”의 이름을 되찾았다.
 
한편, 금주(金州)는 전국 시기 연(燕)의 요동군(遼東郡)에 속해 있다가 기원전 107년 서한 시기 요동에 답씨현(沓氏縣)을 두었고, 삼국 위나라(魏) 239년에 고구려 동천왕이 요동군의 북부와 남부를 공격하여, 요동의 답현(沓县) 관리와 백성들은 현재 산동성 치천현(淄川縣)에 속하는 곳인 신답현(新沓縣)에 이주했다. 이어 서진(西晉), 동진(東晋)、전연(前燕)、전진(前秦)、후연(后燕) 시기에는 평주 요동군(平州遼東郡)에 속했고, 동진(東晉) 태원(太元) 10년(385) 6월 즉 고구려 고국양왕 2년에 처음으로 요동과 현도 2군을 함락시켰고, 동진(東晉) 원흥(元興) 3년(404)에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요동을 차지하면서 금주에 비사성(卑沙城)을 둔 것으로 소개돼 있다.
 
《중국역사지도집》의 편찬은 20세기 초에 만들어진 양수경(楊守敬, 1839~1915)의 《歷代輿地圖》에서 비롯되었다. 실상은 당 태종이 고구려 원정에 참여했지만, 군대를 이끌고 직접 비사성에 왔다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 당 태종의 공적을 기리기 위한 유적지로 관광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국가발전전략에 따라 지명을 관리하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 담기양의 《중국역사지도집》 隨代 大業8년(612)의 고구려 비사성(자료:中國史硏究 第105輯)
 
 
대흑산 산성이 축조되기 전부터 금주성(金州城) 동남쪽 7.5km 지점에 있는 대흑산에 비사성(卑沙城)이 있었다. 대흑산 입구에는 도교 사원인 ‘당왕도원(唐王道院)’이 자리 잡고 있고, 중턱에 오르면 수말 당초(隋末唐初) 때 울지경덕(尉遲敬德·585~658)이란 장수가 이세민을 위해 축조했다는 ‘석고사(石鼓寺)’가 나오는데, 본래 이름은 당왕전(唐王殿)이라고 알려져 있다. 내부 정전에는 당 태종 좌상이 있고, 왼쪽에는 위징(魏徵), 오른쪽에는 이적(李績)이 나란히 있고, 왼쪽에는 울지경덕(尉遲敬德)과 이정(李靖), 오른쪽 측면에는 설인귀(薛仁貴)와 비사성 공격을 주도한 동정행군대총관 장량(張亮)이 각각 서로 마주 보고 있다. 외부에는 당 태종이 지휘한 곳이라고 하며 점장대(點將臺)를 만들었다.
 
 
▲ 비사성(卑沙城) 전경(사진:文化和旅游局)
 
 
대흑산 산성이 ‘비사성’이었다는 흔적은 서문 상단에 쓰여 있는 ‘卑沙城’이라는 글씨가 유일하다. 비사성(卑沙城)은 비사성(卑奢城), 필사성(畢奢城), 사비성(沙卑城)이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고구려 비사성보다 당대 유적지를 계승한 명대 대흑산 산성의 정체성을 강조하고 있다. 1963년 9월 30일, 비사성은 랴오닝성 인민위원회에 의해 제1차 성급 문화재 보호 단위로 발표되었다. 2013년, 비사성은 국무원에 의해 제7차 국가 중점 문화재 보호 단위로 승인되었다.
 
비사성은 중요한 관광 명소가 되어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관광객은 이곳에서 고대 성벽과 장엄한 자연경관을 감상하고, 역사의 변화무쌍함과 깊이를 느낀다. 양시은 교수는 2013년 「高句麗 城 硏究」 논문을 제출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고구려가 초기에 평지성을 쌓다가 높은 산에 석축 산성을 축조하게 된 과정을 보강하여 2016년에 책으로 출간했다.
 
 
▲ 대흑산 정상 등산도(사진:궁인창)
 
 
비사성을 방문하면서 그동안 궁금했던 고구려 천리장성(千里長城)의 부여성 기점과 비사성 종점, 영류왕 14년(631)부터 16년간의 국가 중대 사업 축성 과정, 수와 당나라의 공격 루트, 遼河 유역의 邊崗 유적, 고구려의 군사방어 체제를 상세히 알게 되었다.
 
이제 비사성을 떠나 단둥으로 달려간다.
 
(다음 회로 이어집니다.)
 
 
생활문화아카데미 대표 궁인창
【작성】 궁 인창 (생활문화아카데미)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