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2025.06.28. 00:58 (2025.06.28. 00:44)

사마천 사기 389강 강의자료 요약 (2025.6.26)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馬詩二十三首(第五)〉 작자 李賀와 주요 단어(燕山, 何當, 金絡腦-金絡頭, 清秋, 天高馬肥, 秋高馬肥, 弓勁馬肥, 天靑馬肥 및 詩鬼-李賀 ; 詩仙-李白 ; 詩佛-王維 ; 詩聖-杜甫, ; 詩魔-白居易 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 ; (2) 안중근 의사를 찬양하는 중국 지도자의 시3편(元世凱, 孫文, 梁啓超) 등 내용 설명 ; (3) 竊國大盜 元世凱의 3차례 배신과 몇 가지 내용 설명 ; (4) 挽에 대하여(旗, 章, 詞, 詩, 歌, 聯, 辭(言) 및 형식 등 설명 ; (5) 宗廟의 夏商周秦 등 시대별 명칭 변화와 昭穆制(天子, 諸侯, 卿,大夫, 士, 平民), 宗法(大宗, 小宗), 祖孫의 上下9族 명칭에 대하여 설명 ; (6) 官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내용 설명 ; (7) 《論語》〈子張〉「夫子之墻數仞,不得其門而入,不見宗廟之美,百官之富」에 대하여 상세분석 및 올바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사마천 사기 389강 강의자료 요약 (2025.6.26)
 
2025년 6월 28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 唐詩 300首
 
 
1) 당시 제목: “마시23수(제5)”
2) 당시 중국어 발음
 
馬 詩 二 十 三 首  (第五)     - 李 賀
shāxuě
yànshānyuèshìgōu
dāngjīnluònǎo
kuàizǒuqīngqiū
 
3) 작자: 이하(李賀, 790-816년)
이하(李賀)는 당나라 중기에 활동한 유명한 시인으로, 그의 시는 독특한 상상력과 감정 표현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하의 출생지는 현재의 중국 허난성 복창(福昌)이며, 그는 당나라 황실의 후손으로, 자는 장길(長吉)입니다. 그의 조상은 당나라의 종실인 대정효왕(大鄭孝王) 이량(李亮)으로, 가문은 이미 몰락한 상태였습니다.
 
생애와 경력
이하는 어린 시절부터 문학적 재능을 보였으며, 7세에 시를 짓기 시작했습니다. 15세에는 당시의 유명한 시인인 한유(韓愈)에게 극찬을 받으며 그의 제자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경력은 불행하게도 여러 차례의 좌절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810년, 그는 진사(進士) 시험에 응시했으나, 아버지의 이름과 발음이 같다는 이유로 시험을 거부당했습니다. 이 사건은 그의 인생에 큰 영향을 미쳤고, 이후 그는 813년에 봉예랑(奉禮郎)이라는 낮은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이 직책에 만족하지 못하고 사임한 후 고향으로 돌아갔습니다.
이하는 27세의 젊은 나이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으며, 그의 짧은 생애에도 불구하고 많은 시를 남겼습니다. 그의 시는 주로 염세적이고 우울한 주제를 다루며, 고독과 인생의 덧없음을 표현합니다. 그는 "시귀(詩鬼)"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그의 독창적인 시적 스타일과 상상력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문학적 업적
이하의 시는 주로 감정의 깊이와 상징적인 이미지로 가득 차 있으며, 그의 대표작으로는 《雁门太守行》(안문태수행), 《金铜仙人辞汉歌》(금동선인사한가) 등이 있습니다. 그의 시는 종종 신화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그가 당대의 사회적, 정치적 상황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는 또한 "검은 구름이 성을 덮고 성이 무너질 듯하다"와 같은 유명한 구절을 남겼습니다.
이하는 중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의 작품은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으며, 그의 독특한 스타일은 "장길체"라는 새로운 시적 형식을 창조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 시귀(詩鬼) ~ 李賀(790-816)
• 시선(詩仙) ~ 李白(701-762)
• 시불(詩佛) ~ 王維(701-761)
• 시성(詩聖) ~ 杜甫(712-770)
• 시마(詩魔) ~ 白居易(772-846)
 
* 시선(詩仙)으로 불린 李白은 賀知章이 그를 “하계에 추방된 신선(謫仙人)“이라고 평한 데서 유래한 별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발 삼천장 길이여”와 같은 과장법을 구사하며 신선 세계를 동경하는 낭만주의의 절정을 보여주었고, “권귀에게 허리 굽혀 섬기랴!“라는 반권위적 자유 정신으로 유명했습니다. 〈蜀道難〉, 〈將進酒〉, 〈望廬山瀑布〉 등이 대표작이며, 달에 비친 그림자를 잡으려 강에 빠져 죽었다는 낭만적인 전설을 남겼습니다.
 
* 시불(詩佛)이라 불린 王維는 불교 신자로서 시 속에 선의 경지를 구현한 인물입니다. “밝은 달 솔 사이로 비추고, 맑은 시내 돌 위에 흐른다”와 같은 회화적 표현으로 시화일체의 경지를 보여주었고, 〈鹿柴〉의 “텅 빈 산에 사람은 없으나, 말소리만 들려오네” 처럼 고요한 선경을 묘사하는 데 탁월했습니다. 대표작으로는 〈山居秋暝〉, 〈渭川田家〉가 있으며, 만년에는 輞川 별장에서 은거하며 자연과 교감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 시성(詩聖)으로 추앙 받는 杜甫는 시의 성인이라 불릴 만한 완성도와 유교적 인품을 겸비한 인물입니다. “붉은 대문엔 썩는 고기 냄새, 길가엔 얼어 죽은 해골”과 같은 현실주의적 표현으로 사회를 고발했고, 안사의 난의 비극을 “국가는 부서지고 산하만 남았네”로 응축시킨 침울한 시풍으로 유명합니다. “三吏三別” 시리즈와 〈春望〉이 대표작이며, 당대 사회를 기록한 시사(詩史)로 평가받습니다.
 
* 시마(詩魔)라 불린 白居易(772-846)는 스스로를 시에 미친 사람이라 칭했던 인물로, 《醉吟》에서 “술 광기 시마를 불러일으키네”라고 표현했습니다. 노파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평이한 언어를 추구하는 통속성과 〈新樂府〉운동을 주도하며 〈賣炭翁〉으로 부패 관료를 고발하는 사회비판 정신이 특징입니다. 〈長恨歌〉, 〈琵琶行〉이 대표작이며, 생전에 이미 일본에 시가 전파되어 견당사 시인들의 우상이 되었습니다.
 
이들 외에도 시호(詩豪) 劉禹錫은 “맑은 하늘 학 한 마리 구름 뚫고 오르니”와 같은 호방한 시풍으로, 시수(詩囚) 孟郊는 〈遊子吟〉으로 유명하지만 대부분 고통스러운 시를 창작했으며, 시걸(詩傑) 王勃은 “물은 이제 옛 호수를 떠나고, 구름만 옛 담 넘나드네”라는 《滕王閣序》의 명구로 기억됩니다.
 
이들 당대 시인들은 한국 문학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李白은 신라 崔致遠과 崔承祐 등이 숭상했고 조선시대 방통시의 모델이 되었으며, 杜甫는 성리학적 시인들의 귀감이 되어 栗谷 李珥가 “두보의 시는 마치 경전과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王維는 신라 선종 시가에 선적 이미지로 수용되었고, 白居易의 《長恨歌》는 조선 가사문학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들 다섯 시인의 핵심적 차이점을 살펴보면, 李白의 초탈함, 杜甫의 깊이, 王維의 고요함, 李賀의 기괴함, 白居易의 투명함이 당시를 관통하는 다섯 개의 기둥으로서 중국 시문학사의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보여줍니다.
 
 
* 사천성 여인들의 일반적 특성
사천성, 특히 청두(成都)를 중심으로 한 지역의 여성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미인(美人)의 고장: 사천성, 특히 청두와 충칭(重慶, 과거 사천성 소속)은 중국 내에서도 미인이 많기로 유명한 지역입니다. 습하고 온화한 기후와 미식 문화가 피부를 좋게 하고, 미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이 그 이유로 꼽히기도 합니다.
2. 강하고 독립적인 성격: 사천 여성들은 대체로 성격이 강하고 주체적이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특히 청두는 여성의 사회 참여가 활발하며, 남성보다 여성이 '세다'는 인상을 주기도 합니다.
3. 삶을 즐기고 소비를 중시하는 경향: 사천 사람들은 전반적으로 삶의 여유를 즐기고 소비를 아끼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여성들은 패션과 미용 등 자신을 가꾸는 데 투자를 아끼지 않으며, 이러한 소비 성향은 청두가 서부 최대 소비 도시로 성장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청두 사람들은 5000위안을 벌면 1만 위안을 쓴다"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4. 매운 음식과 관련된 강한 기질: 사천 음식은 마라(麻辣)로 대표되는 강렬하고 매운맛으로 유명합니다. 이러한 식습관이 사천 사람들의, 특히 여성들의 뜨겁고 강직한 기질과 연관되어 있다고 보기도 합니다.
5.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분위기: 청두와 같은 대도시는 비교적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문화와 가치관을 포용하는 여성들의 특징으로도 나타납니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37강(2024,01,04) 강의 교안
 
*《論語》〈里仁〉
 
4-08. 子曰朝聞道,夕死可矣。
 
 
* 안중근(安重根) 義士를 찬양하는 중국지도자의 詩
역사의 아이러니 - 安重根 2남1녀(딸 安賢生은 1960년 사망, 長子 安文生은 12세 요절), 막내 安俊生은 일본가서 伊藤博文 영정에서 사죄, 그 아들과 호형호제, 일본의 선전도구), 臨政에서 살해 기획, 중국국민당에서 빼돌림, 1951년 사망(중국은 홍콩에서), 가족들은 미국으로 이민.
 
1. 袁世凱(7言絶句) 〈安重根 挽〉
 
平生營事只今畢,死地圖生非丈夫。身在三韓名萬國,生無百歲死千秋。
평생에 경영했던 일이 이제 끝났고, 죽어야 할 땅에서 살기를 도모하는 것은 대장부가 아니다. 몸은 삼한에 있으나 이름은 만국에 떨쳤고, 살아서는 백 년을 못 살지만 죽어서 천 년을 가는구나.
 
* 원세개(袁世凱, 1859~1916)와 북양군벌(北洋軍閥) 관계 분석
원세개는 중국 근현대사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인물 중 하나로, “배신의 상징”이자 “조조형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이홍장(李鴻章)과 서태후(西太后), 손문(孫文) 등 당대 권력자들을 차례로 배신하며 “천하의 도적(竊國大盜)“이라는 오명을 얻었다. 청나라 말기부터 중화민국 초기까지 정권 교란의 중심에 서 있던 그는 “치세의 능신(治世能臣), 난세의 간웅(亂世奸雄)“이라는 조조(曹操)에 비유되는 이중적 평가를 받는다. 군사 개혁과 행정 효율화 등 현실적 능력을 갖춘 동시에 권모술수(權謀術數)에도 능했기 때문이다.
원세개의 권력 상승은 조선에서의 군사적 경력에서 시작되었다. 1882년 임오군란(壬午軍亂) 때 조선 주재 청군(清軍) 지휘관으로 파견되어 민씨 정권을 지원하며 군사적 입지를 구축했다.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과정에서는 개화파를 탄압하고 일본 세력을 견제하여 조선 내 청의 종주권을 강화했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 진압 시에는 청일전쟁 직전 조선 내 청군 사령관으로 활동하며 일본과의 갈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했다. 총 12년간 조선에 주둔하면서 총리교섭통상사무대신(總理交涉通商事務大臣) 직책으로 조선 정계를 장악했고, 이때 형성된 인맥이 이후 북양군벌의 핵심이 되었다.
원세개는 북양군벌(北洋軍閥)의 창시자로서 강력한 군사적 기반을 구축했다. 이홍장의 회군(淮軍)과 북양함대(北洋艦隊)의 인적, 물적 자원을 계승한 그는 1895년 소전(小站)에서 신군(新軍)을 창설했다. 서구식 훈련과 장비를 도입한 이 부대는 단기간에 중국 최정예 부대로 성장했다. 정치적으로는 신군 장교들인 단기서, 풍국장, 조곤 등을 중앙과 지방 요직에 배치하여 “북양계(北洋系)“라는 강력한 파벌을 창출했다. 원세개 사망 후인 1916년 북양군벌은 세 파벌로 분열했다. 단기서(段祺瑞)가 주도하고 일본의 지원을 받는 안휘계(皖系), 풍국장(馮國璋)과 조곤(曹錕)이 주도하고 영미의 지원을 받는 직예계(直系), 그리고 장작림(張作霖)이 주도하고 만주를 기반으로 하는 봉천계(奉系)로 나뉘어 군벌 시대의 서막을 열었다.
원세개의 권력 찬탈 과정은 신해혁명에서 제제 선포까지 기회주의적 행보로 점철되었다. 1911년 신해혁명 당시 청조 내각총리대신으로 복귀하여 남북 협상을 주도했는데, 청조에서는 “진압군 총사령관”으로, 혁명군에서는 “공화제 협상자”로 이중적 역할을 했다. 1912년 3월 중화민국 임시 대총통에 취임할 때는 손문이 제시한 “남경 수도, 의회 민주주의” 조건을 무시하고 북경에서 취임했다. 이후 독재 체제를 구축하여 1913년 국민당(國民黨)과 의회를 해산했고, 1915년 12월에는 중화제국(中華帝國)을 선포하며 스스로 황제(洪憲皇帝)로 즉위했다. 그러나 전국적 반발과 채악, 이열균 등 군벌의 반란, 그리고 일본의 지원 철회로 1916년 3월 23일 제제를 폐위했고, 3개월 만에 사망했다.
원세개의 사생활과 문화 정책도 주목할 만하다. 정실 우씨(于氏) 외에 9명의 첩을 두었고, 자손이 79명에 달한다는 기록이 있다. 특히 조선인 첩들이 주목되는데, 2첩 오씨(吳氏)는 김윤식(金允植)의 노비 출신으로 자식들이 청 최상류층과 결혼했고, 3첩 김씨(金月仙)는 기생 출신, 4첩 이씨(李氏)는 노비 출신이었다. 문화 정책으로는 전통 명절을 개편하려 시도했다. 음력 원단(元旦)을 춘절(春節)로, 단오(端午)를 하절(夏節)로, 중추(中秋)를 추절(秋節)로, 동지(冬至)를 동절(冬節)로 바꾸어 제제 선포에 맞춰 전통 명절을 “제국적 용어”로 개편하고자 했다. 개인적으로는 녹용과 홍삼을 복용했고 행운의 상징으로 여긴 붉은 옷을 고집하는 등 건강 관리에 신경을 썼다.
원세개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극명하게 갈린다. 긍정적으로는 서구식 군대 창설과 관료제 정비 등 근대화의 초석을 마련한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부정적 유산이 더 크다. 그의 사후 북양군벌의 분열로 1920년대 직봉전쟁 등 전국적 전쟁이 발생했고, 제제 야욕으로 신해혁명 정신을 붕괴시켜 국민당과 공산당의 장기적 대립 구조를 만들었다. 흥미롭게도 북양군벌 봉천계 장작림의 아들 장학량(張學良)은 1936년 서안사변(西安事變)을 주도하여 국공합작(聯共抗日)을 성사시킴으로써 원세개가 만든 군벌 체제의 종말을 상징했다.
 
결국 원세개는 “권력의 논리”로 혼란을 제어하려 한 실용주의자였으나, 오히려 중국을 더 깊은 분열로 내몰았다. 그의 생애는 전통 제국이 근대 국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모순의 집약체라 할 수 있다.
 
 
* 송가수의 세 딸과 송미령-장학량의 인연
- 송가황조(宋家皇朝)의 탄생과 배경
20세기 중국 근현대사를 관통한 송가수(宋嘉樹) 가문은 중국 정치사에 전례 없는 영향력을 행사한 특별한 존재였다. 아버지 송가수(1864~1918)는 청말 해남도 가난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미국에서 선교사 교육을 받은 후 상하이에서 성경 인쇄·출판업으로 부를 축적했다. 그는 손문의 혁명 자금을 지원한 “절강재벌”로 불리며, 자녀들을 “새로운 중국의 리더”로 키우기 위해 모두를 미국으로 유학 보냈다.
 
1. 첫째 딸: 송애령(宋靄齡, Soong Ai-ling)
o 배우자: 공상희(孔祥熙, H. H. Kung)
• 공상희는 유명한 은행가이자 중국 국민당 정부의 고위 관료였습니다. 그는 재정부장, 행정원장 등을 역임하며 중국 경제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송애령은 '돈을 사랑한 여인'이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로 재정 감각이 뛰어났으며, 남편 공상희의 재산 형성과 확장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그들은 1914년 일본 요코하마에서 결혼했습니다.
 
2. 둘째 딸: 송경령(宋慶齡, Soong Ching-ling)
o 배우자: 쑨원(孫文, Sun Yat-sen)
• 쑨원은 신해혁명을 이끌고 중화민국의 초대 임시 대총통을 지낸, '중국 국부(國父)'로 추앙 받는 인물입니다. 송경령은 쑨원의 비서로 일하며 그를 존경하게 되었고, 쑨원이 자신보다 26세 연상임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반대를 무릅쓰고 1915년 일본에서 결혼했습니다. 쑨원 사후에도 그의 유지를 받들어 공산당과 협력하며 중국 혁명에 헌신했습니다. 그녀는 '나라를 사랑한 여인'으로 불립니다.
 
3. 셋째 딸: 송미령(宋美齡, Soong Mei-ling)
o 배우자: 장제스(蔣介石, Chiang Kai-shek)
• 장제스는 쑨원 사후 중국 국민당을 이끌고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서 주요 역할을 한 인물로, 후에 대만(중화민국)으로 정부를 옮긴 총통입니다. 송미령은 1927년 장제스와 결혼하여 중화민국 퍼스트 레이디로서 국제적인 외교 활동에 활발히 참여했습니다. 특히 미국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중국 현대 정치의 중심에 있었습니다. 그녀는 '권력을 사랑한 여인'으로 불립니다.
 
이 세 자매와 그들의 배우자들은 20세기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송가황조(宋家皇朝)'라는 별칭이 붙을 정도로 그들의 행보는 중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이야기는 영화 "송가황조(The Soong Sisters)" 등으로도 제작되어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 중국 상장문화에서 만(挽)은 본래 수레를 끌다는 의미에서 출발하여 죽음을 애도하는 모든 예술적 형식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발전했습니다. 이는 장례식에서 관을 운반할 때 사용하던 베일인 만백에서 유래되었으며, 슬픔을 예의 바르게 표현하는 중국 고유의 장례 예절을 반영합니다.
만의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만장은 흰 비단이나 명주에 검은 글씨로 쓴 현수막으로, 상단에는 고인의 이름과 영전이라는 표현을, 중앙에는 德高望重이나 音容宛在 같은 4자 숙어를, 하단에는 조의 자의 이름을 적어 고인의 사회적 지위와 덕행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상징물 역할을 합니다.
만장은 고인을 기리는 문장이 새겨진 석비나 문집으로, 고인의 생애와 업적을 기록하고 오호애재 같은 전통 애도 어구와 상향으로 끝나는 의례적 결어를 포함합니다. 송나라 왕안석이 구양수를 추모한 祭歐陽文忠公文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2. 孫中山(7言絶句) 〈贊 安重根〉
 
功蓋三韓名萬國,生無百歲死千秋。弱國罪人强國相,縱然易地亦藤侯。
안중근의 공적이 삼한을 덮고 명성이 만국에 떨처, 살아서는 백 년을 못 살지만 죽어서 천 년을 가는구나. 약소국은 죄인으로 보고, 강대국의 재상으로 여긴다. 입장을 바꿔도 “藤候” 이는 이토 히로부미를 지칭하는 게 아니라 비록 처지를 바꾼다 해도 일본의 최고 갑 족인 후지 와라 씨 같다. (300년을 섭정 통치함)
 
→ "藤候"는 이토의 성(姓) "伊藤"의 "藤"을 사용하면서도, 후지와라 섭정 체제를 암시합니다.
손문은 유방·유비과 같이 음흉한 수사학을 유지하여 일본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이중성을 이 시에서 보여줍니다.
 
 
3. 梁啓超의 1,000자 7言律詩 〈秋風斷藤曲〉의 일부분
 
...黄沙卷地風怒號,黑龍江外雪如刀。流血五步大事畢,狂笑一聲山月高。......
 
황사 바람이 땅을 휘감고 성난 듯 울부짖으며,
흑룡강 밖에서는 눈이 칼날처럼 날카롭게 내린다
피를 흘리며 다섯 걸음 가면서 큰 일을 끝냈다.
미친 듯이 한바탕 웃음소리, 산은 높고 달은 하늘에 걸려 있네.
 
(다섯 걸음 피 흘리며 대사를 이루고 한 번의 웃음소리로 대지를 진동 시켰다. 안중근은 진정한 남아로 그의 이름이 천고에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노래하고 있다.)
 
 

 
*《史記》〈周本紀〉 注釋
1. 官 - 甲骨文, 원래는 임시 주둔 병영 [▣]
집안에 있는 많은 무더기(衆)
 
《說文解字》「官,吏事君也,从宀,从𠂤,𠂤猶衆也。此與師同意」
원래의 뜻이 변하여, 관은 군주를 섬기는 것이다. 퇴(𠂤)는 무리(衆)이다. 이 무리는 군사(師)와 같은 뜻이다.
 
1) 집
《論語》〈子張〉「夫子之墻數仞,不得其門而入,不見宗廟之美: 百官之富」
(공) 부자네 집 담장은 매우 높아서(數仞) 그 문으로 들어가지 않으면, 종묘의 아름 다움과 백관의 많음을 볼 수 없다.
(담장은 스승의 학문을 의미하며, 종묘는 예와 악, 백관은 학문 체계를 의미한다.)
 
 
종묘(宗廟)는 중국 고대 왕실과 제후들이 조상의 제사를 지내는 신성한 장소입니다. 개념적으로 보면 종묘는 天子와 諸侯의 조상을 제사 지내는 장소로,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왕권의 정통성과 혈연적 계승을 상징하는 핵심적인 정치적 공간이었습니다.
 
명칭은 시대에 따라 변화했는데, 夏나라에서는 世室, 商나라에서는 重屋, 周나라에서는 明堂, 秦나라 이후에는 太廟라고 불렸습니다. 이러한 명칭 변화는 각 왕조가 자신들만의 독특한 제례 전통을 확립하려는 노력을 보여줍니다.
 
대상별로 종묘의 규모가 엄격하게 구분되었는데, 天子는 7廟, 諸侯는 5廟, 卿과 大夫는 3廟, 士는 1廟, 평민인 庶民은 종묘를 둘 수 없었습니다. 이는 철저한 신분제 사회의 위계질서를 반영하는 것으로, 종묘의 규모 자체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이었습니다.
 
제도적으로는 昭穆制라는 독특한 배치 원리를 따랐습니다. 이는 喪葬과 神主의 위치와 순서에 관한 규정으로, 始祖居中과 左昭右穆의 원칙에 따라 조상들의 신주를 배치했습니다. 《禮記》의 《祭統》편에서는 “夫祭有昭穆, 昭穆者, 所以別父子遠近, 長幼親疏之序而無亂也”라고 설명하여, 이 제도가 부자간의 원근과 장유 친소의 질서를 구별하여 혼란이 없도록 하는 기능을 했음을 보여줍니다.
 
구체적인 배치는 아버지가 왼쪽에 있으면 아들은 오른쪽에, 이세는 왼쪽에, 삼세는 오른쪽에, 사세는 왼쪽에, 오 세는 오른쪽에 위치하는 식으로 계속되었습니다. 육 세는 왼쪽에, 칠 세는 오른쪽에, 이 사 육 세는 왼쪽에, 삼 오 칠 세는 오른쪽에 배치되며, 구세는 왼쪽에, 후세는 오른쪽에 위치했습니다. 長은 왼쪽에, 幼는 오른쪽에, 嫡은 왼쪽에, 庶는 오른쪽의 원칙을 따랐습니다.
 
조상 호칭은 매우 체계적으로 구분되었는데, 시조를 始祖, 그 다음을 遠祖, 大祖, 烈祖, 天祖, 高祖, 曾祖, 祖, 父의 순서로 9족까지 구분했습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자신을 기준으로 위로 9족, 아래로 9족인 子, 孫, 曾孫, 玄孫, 來孫, 晜孫, 仍孫, 雲孫, 耳孫까지의 혈족 관계를 명확히 하는 체계였습니다.
 
종묘 제도는 단순한 제례 공간을 넘어서 중국 고대 사회의 정치적 정통성, 사회적 위계질서, 혈연적 유대관계를 종합적으로 표현하는 핵심적인 제도였으며, 이를 통해 왕권의 신성성과 사회 질서의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려 했던 것입니다.
 
2) 관청
《管子》〈權修〉「土地博大,野不可以無吏,百姓殷衆,官不可以無長」 ;
토지는 광대하고 도성에서 멀리 떨어진 야는 관리가 없으면 안된다. 백성은 매우 많아서 관청에는 우두머리가 없으면 안된다.
 
 
 
(2025.6.26 강의 요약자: 주정봉)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