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사마천 사기 강의 자료 요약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2025.11.08. 12:46 (2025.11.08. 11:59)

동양고전 아카데미 402강 강의자료 요약 (2025.11.06)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闕題〉와 작자 劉愼(昚)虛 및 주요 단어(闕題,缺題,青溪,閒門,深柳,幽映,清輝...... 등)에 대해서 설명 ; (2)《論語》〈里仁〉「君子喻于義,小人喻于利」를 중심으로 義利之辨의 설명과 《論語》에 나타난 관련 문장의 열거와 설명 ; (3)日本의 姓氏 제도와 「日本首第一先生」의 번역 및 涉獵의 바른 의미에 대하여 설명 ; (4)《禮記》〈禮運〉「父慈、子孝,兄良、弟悌,夫義、婦聽,長惠、幼順,君仁、臣忠;十者謂之人義」를 통한 백성 倫理의 시대별 변천과정(3綱5常(倫)→4維(禮,義,廉,恥)8德(忠,孝,仁,愛,信,義,和,平)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5)是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에 대하여 설명 ; (6)蕩蕩과 戚戚, 大方과 小氣, 久要不忘 등의 의미에 대하여 설명 ; (7)司馬光의 舊法과 王安石의 新法의 비교와 평가 및 중국 역대 變法(李悝,吳起,鄒忌,申不害,商鞅,王安石,張居正,康有爲+梁啓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8)明淸代 宋明理學(程朱理學,性理學,朱子學,道學,理學)이 사상계의 주류가 된 원인 등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동양고전 아카데미 402강 강의자료 요약 (2025.11.06)
 
2025년 11월 6일 400강 기념 촬영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 唐詩 300首
 
 
 
1) 당시 제목: 궐제
 
2) 작자: 유신허(劉眘虛) (대략 713년~766년경)
 
당나라 성당(盛唐) 시대의 시인입니다.
 
- 주요 정보이름: 유신허(劉眘虛, Liu Shenxu)
• 자(字): 전을(全乙)
• 출신: 봉화향(奉化鄕), 지금의 장시성 봉신현(江西省 奉新縣) 사람입니다.
• 활동 시기: 당나라 현종(玄宗) 개원(開元) 연간에 활동했으며, 개원 11년(723년)에 진사(進士)에 급제했습니다.
• 관직: 숭문관 교서랑(崇文館校書郞), 하현령(夏縣令) 등을 지냈습니다.
• 교류: 당대 유명 시인인 맹호연(孟浩然), 왕창령(王昌齡) 등과 친했으며, 하지장(賀知章), 포융(包融), 장욱(張旭)과 함께 '오중사우(吳中四友)'로 불렸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는 그의 문학적 명성과 교유 관계를 짐작하게 합니다.
• 작품: 《전당시(全唐詩)》에 그의 시 1권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는 〈궐제(闕題)〉입니다. 제목이 없다는 뜻으로, 자연 속에서 느끼는 한가롭고 평화로운 정서를 섬세하게 묘사한 시입니다.
 
시풍
유신허의 시는 정치적 요소가 적고,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주관적인 감정보다는 객관적인 경물 묘사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그의 시는 독자에게 깊은 감동을 줍니다. 유신허는 당나라 시인들 중에서도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의 작품은 후대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 중국 신문 제목 : “日本 首 第一先生”의 의미
일본 최초 첫번째 女 수상의 남편
 
* 섭렵(涉獵) ~ 물을 건너 찾아 다닌다는 뜻으로
한국: 많은 책을 널리 읽다.
중국: 공부 안 했다. (건성건성 했다)
 
* 일본은 남자가 여자 성씨를 따르는 경우도 있고 또 제3의 성씨를 사용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일본 황실 가족은 성씨가 없다고 합니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45강(2024,04,04) 강의 교안
 
*《論語》〈里仁〉
4-16. 君子喻于義,小人喻于利
군자는 의리에 밝고 소인은 이익에 밝다.
 
(주석)
1) 君子-勞心者, 統治階級 구성원
덕과 학식 많고, 大方
 
'大方'은 중국어에서 여러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맥락에 따라 다음과 같은 뜻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도량이 크고 너그럽다: 사람의 성품이나 태도가 넓고 포용력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금전적인 측면에서도 아낌없이 베풀거나 관대한 태도를 보일 때 사용될 수 있습니다.
• 학문이나 식견이 넓다: 지식이나 이해도가 뛰어나고 깊이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 대부분, 거의: 어떤 상태나 사물의 범위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부사적으로 쓰여 '대체로', '거의 다'와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 크고 넓은 길, 훌륭한 도리: 특히 불교적 맥락에서 '큰 도', '깨달음의 길' 등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2) 喻-明白,通曉
 
3) 于-對于
 
4) 義-道義, 사상행위가 일정한 도덕표준에 부합함
《論語》〈衛靈公〉「君子義以爲質,禮以行之,孫以出之,信以成之。君子哉!」(不義而富且貴,于我如浮雲)
군자는 의리를 본질로 하고 예로서. 실천하고 겸손으로 표출하고, 신으로서 완성하는 것이 군자다. (불의로 부유해지고 귀하게 되는 것은 나에게 뜬구름과 같다.)
 
5) 小人-勞力者,피통치계급 구성원
덕과 학식이 적다, 평범하다, 小氣
 
小氣 (소기)
'小氣'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 인색하고 옹졸하다: 금전이나 물건을 아끼고 나누거나 베풀기를 꺼리는 태도를 말합니다. 이는 단순히 돈을 아끼는 것을 넘어, 인색하거나 옹졸한 성격을 묘사할 때도 사용됩니다.
• 사소한 것에 신경 쓰다: 작은 일에 지나치게 신경 쓰거나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 성급하고 쉽게 화를 내다: 때로는 성격이 급하거나 쉽게 짜증을 내는 사람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6) 利:利益功利 義利之辨
《陸九淵集》〈白鹿洞書院論語講義》 朱子의 요청으로 陸九淵이 《論語》〈里仁〉「君子喻于義,小人喻于利」, 義利之辨(도덕행위와 물질이익의 관계 강의, 감동받아 눈물을 흘린 자가 많았다는 설)
 
 
* 君子와 小人에 대한 개념
《論語》〈里仁〉「子曰.. 君子懷德,小人懷土。君子懷刑,小人懷惠」
군자는 덕을 중시하고 소인은 土 이익을 중시하고 군자는 형벌제도를 중시하고, 소인은 은혜를 중시한다.
《論語》〈陽貨〉「君子學道則愛人,小人學道則易使」
군자가 도를 배우면 사람을 사랑하고 소인이 도를 배우면 쉽게 부릴 수 있다.
《論語》〈陽貨〉「君子有勇而無義爲亂,小人有勇而無義爲盗」
군자가 용기가 있고 의가 없으면 난을 일어키고,
소인이 용기가 있고 의가 없으면 도둑이 된다.
《論語》〈憲問〉「君子而不仁者有矣夫,未有小人而仁者也」
군자 중에 仁이 없는 자가 있을 수 있지만 소인중에 仁이 있는 자는 없다.
《論語》〈衛靈公〉「君子謀道不謀食」
군자는 도를 꾀하고 음식을 꾀하지 않는다.
《禮記》〈禮運〉「父慈、子孝,兄良、弟悌,夫義、婦聽,長惠、幼順,君仁、臣忠;十者謂之人義」
아버지는 자애롭고 아들은 효도하고 형은 착하고 동생은 공손하고, 지아비는 의롭고, 며느리는 순종하고 위 사람은 은혜를 베풀고, 아래 사람은 순종하고, 임금은 어질고, 신하는 충성스럽다. 이 10가지가 사람이 갖추어야 할 義다.
- 漢 나라 때에는3강 5상
 
 
삼강(三綱)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원칙을 의미합니다:
 
1. 군위신강(君爲臣綱): 군주는 신하의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2. 부위자강(父爲子綱): 아버지는 자식의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3. 부위처강(夫爲妻綱): 남편은 아내의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이러한 삼강은 각 계층 간의 도덕적 관계를 규명하며, 사회의 안정과 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오상(五常)은 다섯 가지 기본적인 도덕적 원칙을 의미하며,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인(仁): 사랑과 자비를 의미합니다.
2. 의(義): 정의와 올바름을 의미합니다.
3. 예(禮): 예의와 예절을 의미합니다.
4. 지(智): 지혜와 지식을 의미합니다.
5. 신(信): 신뢰와 진실성을 의미합니다.
 
오상은 개인이 지켜야 할 도덕적 기준을 제시하며, 사회적 관계를 원활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당 나라 때에는 4維 8德
사유(四維)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원칙을 의미합니다
 
1. 예(禮): 예의와 규범을 중시하는 태도.
2. 의(義): 정의롭고 올바른 행동.
3. 염(廉): 청렴하고 정직한 태도.
4. 치(耻):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 즉 도덕적 기준을 지키려는 의식
 
이 네 가지는 국가와 사회의 기본적인 도덕적 기초를 형성하며, 개인의 행동을 규범화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팔덕(八德)은 다음과 같은 여덟 가지 미덕을 포함합니다:
 
1. 충(忠): 충성심, 국가에 대한 헌신.
2. 효(孝): 부모에 대한 효도.
3. 인(仁): 인애, 타인에 대한 사랑과 자비.
4. 애(爱): 사랑, 특히 가족과 친구에 대한 애정.
5. 신(信): 신뢰와 진실성.
6. 의(義): 정의와 올바름.
7. 염(廉): 청렴함.
8. 치(耻):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
 
이 여덟 가지 미덕은 개인의 도덕적 행동을 규명하고, 사회적 관계를 원활하게 하는 데 기여합니다.
 
사위 팔덕은 유교의 핵심 가치로, 당나라 시대에 특히 강조되었으며, 이후에도 중국 사회의 도덕적 기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러한 개념들은 개인의 도덕적 행동뿐 만 아니라 국가의 정치적 이념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1. 《論語》〈里仁〉「君子懷德,小人懷土;君子懷刑,小人懷惠」
군자는 천하에 치우치지 않고 거리를 두지 않는다. 의리를 같이 한다.
 
2. 《論語》〈里仁〉「君子之於天下也,無適也,無莫也,義之與比。」
利를 보면 의리를 생각하고 위험을 보면 목숨을 버릴 각오를 해야 한다.
 
3. 《論語》〈憲問〉「見利思義,見危授命,久要不忘平生之言,亦可以爲成人矣。」
옛날에 약속한 것은 평생 잊지 말아라. 이것 또한 가히 온전한 인간이다.
 
4. 《論語》〈述而〉「飯疏食飲水,曲肱而枕之,樂亦在其中矣。不義而富且貴,於我如浮雲」
거친 밥 먹고 물 마시고 팔 굽혀서 베개해도 즐거움은 그 안에 있다.
 
5. 《論語》〈述而〉「君子坦蕩蕩,小人長戚戚」
불의로 부유해지고 귀하게 되는 것은 나에게 뜬구름과 같다.
 
6. 《論語》〈子路〉「無欲速,無見小利。欲速則不達,見小利則大事不成」
군자는 마음 씀씀이 대범하고, 소인은 인색하다.
 
7. 《論語》〈子路〉「上好義則莫敢不服」
무엇을 빨리 성취하려 하나 이루지 못하고, 작은 이익을 탐하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
 
8. 《論語》〈子罕〉「子曰。罕言利,與命與仁。」
위에서 의를 좋아하면 백성이 감히 불복하지 못한다.
 
9. 《論語》〈陽貨〉「君子義以爲質,禮以行之,孫以出之,信以成之。」
이에 대해 말을 하지 않고 오직 命과 仁에 대해서만 이야기한다.
 
 

 
*《史記》〈周本紀〉4-023
1. 是- 金文(▣), 본래 의미는 바르다(正) (태양이 뜨서 멈춤고 있는 모양)
《說文解字》「直也。从日正。凡是之屬皆从是」
직이다. 是는 日(윗부분)과 正(밑부분)의 합자이다.
무릇 是(종일 해를 따라서 바르게 된다.)'를 부수로 가지는 모든 글자는 '是'의 뜻을 따른다.
 
(1) 바르다,
《禮記》〈玉藻〉「而疑是精粗之体」
그러나 의(疑)는 정밀하고 거친 것의 실체를 바르게 한다.
 
疏:「謂正也」
어떤 표준에 딱 맞다.
 
(2) 맞다,
《國語》〈楚語〉「王弗是」
왕이 이치에 맞지 않다
 
注..「理也」
이치
 
《荀子》〈勸學〉「使目非是,無欲見也」
눈으로 봐서 맞지 않는 것은 보려고 하지 마라
 
注..「謂正道也」
시는 바른 도리이다.
 
(3) 概括, 凡是, 任何, every, any,
陶潜, 〈飮酒〉十八「觴來爲之盡,是諮無不塞」
술잔이 와서 다 마신다. 어떤 자문도 대답이 막힘이 없었다.
 
(4) 此,這, this, that,
《孟子》〈告子下〉「天將降大任于是人也,必先苦其心志」
하늘이 장차 큰 인물을 내릴 때 반드시 먼저 마음 생각을 고달프게 한다.
 
賈誼, 〈論積貯疏〉「安有爲天下阽危者若是而上不驚者」
어찌 천하가 이와 같이 위태로울 때 황제가 놀라지 않을 수 있겠는가?
 
(5) 찬동, 긍정하다,
王安石, 〈答司馬諫議書〉「盤庚不爲怨者故改其度,度義而後動,是而不見可悔故也」
반경이 원망하는 자 때문에 제도를 개혁하지 않았다. 제도에 대해 의논한 후에 행동했다. 찬성했으면 후회할 까닭이 없었다.
 
 
 
 
1. 李悝變法(이괴변법)은 중국 전쟁국 시대의 위나라에서 시행된 중요한 개혁으로, 이 괴(李悝)가 위문후(魏文侯) 재임 시기에 주도하였습니다. 이 개혁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주요 내용:
1) 정치적 개혁:
o 세습 귀족 특권 폐지: 이 괴는 세습 귀족의 특권을 없애고, 능력에 따라 인재를 선발하는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유능한 인재들이 관직에 오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o 상벌의 명확화: 공정한 상벌 체계를 통해 국가의 행정을 강화했습니다.
 
2) 경제적 개혁:
o 尽地力(진지력): 농민들이 최대한의 생산성을 발휘하도록 장려하는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농민들은 열심히 일해야 더 많은 수확을 얻을 수 있다는 원칙을 강조했습니다.
o 平籴法(평적법): 정부가 풍년에는 곡식을 저렴한 가격에 사들이고, 흉년에는 같은 가격에 판매하여 곡물 가격을 안정시키는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이는 농민의 이익을 보호하고, 국가의 식량 안정을 도모했습니다.
 
3) 법률 제정:
o 이 괴는 각국의 법률을 모아 《法經》(법경)이라는 법전을 편찬하였습니다. 이는 당시 법률의 기준을 정립하고, 법의 공정한 집행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문서였습니다.
 
4) 역사적 의의:
李悝變法은 중국 역사에서 최초의 체계적인 개혁으로 평가받으며, 이후의 상앙변법(商鞅變法) 등 다른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개혁은 봉건제 사회로의 전환을 촉진하고,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드는 데 기여했습니다.
 
李悝는 자신의 법에 따라 스스로 목숨을 끊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했지만, 그의 개혁은 중국 역사에 길이 남을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습니다.
 
 
2. 오기 변법(吴起变法)은 중국 전쟁국 시대의 초나라에서 시행된 중요한 개혁으로, 오기(吴起)가 주도하였습니다. 오기는 초나라의 군주인 초도왕(楚悼王)에게 발탁되어 변법을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주요 내용:
1) 귀족 특권의 제한:
o 오기는 귀족과 왕족의 세습적 특권을 제한하고, 능력에 따라 인재를 선발하는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국가의 행정과 군사력을 강화하고자 하였습니다.
 
2) 군사 개혁:
o 오기는 군사 조직을 개편하여 효율적인 군대 운영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그는 군사 훈련과 병력의 전문화를 통해 초나라의 군사력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3) 법률 제정:
o 오기는 법률을 통해 귀족의 권력을 제한하고, 공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는 법을 통해 국가의 통치 원칙을 명확히 하고, 모든 국민이 법 앞에 평등하도록 하였습니다.
 
4) 경제 정책:
o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여, 농민들이 더 많은 수확을 올릴 수 있도록 장려했습니다. 이는 국가의 재정 기반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5) 역사적 의의:
오기 변법은 초나라의 군사적, 정치적 힘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나 변법이 시행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귀족 세력과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결국 변법은 완전한 성공을 거두지 못했습니다. 오기는 변법 후에도 군사적 성과를 거두었지만, 정치적 반발로 인해 그의 개혁은 지속되지 못했습니다.
 
결국, 오기의 변법은 초나라의 발전 가능성을 높였지만, 내부의 저항으로 인해 그 효과가 제한적이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오기의 변법은 중국 역사에서 중요한 사례로 남아 있습니다.
 
3. 상앙 변법(商鞅变法)은 중국 전쟁국 시대의 진나라에서 상앙(商鞅)이 주도한 중요한 정치 개혁입니다. 이 개혁은 기원전 356년과 350년에 두 차례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진나라를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주요 내용:
1) 부국강병:
상앙의 변법은 국가의 부를 증대시키고 군사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농업을 중시하고 군사적 공로에 따라 인센티브를 제공했습니다.
 
2) 토지 제도 개혁:
o 井田制 폐지: 전통적인 경작 방식인井田制를 폐지하고, 개인의 토지 소유를 인정하여 농민들이 자유롭게 경작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는 농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3) 군공 수여:
o 군사적 공로에 따라 작위를 부여하는 제도를 도입하여, 귀족의 세습적 특권을 제한하고 능력 있는 인재를 중시했습니다.
 
4) 중앙집권화:
o 봉건제를 폐지하고 군현제를 도입하여 중앙 정부의 권한을 강화했습니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행정 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5) 연좌제:
o 주민들을 다섯 집 단위로 묶어 서로 감시하게 하여 범죄를 예방하는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이는 사회의 기율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6) 상벌 제도:
o 공을 세운 사람에게는 보상을, 잘못을 저지른 사람에게는 엄중한 처벌을 부과하여 법의 공정성을 강조했습니다.
 
7) 상업 억제:
o 초기에는 상업을 억제하고 농업을 우선시했으나, 후에 농업과 상업의 균형 있는 발전을 추구하게 됩니다.
 
8) 역사적 의의:
o 상앙 변법은 진나라가 전쟁국 시대의 패권국으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개혁은 진나라의 통일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으며, 이후 중국 역사에서 중앙집권적 통치의 모델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러나 상앙의 엄격한 법과 정책은 많은 반발을 초래하였고, 그의 죽음 이후에도 변법의 영향은 지속되었습니다.
 
결국, 상앙 변법은 중국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이루었으며, 국가의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4. 장거정 변법(張居正變法)은 명나라 만력제(萬曆帝) 시기에 장거정(張居正)이 주도한 일련의 정치 및 경제 개혁을 의미합니다. 이 개혁은 1573년부터 1582년까지 약 10년 동안 진행되었으며, 명나라의 재정과 행정 체계를 크게 개선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주요 내용:
1) 정치 개혁:
o 고과법(考成法): 관리들의 성과를 평가하는 체계를 도입하여, 관료의 부패를 줄이고 행정의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이를 통해 관료들이 책임을 다하도록 유도했습니다.
 
2) 경제 개혁:
o 일조편법(一條鞭法): 세금 체계를 단순화하여, 농민들이 세금을 은으로 납부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세금 징수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농민의 부담이 줄어들었습니다.
o 토지 측량: 전국적으로 토지를 측량하여 실제 납세 가능한 면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금을 부과함으로써 국고를 강화했습니다.
 
3) 군사 개혁:
o 북방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군사력을 강화하고, 주요 군사 요충지에 명장들을 배치하여 국방을 튼튼히 하였습니다.
 
4) 사회 안정:
o 장거정은 지주와 귀족의 권력을 제한하고, 농민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강력한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이로 인해 사회적 갈등이 완화되고, 명나라의 안정이 도모되었습니다.
 
5) 역사적 의의:
장거정 변법은 명나라의 재정과 군사력을 강화하여 국가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나 장거정 사후, 그의 개혁은 많은 반발에 부딪혀 대부분 폐지되었고, 이는 명나라의 쇠퇴로 이어지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거정의 개혁은 명나라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그의 정책은 후에 청나라에서도 일부 계승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장거정 변법은 명나라의 재정적 안정과 사회적 평화를 이루는 데 기여했지만, 그의 사후에는 그 성과가 지속되지 못한 아쉬움이 남습니다.
 
 
(2025.11.6. 주정봉 강의 요약)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