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충청북도 보도자료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2019.10.10. 17:26 (2019.10.10. 17:26)

충북농기원, 한지형 마늘 파종전 종구 소독 및 적기 파종 당부

 
충청북도 농업기술원(원장 송용섭)은 올해 잦은 강우로 저장 종구에 마늘혹응애를 비롯한 병해충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며 파종 전 종구 선별 및 소독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농가에 당부했다.【공보관 (043-220-2064)】
 
충청북도 농업기술원(원장 송용섭)은 올해 잦은 강우로 저장 종구에 마늘혹응애를 비롯한 병해충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며 파종 전 종구 선별 및 소독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농가에 당부했다.
 
마늘은 저장 중에도 마늘혹응애 및 뿌리응애 등의 해충이 피해를 주고 있지만 특히 올해 여름철 고온 다습한 기후로 인해 발생밀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씨마늘은 마늘쪽(인편)의 갈변증상(갈색으로 변한 증상)과 발근 부위에 상처가 없는 것을 선별하고, 파종전 마늘 종구소독용 살충제와 살균제를 혼합한 용액에 1시간 이상 침지하여 그늘에 말린 후 파종하여야 한다.
 
또한 한지형 마늘의 적정 파종시기는 10월 20일~30일이 적당하며, 늦어도 11월 상순까지 파종을 마치는 것이 좋다.
 
파종시기가 늦어 월동 전 발근이 불량할 경우 동해피해 및 월동 후 한해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적기 파종하고, 파종 후 토양에 적정한 수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포장의 관수 및 배수에도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도 농업기술원 마늘연구소 이승주 연구사는 “고품질 한지형 마늘 생산은 파종전 씨마늘 선별과 종구 소독에 달려 있다.”며, 건전한 종구를 선별하고 소독 후 적기에 파종할 것을 당부하였다.
 
 
첨부 :
010301정기(1010) - 충북농기원, 한지형 마늘 파종전 종구 소독 및 적기 파종 당부.hwp
충북농기원, 한지형 마늘 파종전 종구 소독 및 적기 파종 당부(마늘혹응애 피해) (1).JPG
 

 
※ 원문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