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경기도 시흥시 오이도(烏耳島)와 안산시 대부도(大阜島)를 연결하는 11.2km의 시화 방조제(始華防潮堤)에 다녀와 정리합니다. 1994년 준공된 인공 호수인 시화호(1,329만 평)가 담수화(淡水化)로 썩어가므로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 수문과 조수 간만의 차를 이용한 조력발전소를 만들었습니다.
|
|
|
|
|
|
|
|
|
|
|
|
시화 방조제 중간에는 무료 입장하는 75m 높이의 "달 전망대",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한 세계 최대의 조력 발전소(潮力發電所) 그리고 시민 휴식 공간인 시화 나래 공원이 있습니다.
|
|
|
|
|
|
|
|
|
|
|
|
시화호의 랜드마크인 달 전망대에 오르니 확 트인 시야에 서해와 시화호, 그리고 시화 방조제가 확 들어와 시화호를 보기에 가장 좋은 곳입니다. 날이 흐리고 유리창도 얼룩져 사진이 제대로 안 나와 아쉬웠습니다. 파란 하늘에 뭉게구름이 있는 날이면 더 좋았을 텐데...
|
|
|
|
|
|
|
|
|
|
|
|
▼시화방조제 전경( k-water 사진)
|
|
|
|
|
|
원래 시화호는 간척지에 조성될 농지나 산업단지의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담수호로 계획했으나, 1994년 준공후 시화호 유역의 공장 오폐수 및 생활하수의 유입으로 수질이 급격히 악화되어 1997년 이후 해수를 유입해 수질을 개선하고 있답니다. 사례 연구를 통해 이런 착오가 반복하지 않도록 해야겠네요!
|
|
|
|
|
|
|
|
|
|
|
|
▼달 전망대 외관
|
|
|
|
|
|
|
|
|
|
|
|
|
▼밤이면 타워에 조명이 들어와 야경이 멋있단다.
|
|
|
|
|
|
|
|
|
|
|
|
|
▼원형의 전망대 내부 유리창이 뿌옇고 얼룩이 있다.
|
|
|
|
|
|
|
|
|
|
|
|
|
▼오이도 방향(사진의 북쪽)의 시화방조제에 세계 최대 조력 발전소가 보이고 방조제 오른쪽이 시화호인데 왼쪽의 서해가 시화호보다 더 깨끗해 보인다. 역시 "물은 흘러야 썩지 않는다."
|
|
|
|
|
|
|
|
|
|
|
|
|
▼대부도 방향(사진의 북쪽)으로 아래에 시화 나래 공원이 보인다.
|
|
|
|
|
|
|
|
|
|
|
|
|
▼전망대 바닥에 설치된 투명의 두꺼운 유리 데크(스카이 워크)는 신발 벗고 이용하는데 75m 아래를 보니 아찔하다.
|
|
|
|
|
|
|
|
|
|
|
|
|
▼큰 가리섬
|
|
|
|
|
|
|
|
|
|
|
|
|
☞전설의 가리섬 명칭
|
|
|
|
|
|
본래 큰 가리섬과 작은 가리섬이 함께 있었으나, 작은 가리섬은 추가된 간척으로 휴게소와 공원이 되었으며 큰 가리섬만이 공원 앞바다에 위치하게 되었다. 쌍섬이라고도 불린 큰 가리섬과 작은 가리섬의 지명은 남양도호부에 살던 어부 "석동"의 전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
|
|
|
|
|
|
|
|
|
|
|
사랑하여 부부가 된 "석동"과 "보배". 어느 날 고기잡이 나갔던 석동이 풍랑에 돌아오지 못하다가 용왕님에 의해 살아났지만, 그동안 석동을 간절히 기다리던 보배가 섬이 돼버렸다. 이를 알게 된 석동도 뒤따라 섬이 돼 서로 안타깝게 바라보게 되었고, 이를 보던 보름달은 가리비들로 다리를 놓아 둘을 만나게 했다는 전설로 견우와 직녀가 칠월 칠석날 까치와 까마귀들이 만든 오작교(烏鵲橋)에서 만난다는 전설과 비슷하다.
|
|
|
|
|
|
|
|
|
|
|
|
전망대와 공원(원래 작은 가리섬이 있던 곳)을 큰 가리섬과 연결했던 가리비 대신 보행교를 놓으면 어떨까?
|
|
|
|
|
|
|
|
|
|
|
|
▼ 전망대의 "카페 드롭 탑" 시화 조력발전소점
|
|
|
|
|
|
☞메뉴 주문 전에 신분증이나 QR 코드 준비해달란다.
|
|
|
|
|
|
☞아메리카노 4100원, 레몬차(사과 유자차) 4300원, 더블 초코 빅 쿠키 2200원
|
|
|
|
|
|
|
|
|
|
|
|
|
|
|
|
|
|
|
▣달 전망대 안내
|
|
|
|
|
|
☞75m 높이 (약 25층)
|
|
|
|
|
|
☞무료입장, 연중무휴(☎032-889-3365)
|
|
|
|
|
|
☞마스크 착용(별도 해제 시까지) 필수에 발열 체크함
|
|
|
|
|
|
☞신분증이나 QR코드를 보여야 입장(개인별) OK
|
|
|
|
|
|
☞10인승 엘리베이터 2대(상행, 하행 전용) 운행
|
|
|
|
|
|
☞10시~22시(종료 30분 전까지 입장)
|
|
|
|
|
|
☞개 출입 금지, 금연, 음식물 반입 금지(전망대 카페 드롭 탑 이용)
|
|
|
|
|
|
☞무료 주차장(버스 19대, 승용차 630대)
|
|
|
|
|
|
|
|
|
|
|
|
▣조력 발전소 개요
|
|
|
|
|
|
☞세계 최대의 조력발전소(2018년 말 준공)
|
|
|
|
|
|
☞4,958억 원의 사업비
|
|
|
|
|
|
☞최대 7.5m~1m에 달하는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하여 밀물 때(한쪽 방향만 되는 단류식 발전) 시화호로 들어오는 물의 낙차를 이용해 전기 생산
|
|
|
|
|
|
☞발전 용량 : 254MW(수차발전기 25.4천 kw x 10기, 수문 15m x12mx 8문)
|
|
|
|
|
|
☞연간 발전량 : 5.5억 kWh(소양강댐의 1.56배)
|
|
|
|
|
|
☞수천억을 들인 조력 발전소는 한국 수자원 공사(K- WATER)가 관리
|
|
|
|
|
|
|
|
|
|
|
|
▼아래 사진은 수문을 열고 시화호 물을 서해로 빼는 중으로 1일 2회의 밀·썰물 때 수문 개방한다.
|
|
|
|
|
|
☞밀물은 바닷물이 높아져 육지 쪽으로 들어오는 것이고, 썰물은 바닷물이 낮아져 바닷물이 바다쪽으로 빠지는 것임.
|
|
|
|
|
|
|
|
|
|
|
|
|
☞ 조력 발전소 홈페이지 https://www.kwater.or.kr/website/tlight.do
|
|
|
|
|
|
|
|
|
|
|
|
▣시화 나래 조력 공원(공원+ 휴게소+ 주차장)
|
|
|
|
|
|
☞공원 면적 : 15만 ㎡(약 45,000평)
|
|
|
|
|
|
☞안내도(k-water 사진)
|
|
|
|
|
|
|
|
|
|
|
|
|
☞시화(始華)는 시흥과 화성의 첫 글자에서 따왔고 시화 나래는 "훨훨 날개를 펼치듯 널리 알려지고 솟아오르다는" 의미란다.
|
|
|
|
|
|
|
|
|
|
|
|
|
|
|
|
|
|
|
|
☞하트 조각 안에 보이는 왼쪽 섬이 큰 가리섬이다.
|
|
|
|
|
|
|
|
|
|
|
|
|
☞빛의 오벨리스크(이성완 작)
|
|
|
|
|
|
·오벨리스크는 고대 이집트에서 태양 숭배의 상징으로 세웠던 기념비를 말하며 네모진 거대한 돌기둥으로, 위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고 꼭대기는 피라미드 모양으로 되어 있음
|
|
|
|
|
|
·수십만 개의 색유리로 모자이크 함
|
|
|
|
|
|
·꼭대기에 스텐레스 스틸과 7색의 무지개 색유리가 보임
|
|
|
|
|
|
·정면은 봄, 후면은 여름, 좌측은 겨울, 우측은 가을을 나타낸다고 안내판에 적혀있는데 잘 모르겠음.
|
|
|
|
|
|
|
|
|
|
|
|
|
▶대중교통은 안산역에서 123번, 300번(주말 운행) 버스 (배차 간격 30분~60분)
|
|
|
|
|
|
다음은 구봉도 낙조 전망대로 넘어갑니다.
|
|
|
|
|
|
|
|
|
|
|
|
|
출처: 구글, 네이버, k-water, 위키 백과, 안산시
|
|
|
|
|
|
|
|
|
|
|
|
※ 원문보기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