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지식놀이터
지식자료
지식자료 구독
구독 내역
게시판
게시판
작업요청
최근 작업 현황
지식창고
지식창고 개설 현황
자료실
사용자메뉴얼
about 지식놀이터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강의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2024.04.22. 11:40 (2024.04.14. 11:46)

사마천 사기 346강 강의자료 요약 (2024.4.11)

 
司馬遷《史記》〈本紀〉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雜詩-王維〉와 古體詩와 近體詩의 차이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 ; (2) 《書經》〈周官〉의 3公(직위와 담당인물, 주요업무) 등에 대하여 설명 ; (3) 塢, 壁, 堡(塢壁,塢堡) 의 시초와 성행 및 주요 기능 등에 대하여 설명 ; (4) 《論語》〈八佾〉「或問禘之說。子曰:“不知也。知其說者之於天下也,其如示諸斯乎!”指其掌」의 올바른 번역을 위하여 子思(戰國)의 《中庸》, 《史記》〈封禪書〉, 何晏(曹魏)의 《論語集解》의 관련 문장을 상호 비교분석하여 상세히 설명 ; (5) 《韓非子》〈主道〉를 중심으로 君臣之道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6) 師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에 대하여 설명 ; (7) 《周禮》〈小司徒〉에 의거하여 周나라 군사편제(伍, 兩, 卒, 旅, 師, 軍)에 대하여 설명 ; (8) 司馬遷과 《史記》에 대한 핵심지식(저자, 기간, 체제, 첨삭, 130編,12本紀,30世家,70列傳,10表,8書의 숫자 의미) 등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2024년 4월 11일 강의 장면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1. 唐詩 300首
 
 
1) 잡시   왕유 작
2) 중국어 발음
 
Jun1zi4gu4xiang1lai2
Ying4zji1gu4xiang1shi4
Lai2ri4qi3chuang1qian2
Han2mei2zhuo2hua1wei4
 
 
왕유(왕웨이, 王維, 699년 ~ 759년)는 중국 성당(盛唐)의 시인·화가로서 자는 마힐 (摩詰)이다.
 
 
「雜者、不拘流例、遇物卽言、故云雜也。」
雜은 전해 내려온 관례에도 불구하고 물상을 만나면 바로 말로 한다. 그런고로 雜이라고 부른다.
 
* 流例 = 流傳慣例
* 著花 < 開花 < 放花 < 怒花, 發(花)放
* 古體詩 ~唐詩 이전의 시이며, 韻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唐詩 이후 近體詩에는 韻이 있다
* 한나라 때 여성을 君이라고 했다 (예: 王昭君), 근대에 남녀 모두 사용한다.
* 기창(綺窗) ~ 무늬를 창틀에 조각한 것이다.
* 是之 (그래), 否之(안 그래) 是否之(그래 안 그래)->是否~ 오늘날 是不是 , 對不對
 
 

 
*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09강(2023,04,20) 강의 교안
 
《史記》〈周本紀〉 註釋
1. 保 - 甲骨文, 본래 의미는 자식을 등에 업고 있는 모양
1) 기르다(育)
2) 보우하다,
3) 보호하다,
4) 보증하다,
5) 소유하다,
6) 추천하다,
7) 의지하다,
8) 유아를 보육하는 여자
 
9) 아이 돌보는 포대기(襁褓), ~ (지난 시간 강의 누락된 것)
 
《後漢書》〈桓郁傳〉「昔成王幼小, 越在襁保, 周公在前, 史佚在後, 太公在左, 召公在右。中立聽朝, 四聖維之。是以慮無遺誡, 擧無過事」
옛날 성왕이 유소(幼小)할 때 앞에는 주공이 있고 뒤에는 사일(史佚)이 있 고, 왼쪽에 강태공이 있고 오른 쪽에 소공은 있다. 가운데 앉아서 조정의 일을 모두 청취했다. 네 명의 성인급들 사이에서 생각에 훈계거리가 없고 행동에는 지나치게 잘못한 것이 없었다.
 
* 越 ~於是
 
* 當選者
者~ 일시적 직책, 개인적인 일
人~ 고정적 직책, 집단에 사용
중국은 候選人(후보자), 當選人이라 한다.
 
10) 담당하다,
 
《周礼》〈大司徒〉「令五家爲比, 使之相保」
5가구를 比라 하고, 그 들로 하여금 서로 담당하게 하였다.
 
注「保猶任也」
~ 保는 임무를 맡기는 것이다
 
 
11) 작은 성(堡) ~ =塢 = 壁 = 堡 (塢壁, 塢堡)
 
《禮記》〈檀弓下〉「戰于郎。公叔禺人遇負杖入保者息」
랑에서 전투를 하였다 노나라 소공의 아들인 公叔禺人이 무기를 메고 성채에 들어가서 쉬는 걸 봤다.
(*遇 =見)
 
注「小城曰保。又都邑之城曰保」
작은 성을 보라고 한다. 또 도읍의 성도 보라 한다.
 
* 塢(오), 壁(벽), 堡(보)는 고대 군사 방어 시설로서, 주로 자연 지형을 활용한 전략적 위치에 설치되어 적의 침입을 방어하는 소규모 요새와 유사한 형태로, 방어 시설로서 역할을 했습니다.
 
 
12) 3公 太保,
 
《书》〈周官〉「立太師, 太傅, 太保。兹惟三公, 論道經邦, 燮理陰陽, 官不必備, 惟其人」 」
태사(太師), 태부(太傅), 태보(太保)보를 세우고, 이에(玆) 오직 3公이 道를 논하고 국가 경영을 논하고 음양의 변화 위치를 살피고, 관직은 반드시 둘 필요는 없고, 신망을 받는 사람(3公)만 있으면 된다.
 
또 《礼기》〈文王世子〉「⼤傅在前, 少傅在后, 入則有保, 出則有師
대부는 앞에 少傅(차관급)는 뒤에 머문다. 평시(入)에는 재상이나 전시(出)에는 장군이 된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10강(2023. 04. 27) 강의 교안
 
《論語》〈八佾〉 注釋
 
3-11. 或問禘之說, 子曰 不知也。知其說者之于天下也, 其如示諸斯乎! 指其掌。
 
1) 或 - 어떤 사람
2) 締(체, di) -고대에 오직 天子만이 조상에게 지내는 매우 隆重한 의례(締禮), 夏4月에 지내고, 大締, 吉締, 時締가 있다. 당시 魯公이 하는 것은 僭禮
3) 說 - 이론 도리 규정. 즉 禘之說은 禘祭의 規定에 관한 의미. 不知는 魯나라 君主不合禮에 관해서 말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4) 之于 - ~에 대해서 말하자면
5) 其 - 천하를 다스리는 것
6) 示 - 보여주다, 보다
7) 諸 - 之於의 合音詞
a. 문장 중간에서는 之於(之于)의 合音
b. 문장 끝에서는 之乎의 合音
8) 斯 - 이것, 여기에, 즉 손바닥을 가리킴
9) 掌 - 손바닥
 
* 논어 판본 3가지
(1)古論語 한나라때 정현이 섞어 편집한 것을 한국에서 사용 중임
(2)魯論語
(3)齊論語 ~없어졌으나 고고학에서 발굴됨
 
(해석) 체의 규정에 대해 물으니, 공자는 답했다. “모른다. 그 체 규정을 아는 자가 천하 통치에 대하여 말한다면 이것(손바닥)을 보여 주는 것과 같다. 이것은 손바닥을 가리킨다.
 
*노나라 군주가 禮에 부합하지 않아서 말하기 싫어서 “不知”라 한 것이다.
 
 
* 자사 《중용》 교(하늘에 지내는 제사)제사와 사(땅에 지내는 제사)제사의 禮와 체(천자가 올리는 제사)제사의 뜻을 알면,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손바닥을 보여 주는 것과 같다
* 주례 ~ 여름제사는 “체”이고 가을 제사는 “상”이다
* 사기 <봉선서> 체의 규정을 아는 것은 천하의 통치에 있어서 손바닥을 보여 주는 것과 같다.
* 하안 《論語集解》 締 禮의 규정을 아는 것은 천하의 일에 대해서 손바닥 안의 물건을 보여 주는 것 그것을 말하고 있다. 그것(손바닥 보여 주는 것)은 쉬운 것이다
 
 
*《韓非子》〈主道〉「道者, 萬物之始,是非之紀也。是以明君守始以知萬物之源,治紀以知善敗之端。故虛靜以待,令名自命也,令事自定也......道在不可見,用在不可知君;虛靜無事,以暗見疵。見而不見,聞而不聞,知而不知。知其言以往,勿變勿更,以参合閱焉」
 
道(법가의 도로서 천하를 다스리는 도임 )는 만물의 시작이요, 옳고 그름을 밟히는 기강이다. 이런 까닭에 明君은 본원을 지키고 만물의 근원, 그 기강을 다스림으로 성공과 실패의 단서를 알게 된다. 고로 허무하고 냉정하게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신하를 대하고 그리고 군주와 신하의 명목 명분으로 하여금 저절로 알게 하고
 
군주와 신하의 관계의 일로 하여금 저절로 이루어 지게 군주가 천하를 다스리는 원칙은 신하가 알 수 없게 하는 데 있다. 작용은 군주의 의미를 알 수 없게 하는 데 있어 허무하고 냉정하고 무사하게 하고. 신하의 약점을 봐도 못 본 척, 들어도 못 들은 척, 알아도 모른 척, 그 신하의 말하는 뜻을 이후에도 자신의 의지를 변경하지 말고 이렇게 함으로서 參合 즉 실험에서 증명하여 부합되게 해야 한다.
 
*善 = 勝
 
 

 
《史記》〈周本紀〉 註釋
 
1. 師 - 甲骨文, 원래 의미는 활 또는 활을 쏘다, 점차 군대의 편제를 가리킴,
 
《說文解字》「師, 二千五百人爲師。從帀從𠂤」 商, 周 시기 1師는 2500명.
잡(帀)자를 따르고 부(𠂤)자를 따른다.
 
*從帀從𠂤(종잡종부)
군대의 집합을 의미하는 고대 중국어 표현입니다.
"從帀(종잡)"는 네 개의 깃발이 모여 있는 모습으로, 군대의 집합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從𠂤(종부)"는 군대의 기본 단위인 2500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從帀從𠂤(종잡종부)"는 2500명으로 구성된 군대가 모여 있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周禮》〈小司徒〉「五人爲伍, 五伍爲两, 四两爲卒, 五卒爲旅, 五旅爲師, 五師爲軍」
5인을 伍, 5伍를 兩, 4兩을 卒, 5卒을 旅, 5旅를 師, 5師를 軍이라 한다
 
* 위진 남북조 시대에 수도경비 사령관을 “統領”했고 여기서 大統領 나왔다.
 
* 사마천 사기의 구성
1.본기(本紀) 12편~ 숫자 12는 1년을 의미한다
2.세가(世家) 30편
3.열전(列傳) 70편
4.서(書) 8편
5.표(表) 10편
 
* 사기는 사마천의 아버지 사마담이 5년 사마천이 8년간 기록하였다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1
▣ 정보 :
학습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7년 10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