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9월 12일
|
• 제1공화국 (10년차) / 진보당사건 발생. 대민의원 선거 실시
|
|
|
|
• 제1공화국 (9년차) /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우주선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
|
|
|
|
|
|
|
• 제1공화국 (8년차) / 제3대 정˙부통령선거 실시. 대통령에 자유당 이승만(李承晩), 부통령에 민주당의 장면(張勉) 당선됨.
|
|
|
• 제1공화국 (7년차) / 한.미 잉여농산물 원조협정 조인
제1차 아시아, 아프리카 회의 개최
|
|
|
|
|
|
|
|
|
• 제1공화국 (5년차) / 휴전협정 조인, 제1차 통화개혁 실시
|
|
|
|
|
|
• 제1공화국 (2년차) / 6.25전쟁 발발
|
|
|
|
• 제1공화국 (1년차) / 국회프락치 사건. 김구 피살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
|
|
제1공화국 출범 / 남한 총선거 실시,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승만 초대 대통령 취임. 제주 4,3사건. 여순반란
|
|
|
|
|
|
|
|
|
|
|
신탁통치 문제로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반탁운동 일어남
|
|
|
|
|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27년. 8.15해방, 북위 38도선 남북에 미,소 양군 각각 진주. 송진우 피살
제2차 세계대전 종료(1939~ ) 5월 7일, 독일이 무조건 항복, 8월 15일. 일본의 무조건 항복.
국제연합 성립(1945년)
|
|
|
|
|
|
|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26년. 여자정신대근무령 공포, 20여만 명이 정신대로 끌려감
제2차 세계대전 중(1939 ~ 1945)
|
|
|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25년. 학병제 실시
제2차 세계대전 중(1939 ~ 1945)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23년.
제2차 세계 대전(1939 ~ 1945). 12월 7일, 일본군이 하와이 진주만을 기습, 태평양 전쟁 시작.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21년.
9월 1일, 독일군이 폴란드를 침공, 제2차 세계대전 시작( ~ 1945)
|
|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20년. 국가총동원법 공포, 전시통제체제 시행, 한글 교육 금지됨
|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9년. 중·일전쟁(中日戰爭) 발발.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8년. 손기정, 베를린 올림픽 대회 마라톤 우승. 일장기 말소 사건
|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7년.
|
|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6년. 부산-장춘 간 직통열차 운행 개시, 진단학회 설립
중국 홍군, 대장정 시작,
히틀러, 독일총통에 취임
|
|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5년. 조선어학회, (한글맞춤법통일안)제정
루스벨트의 뉴딜 정책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4년. 이봉창, 윤봉길 의거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3년.
9월 18일. 일본이 만주를 침공한다
|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2년.
|
|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1년. 광주학생운동 발발, 원사총파업.
세계 대공황 발생
|
|
|
|
|
|
|
|
|
• 2025년 9월 11일
|
말을 글자로 적을 때 일정한 원칙에 맞도록쓰는 법.
|
|
어떤 생각이나 느낌을, 줄거리를 세워서 글자로 나타낸 것. 낱낱의 글자가 모여서 낱말을 이루고, 낱말이 모여서 글 도막을 이룬다. 이러한 글 도막들이 모여서 비로소 하나의 글을 이룬다.
|
|
고려 시대의 지방 행정 구역. 고려 는 건국 이래 지방 행정 구역이 여러 번 바뀌었는데, 현종 때인 1018년에 5도 양계로 나누고, 특히 양계에는 병마사 를 보내어 북방의 소란을 막게 하였다.
|
|
터키 최초의 정당. 1891년에 오스만 제국의 전제 정치를 무너뜨린 후 입헌 정치를 실현하여, 터키를 근대화시키기 위해 조직된 민족주의 단체였다.
|
|
신라 진성 여왕 때의 이름난 궁수 거타지에 관한 설화. 《삼국유사》 권2 기이편의 제2 '진성 여왕 거타지조'에 자세히 나온다.
|
|
숙종~영조 연간의 작품인 듯하며, 「경세설(警世說)」 이라고도 한다. 경세(警世)와 훈민(訓民)을 위해서 엮은 것으로 서민사회의 풍습 ․생활상 등을 솔직하고 예리하게 표현하고 있다.
|
|
|
|
|
|
|
|
|
|
• 2025년 9월 10일
|
채소류를 색깔에 따라 분류한 것 중에서 녹색을 띤 황색 채소. 비타민의 급원 식품으로, 시금치, 풋고추, 피망, 깻잎, 당근 등과 같이 녹색이나 황색을 띤 채소이다.
|
|
|
|
|
|
|
대변이 잘 나오지 않고 오랫동안 장(腸)속에 남아 있는 증세.
|
|
|
개정 식사의 한 가지. 보통 때의 식사보다 섬유질이 많이 들어 있는 식사이다. 창자의 운동을 활발하게 하기 위한 자극을 주려고 하는 식사 방법이며, 변비증의 치료에 쓰인다.
|
|
|
개정 식사의 한 가지. 당뇨병 에 대한 식이 요법으로 하는 식사이다.
|
|
|
음식물의 질이나 양 및 성분 등을 조절하여 질병을 치료하고자 하는 방법. 주로 당뇨병, 위장병, 고혈압, 심장병, 신장병, 비만증, 간질환 및 열이 있는 병 등에 쓰인다.
|
|
제14대 김영삼 대통령 취임. 소말리아 UN 활동 참여, 금융실명제 실시
|
|
|
|
|
|
|
|
|
|
|
|
|
|
아라비아 반도의 북서쪽 요르단과 이스라엘 의 두 나라에 걸쳐 있고, 지중해안에서 약 100km 내륙에 있는 짠물 호수. 동서 너비 15km, 남북 길이 약 80km로 면적은 1,020km²에 이르고, 가장 깊은 곳은 399m이다.
|
|
오대호 중 하나로, 오대호 중 유일하게 호수 전체가 미국 영토에 포함된다.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차례대로 미시간주, 인디애나주, 일리노이주, 위스콘신주와 접한다. 오대호 중 부피가 2번째로 크다.
|
|
북아메리카 대륙의 동부에 위치한 캐나다와 미국과의 국경 부근에 서로 연쇄해 있는 5개의 호수 . 총면적은 24만 4,940㎢로서, 수면 면적이 세계에서 가장 큰 담수호이다.
|
|
|
캐나다 동부, 퀘벡주를 북동쪽으로 흐르는 강. 길이는 3,060㎞이고, 유역 면적 은 124만 8,000㎢에 이른다. 온타리오호에서 시작하여 미국과의 국경을 이루며 흐르다가, 퀘벡주를 지나 세인트로렌스만으로 들어간다. 이 유역은 캐나다의 심장부로서 몬트리올, 퀘벡 등의 대도시가 있으며, 전 인구의 반이 몰려 살고 있다.
|
|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 미국, 영국, 캐나다 사이에 열린 고도의 비밀적 군사 회담이다.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캐나다 총리의 주최로 1943년 8월 17일부터 24일까지 퀘벡에서 열렸으며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과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가 참석하였다.
|
|
1925년 5월 30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일어난 반제국주의 민중운동을 말한다.
|
|
미국 독립 전쟁의 전후 처리를 위하여 미국과 영국 사이에 맺은 조약(1783년). 영국은 요크타운에서 미국 독립군에게 패하자 1782년 11월에 파리 가평화 조약을 맺고, 1783년 9월 3일에 정식으로 조인하여 전쟁을 끝마쳤다.
|
|
|
마하트마 간디에 의해 시작된 비폭력 저항 운동의 철학이다.
|
|
|
|
과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백인 정권에 의하여 1948년에 법률로 공식화된 인종분리 즉, 남아프리카 공화국 백인정권의 유색인종에 대한 차별 정책.
|
|
• 2025년 9월 11일
|
[1918 ~ 2013]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 흑인 인권 운동가.
|
|
• 2025년 9월 10일
|
1919년 4월 13일 인도 펀자브 주 암리차르에서 영국군이 비무장 인도인 군중에게 발포하여 수백 명이 사망하고 수천 명이 부상당한 사건이다. 사건은 장소의 이름을 따서 '잘리안왈라 바그 학살(Jallianwala Bagh Massacre)'이라고도 불리며, 인도 독립운동의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
|
3, 1일 운동 발발.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
|
|
|
제2차 세계 대전 뒤 중국의 지배권을둘러싸고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 사이에 벌어진 국내전투.
|
|
제2차 세계대전, 대한민국 임시 정부, 건국 강령 발표 및 대일 선전 포고, 8·15 해방, 대한민국 정부 수립
|
|
|
|
|
|
|
|
|
|
|
|
일제의 병참 기지화 정책으로 인해 억압과 수탈이 더욱 심해진 시기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1945)
|
|
|
|
3·1운동 이후 일제의 문화통치 아래 독립운동의 다변화, 사회주의 사상 확산, 근대적 사회·문화 형성이 전개된 시기였다.
|
|
|
|
|
한일병합 이후 무단통치가 시행되며 토지 조사 사업과 식민 지배 기반이 구축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1914 ~ 1918년)
|
|
|
|
|
청나라 말기 북양정부(北洋政府) 시절에 등장한 군벌로 약 30년 이상 중국을 지배하였다. 이홍장(리훙장)(李鴻章)의 직속 군대인 북양군(北洋軍)이 시초이며, 원세개(위안스카이)(袁世凱)를 거치면서 분열하여 다른 지방의 군벌을 압도하였다.
|
|
|
|
• 2025년 9월 9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8년. 순종(純宗)이 승하하고 순종의 장례식을 기해 6·10만세 운동 발발. 나석주, 동양척식회사에 폭탄 투척
|
|
|
|
|
|
|
|
|
|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5년. 9월 일본 도쿄지방에 대지진 발생[關東大震災]. 한국인들 학살당함. 방정환, 어린이날 제정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4년. 방정환, 일본에서 색동회 조직하고 어린이문화 운동 시작
무솔리니, 이탈리아 수상 취임
|
|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3년. 이동휘, 상하에서 고려공산당 결성. 자유시 참변
|
|
|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2년.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에서 독립군 승리. 동아일보, 조선일보 창간
|
|
|
|
이동휘, 하바로프스크에서 한인사회당 결성, 대한독립 선언문 발표
제1차 세계 대전(1914 ~ 1918.11.11). 윌슨, 14개조 평화원칙 제창
|
|
|
|
한강 인도교 완공
제1차 세계 대전 중(1914.7.28 ~ 1918.11.11) 러시아 제국의 멸망. 소련의 성립. (러시아 혁명 발발)
|
|
|
|
|
박중빈, 원불교 창시
제1차 세계대전(1914~1918)
|
|
|
|
|
사라예보 사건,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914.7.28. ~ 1918.11.11.)
블라디보스토크에 대한 광복군 정부 수립
|
|
|
|
|
|
|
대한제국 융희 3년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 총살
|
|
|
|
|
러시아의 세계적인 작가인 막심 고리키의 장편 소설. 작품 《어머니》는 사실주의 경향을 띠고 있으며, 사회주의적인 시각으로 쓴 작품이다.
|
|
|
|
|
|
대한제국 광무 9년, 러·일전쟁
을사늑약 체결
러시아, 피의 일요일 사건
|
|
|
|
|
|
|
|
대한제국 광무 8년 / 한일의정서 체결 / 러·일 전쟁 발발
|
|
|
|
|
대한제국 광무 6년
서울-인천 간 장거리 전화 개통, 최초의 하와이 이민단 출발.
|
|
|
|
|
|
|
|
|
|
|
|
|
• 김영삼 정부(1년차) / 북한 김일설 사망. 성수대교 붕괴
|
|
|
|
적의 대륙간 탄도탄의 발사를조기에 탐지하기 위한 위성.
|
|
자동차나 열차, 선박, 비행기 등 이동체 상호간 또는 이동체와 고정된 지점간의 통신.
|
|
소련과 동유럽 국가들이 공동 연구를 위해 쏘아 올린 과학 관측 위성. 1969년 10월 소련에서 쏘아 올린 제1호를 시작으로 1980년 11월까지 20호를 쏘아 올렸다.
|
|
배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쓰이는 계기의 한 가지.
|
|
궤도상을 비행하는 위성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그 위치, 속도, 궤도 등을 관측하는 일. 추적의 방법으로서는 광학· 레이더·위성으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등이 있다.
|
|
파장이 약 1m 이하인 전파를 통틀어일컫는 말.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극초단파라고도 한다.
|
|
|
|
지상의 방송국에서 정지 궤도상의 위성에 프로그램을 송신하고, 위성이 이것을 증폭하여 지상으로 직접 보내 주는 방식의 방송. 위성으로는 통신 위성 또는 직접 방송 위성(DBS)이 사용된다.
|
|
|
동력원으로 소형 원자로를 실은 인공 위성. 궤도상으로부터의 정찰용 레이더의 전원 또는 이온 엔진, 플라즈마 엔진의 전원 등으로서 큰 출력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발전용 원자로를 싣는다.
|
|
멀리 있는 지상, 지하 대상물의 특성과 현상을 접촉하지 않고 관측하여 정보를 얻는 위성 . 특수한 파장대(波長帶)의 빛으로 지상의 영상 정보(映像情報)를 잡아 이를 해석 처리하는 위성이다. 이런 위성의 종류에는 자원 탐사 위성· 해양 관측 위성· 기상 위성, 그리고 정찰 사진을 찍는 군사 위성 등이 있다.
|
|
|
대한민국의 시험용 인공위성으로, 한국 최초의 국적 인공위성이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다. 모두 카이스트에서 관리하고 있다.
|
|
미국이 개발한 초기의 통신 위성 . 무게 39kg의 원통형 위성으로 1964년 8월 19일 발사되었다. 싱콤 위성은 1호에서 3호까지 발사되었다.
|
|
미국 항공 우주국에서 정지형(靜止型) 통신 위성 실험에 제일 처음 사용한 위성. 동시 통신(synchronous communication)을 줄인 이름이다.
|
|
정찰 위성. 적국(敵國) 또는 가상 적국의 상공을 날며 정찰 사진을 촬영하는 군사 위성을 말한다. 이 위성은 지구에 가까운 궤도를 비행하면서 원하는 지역의 군사· 정치· 경제에 대한 갖가지 정보를 알아 낸다. 대기권 밖의 상공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국제법상 영공 침해라는 제약을 받지 않고 넓은 지역을 탐지할 수 있다.
|
|
|
충청 남도 보은군 마로면 적암리에 건설된 위성 통신 지구국. 충청 북도 금산의 제1, 제2, 제3국에 이어 1985년 1월에 국제 통신의 관문국인 위성 통신 제4국으로 개통되었다.
|
|
|
|
지구 대기 개발 계획의 한 시스템. 미국·유럽· 소련·일본 등이 적도상에 정지 기상 위성을 5개, 궤도 위성을 수 개 쏘아 올려 구름의 분포, 해양 온도 등을 관측하고 있다. 대기의 전 지구적인 흐름을 알고 일기 예보의 향상을 꾀하려는 것이다.
|
|
충청 남도 금산군 금성면 의총리에 있는 위성 통신 지구국.
|
|
과학적인 관측 및 실험을 목적으로 한 인공 위성. 천체 관측 위성, 태양 관측 위성, 지구 관측 위성 등 과학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인공 위성을 통틀어 일컫는다.
|
|
|
|
|
|
지구상의 어떤 지점에서 보내 오는전파를 단순히 반사시킴으로써 지구상의 다른 지점에 중계하는것을 목적으로 하는 위성.
|
|
지구상의 어떤 지점에서 보내 오는전파를 증폭시켜 지구상의 다른 지점에 중계하는 것을 목적으로한 위성.
|
|
• 2025년 9월 8일
|
2007년 12월 6일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반민규명위, 위원장 성대경)가 노무현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한 일제 강점기 중기 친일반민족행위 관련자 195명에 관한 명단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세계 4대 종교 중 하나인 불교에서 말하는 세계의 중심에 솟아 있다고 하는 상상 속의 산. 인도의 산스크리트로는 메루산 또는 수메루산이라고 하며, 한자 로 의역하면 묘광 또는 묘고, 호광이라고도 한다. 산은 물로 가득 차 있는 금륜의 한가운데 서 있으며, 산 주위에 7개의 산맥이 원 모양을 이루며 둘러싸고 있다고 한다.
|
|
|
|
|
|
세계의 중심에 있다고 생각되는 수미산의 중턱에 있는 사왕천의 주신(主神). 사대천왕이나 호세사천왕이라고도 한다. 제석천(帝釋天)에 봉사하며, 불법뿐만 아니라,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들을 수호하는 호법신이다.
|
|
33천 가운데 수미산 꼭대기에 위치해 제석천이 머물고 있다는 이상세계.
|
|
수미산 정상에 있는 도리천을 관장하는 주인으로 불법을 수호하는 신
|
|
|
티베트고원의 중앙에 성립된 고대왕국으로, 617년 송첸캄포에서 842년 랑다르마에 이르기까지 2백여년간 지속된 티베트 지역 역사상 국력이 가장 강했던 왕조였다. 당나라는 이 시기 티베트에서 존속한 왕조를 ‘토번’이라고 불렀고, 이 명칭이 14세기 중순까지 티베트의 통칭으로 사용되었다.
|
|
4세기 인도의 세친 스님이 지은 불전이다. 약칭하여 《구사론(俱舍論)》이라고도 부른다.
|
|
|
집안 사람들의 수명 · 자손 · 운명 · 농업 등을 관장한다는 가신(家神). '삼불(三佛)제석'으로 불리기도 한다. 한국 무(巫)의 신령으로서의 제석은 단군신화(檀君神話)에 나오는 환인(桓因)제석을 기원으로 한다.
|
|
한반도 전역에서 전승되는 제석신의 유래를 이야기한 무속신화.
|
|
|
|
[1324 ~ 1368]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고,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충근절의찬화공신(忠勤節義贊化功臣)이 된 뒤 서령군(瑞寧君)에 봉해짐.
|
|
|
[1336 ~ ?] 고려후기 판도판서, 전라도병마사, 밀직부사상의 등을 역임한 무신.
|
|
|
[1388 ~ 1443] 조선 전기에, 『태재집』 등을 저술한 학자.
|
|
|
|
|
[? ~ 1459]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대구, 아버지는 안주목사(安州牧使) 서미성(徐彌性), 어머니는 권근(權近)의 딸인 안동 권씨(安東權氏)이고, 부인은 죽산 안씨(竹山安氏)이며, 동생은 서거정(徐居正)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