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참여마당 > 최근변경된지식지도
◊ 우선 작업 목록 (최근 변경된 지식지도) ◊
최근 등재 지식지도 중 미정의된 키워드 존재하는 목록
• 2025년 11월 8일
1 【시대】 898년
신라 효공왕 2년, 발해 대위해 5년, 후백제 견훤 7년
도선 (2)
마자르인 (2)
2 【시대】 894년
신라 진성여왕 8년, 발해 대현석 24년, 대위해 원년, 후백제 견훤 3년
마자르인 (2)
3 【시대】 889년
신라 진성여왕 3년, 발해 대현석 19년
아자개
4 【시대】 888년
신라 진성여왕 2년, 발해 대현석 18년
5 【시대】 867년
신라 경문왕 7년, 발해 대건황 11년
6 【시대】 932년
신라 경순왕 6년, 후백제 견훤 41년, 고려 태조 15년
7 【시대】 935년
신라 경순왕 9년, 후백제 견훤 44년, 고려 태조 18년 경순왕, 고려에 귀의, 통일신라 멸망
김봉휴
유검필
8 【시대】 937년
고려 태조 20년
대리국 (3)
형순
9 【시대】 938년
고려 태조 21년
구야
박승
10 【시대】 940년
고려 태조 23년
충담
934년(태조 17년) 9월, 운주성(현 충남 홍성)에서 고려 왕건 군대가 후백제군을 크게 물리친 전투. 이 전투는 후백제가 웅진 이북 지역의 30여 성을 고려에 빼앗기는 결과를 초래했고, 후삼국 통일을 위한 고려의 결정적 승리 중 하나이다. 고려의 장수 유금필이 큰 활약을 펼쳤다.
상달
종훈
최필
훈겸
• 2025년 11월 7일
936년(태조 19),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 지방에서 고려와 후백제 사이에 있었던 대규모 전투.
견권 (3)
공훤
긍준
박수경 (3)
왕무
왕순식
13 【인물】 연주 (連珠)
[? ~ ?] 고려 전기에, 후백제와의 마지막 결전이었던 일리천싸움에 참전했던 무신 · 공신.
견권 (3)
권신 (2)
능식 (2)
마난 (2)
박수경 (3)
훤량
14 【인물】 염상 (廉湘)
[? ~ ?] 고려의 재상이며, 고려 개국공신(開國功臣)이다. 본관은 파주(坡州)이다.
견권 (3)
권신 (2)
능식 (2)
마난 (2)
연주
15 【인물】 한란 (韓蘭)
[853 ~ 916] 청주 한씨의 시조. 고려의 개국공신.
청주 한씨 (2)
16 【인물】 김철 (金鐵)
[? ~ ?] 중화 김씨의 시조이다. 왕건 휘하의 장군 중 하나로, 도이장가(悼二將歌)로 유명한 김락(金樂)의 남동생. 형 김락과 마찬가지로 신라 문성왕의 5세손이자 신라에서 대아찬을 지낸 김무력(金武力)의 아들이다.
박수경 (3)
중화 김씨 (2)
17 【인물】 김락 (金樂)
[? ~ 927] 고려 전기에, 후백제와의 공산전투에서 태조를 구하다 전사한 장군 · 공신.
재충
• 2025년 11월 6일
18 【인물】 지장 (地藏)
[695 ~ 794]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왕자로 당나라에서 출가한 승려.
구화산
• 2025년 11월 5일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세 명의 백수거인(百手巨人)으로, 태초의 신 우라노스와 가이아 사이에서 태어난 괴력의 존재들이다. 이름은 그리스어로 ‘백 개의 손을 가진 자들’을 뜻한다.
기게스
코토스
20 【지식】 퀴클롭스 (Cyclopes)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외눈박이 거인족으로, 강력한 힘과 장인의 솜씨를 상징한다. 이름은 그리스어 kyklos(둥근) + ops(눈)에서 유래하여 “둥근 눈을 가진 자”를 뜻한다
폴리페모스 (2)
21 【지식】 헬리오스 (Helios)
그리스 신화에서 태양을 의인화한 신으로, 매일 황금 마차를 몰아 하늘을 가로지르며 낮을 만들고 세상에 빛을 비추는 존재이다. 그는 올림포스의 주신은 아니지만, 신과 인간 모두에게 없어서는 안 될 우주의 질서를 유지하는 신으로 숭배되었다.
테이아 (8)
파에톤 (2)
22 【지식】 이족 (彝族)
중국의 소수민족의 하나로, 2000년 제5차 전국인구조사 통계에서는 인구는 7,762,286명으로 중국정부가 공인하는 56개의 민족 중에서 8번째로 많다. 중국 외에도 태국, 베트남, 라오스에도 소수가 거주하고 있다.
라싸족
23 【지식】 바이족 (白族)
중국의 소수민족의 하나로, 2000년 제5차 전국인구조사 통계에서는 인구는 1,858,063명으로 중국정부가 공인하는 56개 민족 중 15번째로 많다. 약 2백만 명의 바이족 중 80%는 윈난성 다리 바이족 자치주(大理白族自治州)에 집중되어 있다.
대리국 (3)
24 【시대】 남조 (南詔)
[653 ~ 902] 중국 당나라 때 이족과 바이족이 지금의 윈난성(雲南) 지방에 세운 왕국이다. 조(詔)란 왕(王)의 뜻이다.
대장화
정매사
퓨국
25 【지역】 다리시 (大理市)
중국 윈난성(雲南省) 서북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다리 바이족(白族) 자치주의 주도이다. 해발 약 2,000m의 고지대에 자리 잡고 있으며,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풍부한 소수민족 문화, 그리고 천년 고도의 역사로 유명하다
대리국 (3)
창산
태화성
26 【지식】 노동권 (Labor Rights)
노동권은 인간다운 생활을 누리기 위해 노동자가 주체로서 가지는 기본적인 권리를 통칭한다. 이는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권 중 하나이며, 단순히 경제적 이익을 넘어서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핵심적인 사회적 권리로 간주된다. 노동권은 크게 개별적 근로관계에 대한 권리와 집단적 노사관계에 대한 권리로 나뉜다.
27 【지식】 경제 (經濟)
인간의 생활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재화를 획득하고 이용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활동.
경제재
근로시간을 단축하여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과 충분한 휴식권을 보장하기 위해 2018년 7월부터 시행된 제도이다. 법적으로 명문화된 용어는 아니지만, 기존 주 최대 68시간(법정 40시간 + 연장 12시간 + 휴일근로 16시간)이었던 근로시간을 주 52시간(법정 40시간 + 연장 12시간)으로 제한하는 근로시간 단축 제도를 의미한다.
29 【지식】 기간테스 (Gigantes)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거인족으로, 일반적으로 올림포스 신들의 주요한 적대자로 알려져 있다. 이들의 이름은 그리스어로 '땅에서 태어난 자들'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는 그들의 탄생 배경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30 【지식】 마고 할미 (麻姑----)
중국 신화의 여신이며 한국 신화에서는 할머니 신의 이름이다.
31 【미지정】 거인 (巨人)
인간을 훨씬 능가하는 거대한 몸집과 초인적인 힘을 지닌 존재로, 고대 신화와 전설, 민담 등 전 세계의 구전 및 기록 문화 속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한다.
네피림
요툰
이미르
대한태권도협회(大韓跆拳道協會)의 전신. 1961년 9월 16일 대한태수도협회라는 이름으로 창립되어 1963년 2월 23일에 대한체육회에 가맹하였고 같은해 8월 5일 대한태권도협회로 개칭하였다.
33 【인물】 채명신 (蔡命新)
[1926 ~ 2013] 대한민국의 제3대 감찰위원장, 대한태권도협회 초대 회장, 베트남전 파월 한국군 사령관 등을 지낸 군인.
김운용
34 【인물】 문명기 (文明琦)
[1878 ~ 1968] 일제 강점기 실업가·관료. 다른 이름은 운암(雲巖)이며, 창씨 개명한 이름은 문명기일랑(文明琦一郞)이다. 본관은 안주(安州)이고,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군(盈德郡) 영덕면(盈德面)이다.
광제회
35 【인물】 한상룡 (韓相龍)
[? ~ ?]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진성여왕 대의 문인.
36 【지식】 다라니 (陀羅尼)
부처의 가르침 가운데서 가장 요긴한 부분으로 신비한 힘을 지닌 것으로 믿어지는 주문. 비교적 긴 구절로 되어 있는 주문을 말한다.
범어
37 【인물】 왕거인 (王巨仁)
[? ~ ?]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진성여왕 대의 문인.
대야주
설총열전 (2)
38 【인물】 원걸 (元傑)
[? ~ ?] 삼국시대 신라 시대의 대 문장가.
설총열전 (2)
39 【기관/단체】 사해공론 (四海公論)
1935년에, 사해공론사에서 김해진이 시 · 소설 · 창작번역 · 논문 등을 수록한 잡지. 1939년 11월, 통권 제55호로 종간되었다.
김해진
40 【자연/문화유산】 감은사지 (感恩寺址)
경상 북도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동해안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때의 절터. 사적 제31호.
절터 (2)
41 【지식】 생활 SOC (生活 SOC)
사회간접자본(Social Overhead Capital) 중에서도 국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기반시설을 의미한다.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균형발전을 목표로 한다. 주요 분야는 문화·체육시설, 보육·의료시설, 생활안전 인프라, 녹지공간, 교통·주거편의시설 등이다.
• 2025년 11월 3일
인터넷을 통해 서버, 저장장치,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 컴퓨팅 자원을 필요할 때마다 제공받아 사용하고 관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사용자는 물리적 장비를 직접 소유하지 않고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비용 효율성과 확장성을 제공한다.
IAAS
PAAS
SAAS
양자역학(量子力學)의 원리를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차세대 계산 기술로, 고전적 비트 대신 양자비트(Qubit, 큐비트)를 기본 단위로 사용한다.
디코히런스 (2)
얽힘
중첩
양자컴퓨터는 양자역학(量子力學)의 원리를 이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차세대 계산 장치이다.
디코히런스 (2)
45 【지식】 양자 (量子)
양자(量子, Quantum)는 물리학에서 에너지나 물질, 정보가 연속적으로가 아니라 불연속적인 단위로 존재하고 상호작용한다는 개념이다. 이 용어는 1900년 독일의 물리학자 막스 플랑크(Max Planck)가 흑체복사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하면서 처음 등장하였다.
양자통신 (2)
46 【인물】 황병기 (黃炳基)
[1923 ~ 1998]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이갑룡 (3)
47 【인물】 이문구 (李文求)
[1941 ~ 2003] 해방 이후 『산 너머 남촌』 · 『매월당 김시습』 · 『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 등을 저술한 소설가. 동시시인.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일제강점기 한상룡 관련 주택. 근대적으로 변용된 한옥의 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으며 1977년 민족문화재 제22호로 지정, 현재는 서울역사박물관 분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북촌 (2)
49 【인물】 백인제 (白麟濟)
[1899 ~ ?] 해방 이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대한외과학회 회장 등을 역임한 의사.
50 【인물】 장기려 (張起呂)
[1911 ~ 1995] 대한민국의 외과 의사이다. 부산복음병원 원장, 부산청십자병원 명예원장 등을 지냈다.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51 【인물】 이숭례 (李崇禮)
[? ~ ?] 조선 전기의 인물. 진의부위(振義副尉) 벼슬을 지내고 병조참판에 증직되었다. 본관은 여주(驪州).성리학자로 명성을 떨쳤던 이언적(李彦迪)의 증조부이다.
이권 (2)
• 2025년 11월 2일
일제강점기 말기인 1944년 국내에서 조직된 비밀 항일 독립운동 단체이다. 일본 제국의 패망이 임박했음을 예견하고 다가오는 광복에 대비하여 주체적인 민족 국가 건설을 목표로 결성되었다.
이주현
언어습득을 신경망의 연결 강화와 패턴 인식 과정으로 설명한다. 규칙이나 문법을 명시적으로 학습하기보다, 반복적 노출을 통해 통계적 관계를 학습한다고 본다.
언어습득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한 의사소통 과정에서 이루어진다고 본다. 언어는 개인의 인지능력과 사회적 환경이 결합된 결과물이다.
사회언어학 (2)
조력
언어습득을 인지발달의 한 과정으로 이해한다. 언어는 사고의 발달이 일정 수준에 이르렀을 때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결과로 본다.
도식
인간이 언어습득 능력을 선천적으로 타고난다고 보는 관점이다. 언어는 학습의 결과가 아니라 인간의 유전적 특성으로 내재된 능력이라는 주장이다.
인지언어학 (2)
언어습득을 외부 자극과 반응의 학습 결과로 보는 관점이다. 인간의 언어능력은 선천적 본능이 아니라 환경적 자극과 강화의 반복을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한다.
인간이 언어를 어떻게 배우고 이해하며 사용하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적 틀이다. 주로 아동이 모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언어능력의 선천성과 학습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브루너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생산 전 과정을 자동화·지능화한 첨단 공장을 말한다. 사람, 기계, 설비, 자재 등이 실시간으로 연결되어 효율적이고 유연한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CPS
ERP
MES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데이터, 네트워크, 디지털 플랫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제 활동을 의미한다. 전통적 생산·소비 구조에서 벗어나, 데이터와 알고리즘이 핵심 자원으로 작용하는 새로운 경제 체제이다.
모바일
61 【지식】 컨테이너 (Container)
애플리케이션과 그 실행 환경을 독립적이고 경량화된 단위로 패키징하여, 어디서나 일관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운영체제 수준에서 격리와 자원 관리를 제공하며, 기존 가상머신보다 효율적이고 빠른 배포가 가능하다.
DEVOPS
대규모 컴퓨터 시스템과 네트워크 장비를 중앙 집중적으로 배치하여, 데이터를 저장·처리·관리하는 시설이다. 기업, 기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 등에서 IT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핵심 공간이다.
서버 통합 (2)
스토리지 (2)
서버가상화(Server Virtualization)는 하나의 물리적 서버를 여러 개의 가상 서버(Virtual Server)로 분할하여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하는 가상화 기술이다. 각 가상 서버는 자체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관리 편의성을 제공한다.
서버 통합 (2)
분산형 컴퓨팅(Distributed Computing)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하나의 시스템처럼 연산과 자원 처리를 공동 수행하는 컴퓨팅 패러다임이다. 작업을 여러 노드에 분배하여 처리 속도와 효율을 높이고, 시스템의 신뢰성과 확장성을 강화한다.
HADOOP
MAPREDUCE
SPARK
클라우드 (3)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말 또는 현장 근처의 장치에서 데이터 처리와 분석을 수행하는 분산형 컴퓨팅 기술이다. 중앙 서버나 클라우드로 모든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근거리에서 연산을 처리하여 지연(latency)을 줄이고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업이나 조직의 정보기술 시스템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보안체계 등의 기반 자원을 총칭한다. 효율적 운영과 안정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적 토대 역할을 한다.
스토리지 (2)
클라우드 (3)
가상머신(Virtual Machine, VM)은 물리적 컴퓨터 시스템 위에서 독립적인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반 환경을 말한다. 실제 하드웨어와 유사하게 동작하며, 가상화 기술을 통해 여러 VM이 동시에 한 물리 서버에서 운영될 수 있다.
68 【지식】 가상화 (Virtualization)
물리적 컴퓨터 자원(서버, 저장장치, 네트워크 등)을 논리적으로 추상화하여, 하나의 장비에서 여러 독립 환경을 운영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유연한 관리,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69 【기관/단체】 산대색 (山臺色)
고려시대 산대잡극 공연을 관리하던 관청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는 채붕(綵棚, 화려한 무대) 위에서 공연이 이루어졌으며, 신라의 전통을 이어받은 산대놀이와 관련이 깊다.
나라의 각종 행사나 연회 때 행해지던 노래·춤, 그리고 각종 기예의 총칭. 가무 백희라는 말이 문헌에 처음으로 나타난 것은 《삼국사기》이다.
가곡
땅재주
별곡
수벽
죽방울
줄타기
초거대 언어모델(超巨大 言語模型, Large Language Model; LLM) 또는 대형 언어 모델은 수많은 파라미터(보통 수십억 웨이트 이상)를 보유한 인공 신경망으로 구성되는 언어 모델이다.
자연언어의 통계적 규칙과 의미적 패턴을 학습하여, 주어진 문맥에서 다음 단어를 예측하거나 문장을 생성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말한다.
번역기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설계·구현·운용하는 기술과 이론을 연구하는 공학 분야이다. 전자공학과 컴퓨터과학의 융합 학문으로, 정보처리의 효율성과 지능화를 목표로 한다.
융합 학문 (2)
신경과학(Neuroscience)은 인간과 동물의 신경계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뇌와 신경이 인지, 행동, 감정, 학습 등 정신활동을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탐구한다.
신경
융합 학문 (2)
행동
• 2025년 11월 1일
사회주의의 이념을 선전하거나 사회주의사회 건설을 위하여 투쟁하는 인간을 형상화한 문학.
• 2025년 10월 31일
76 【지식】 자연어 처리 (NLP)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인간 언어를 처리하는 기술로 인간이 사용하는 자연어를 컴퓨터가 이해, 분석,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AI)과 컴퓨터 과학 분야의 기술 체계이다.
의미론 (5)
형태론 (6)
현대 언어학에서 문장이 생성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생성문법(generative grammar)의 한 유형으로, 노엄 촘스키(Noam Chomsky)가 1950년대 후반에 제안한 이론이다.
78 【지식】 통사론 (統辭論)
언어학의 한 분야로, 단어들이 결합하여 문장을 형성하는 구조와 규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다시 말해, 문장의 내부 구조, 어순, 문장 성분 간의 관계 등을 다루며, 인간이 문장을 이해하고 생성하는 방식의 원리를 탐구한다.
문법학
형태론 (6)
79 【인물】 강태홍 (姜太弘)
[1893 ~ 1957] 일제강점기 때, 김창조의 제자로 조선성악연구회에서 활동한 가야금 산조 명인.
김용안 (2)
김춘지 (2)
박귀희 (3)
박차경 (2)
최금란 (2)
80 【자연계】 새 (鳥)
척추동물인 새 무리에 속하는 동물을 통틀어 일컫는 말. 조류(鳥類)라고도 한다.
굴뚝새
멧닭
벌새
쑥독새
오색조
쥐새
지빠귀
펠리컨
홍관조
화식조
81 【인물】 박석언 (朴奭彦)
[1914 ~ 1988] 『동의사상대전』을 저술하였으며, 대한사상의학회 창립과 발전에 일조한 학자.
홍순용
82 【인물】 한두정 (韓斗正)
[1880 ~ ?] 일제강점기 『격치고』, 『명선록』 등을 저술한 학자. 사상의학자.
보원계
이진윤
83 【지식】 유학 (儒學)
중국 춘추시대 말기 공자(孔子)에 의해 집대성된 사상을 근본으로 하는 학문이자 철학 체계이다.
• 2025년 10월 30일
유튜브, 틱톡, 네이버TV, 카카오TV, OTT(넷플릭스, 왓챠 등)과 같은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 자료를 의미한다. 기존 방송이나 영화와 달리, 이용자가 실시간 시청, 다운로드, 공유, 댓글 등 상호작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OTT
소셜미디어 (2)
왓챠
유튜브 (2)
지식재산권 (3)
틱톡
85 【지식】 콘텐츠 (Content)
‘내용물’ 또는 ‘저작물’을 의미하며, 디지털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나 창작물을 가리킨다. 영화, 드라마, 음악, 뮤지컬, 연극,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 캐릭터, 게임, 인터넷·모바일 콘텐츠, 전자책, 영상 플랫폼 콘텐츠 등 다양한 형태가 포함된다.
게임
웹툰
전자책
지식재산권 (3)
캐릭터 (3)
86 【지식】 민생법안 (民生法案)
일반 국민의 생활 안정과 복지, 권익 보호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법안을 의미한다.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거나 사회적 편익을 증진하기 위한 입법을 목표로 한다. 주요 영역에는 복지, 보건, 주거, 교육, 고용, 소비자 보호, 안전 등이 포함된다.
법안
87 【지식】 노인의 날 ( )
대한민국의 기념일로 10월 2일이다. 노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공경의식을 높이기 위하여 만든 기념일이다. 이와 함께 10월을 경로의 달로 지정하였다.
인간이 태어나서 노년에 이르기까지 경험하는 발달 단계와 삶의 과정을 연령 기준으로 구분한 개념이다. 각 단계는 신체적, 정신적, 인지적, 사회적 특성과 역할이 다르며, 교육, 복지, 의료,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노년기
영아기
장년기
89 【지식】 청소년 (靑少年)
신체적·정신적 성장 과정에서 아동기와 성인기 사이에 있는 사람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춘기를 거치며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사회적 역할을 배우는 시기이다. 대한민국의 「청소년기본법」에서는 만 9세 이상 24세 이하를 청소년으로 규정한다.
90 【지식】 대체어 (代替語)
기존의 단어나 표현을 대신하여 사용하는 어휘로, 언어학적·사회언어학적 맥락에서 다르게 사용된다.
사회언어학 (2)
의미론 (5)
91 【지식】 기후변화 (氣候變化)
지구의 기후 체계가 오랜 기간에 걸쳐 평균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는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조선 후기, 특히 19세기 삼정(三政) 문란기 이후의 사회적 부패와 모순을 폭로하고 민중의 고통을 노래한 가사 문학을 말한다. 넓게는 사회의 부조리·불평등·지배층의 부패를 노래를 통해 비판한 작품을 가리키지만, 한국 문학사에서는 주로 봉건 질서의 붕괴기에 등장한 비판적 현실 인식 가사를 의미한다.
거창가
93 【자연계】 티타늄 (Titanium)
은회색의 전이금속으로, 가볍고 강하며 내식성이 뛰어난 성질을 지닌 원소이다. 원자번호는 22, 원자량은 약 47.87이며, 주기율표상 4족에 속한다.
94 【인물】 존 제이 (John Jay)
[1745 ~ 1829] 미국의 정치가, 외교관, 법조인으로, 미국 독립 이후 국가의 기초 제도 수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는 미국 초대 대법원장(1789~1795)으로서 연방 사법제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미국 헌법의 비준을 지지한 《페더럴리스트 페이퍼》의 공동 저자 중 한 명이었다.
미국 역사 (10)
• 2025년 10월 29일
95 【인물】 안숙선 (安淑善)
[1949 ~ ]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흥보가 이수자이자, 국악계의 대표적인 여성 명창이다.
김나니 (2)
김준수 (2)
박애리 (2)
대한민국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이산화탄소 순배출 ‘0’)을 실현하기 위해 제정한 국가 기본법이다.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법률로, 2021년 9월 국회를 통과해 2022년 3월 25일부터 시행되었다.
탄소세
유럽연합(EU)이 2019년 발표한 기후변화 대응 및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으로, 2050년까지 탄소중립(Net Zero)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종합정책이다. 경제 성장과 환경 보존을 동시에 달성하려는 유럽판 녹색전환 전략으로 평가된다
기후법
수소차
기존의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생산·소비 구조를 벗어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체계로 바꾸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단순히 에너지원의 교체를 넘어, 사회·경제·기술·정책 전반의 구조적 변화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인류가 사용하는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와 같은 한정된 자원의 고갈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위기를 의미한다. 이는 에너지 수요의 지속적 증가와 공급의 한계가 맞물려 나타나는 구조적 문제로, 산업 활동, 교통, 전력 생산 등 인류 문명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100 【지식】 광전자 (光電子)
빛(광자, photon)의 에너지를 흡수한 물질(주로 금속)의 표면에서 방출되는 전자를 말한다. 이는 광전효과(光電效果, Photoelectric Effect) 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190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이 광양자설을 통해 그 원리를 이론적으로 설명하였다.
빛이 연속적인 파동이 아니라, 일정한 에너지를 가진 불연속적인 입자 ― 즉 ‘광자(光子, photon)’ ― 로 이루어져 있다는 이론이다. 190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이 제안하여 빛의 입자성과 에너지 전달 방식을 설명하였다.
광센서
양자전자학 (2)
양자통신 (2)
태양전지 (3)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 직각으로 진동하며 파동 형태로 공간을 전파한다는 이론으로, 빛을 포함한 모든 전자기 복사의 본질을 설명한다. 19세기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James Clerk Maxwell)에 의해 체계적으로 정립되었으며, 현대 물리학과 통신 기술의 기반을 이루는 핵심 이론이다.
양자전자학 (2)
103 【지식】 분광기 (分光器)
프리즘 등을 써서 빛의 스펙트럼을 조사하는 광학 기구. 빛을 분해하는 장치로서 프리즘 분광기, 희절 분광기, 간섭 분광기 등으로 나뉜다.
104 【지식】 현미경 (顯微鏡)
렌즈를 짜 맞추어 작은 물체를 크게 확대하여보는 광학 기계.
광물이나 암석의 구조를 관찰하는 현미경. 편광을 이용하여 관찰하기 때문에 ' 편광 현미경 '이라고도 한다. 또한, 광물을 관찰한다고 하여 '광물 현미경'이라고도 한다.
전기석 (2)
참 여 마 당
◈ 지식지도(추가)
• 최근변경된지식지도
◈ 지식지도(수정)
◈ 지식지도(연결)
◈ 참조자료
◈ 참여마당
about 참여마당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4년 7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