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참여마당 > 최근추가된지식지도
◊ 우선 작업 목록 (최근 추가된 지식지도) ◊
최근 등재 지식지도 중 미정의된 키워드 존재하는 목록
• 2025년 9월 12일
1 【시대】 1958년
• 제1공화국 (10년차) / 진보당사건 발생. 대민의원 선거 실시
EEC
EURATOM
2 【시대】 1957년
• 제1공화국 (9년차) /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우주선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
유도회
유지광
3 【시대】 1956년
• 제1공화국 (8년차) / 제3대 정˙부통령선거 실시. 대통령에 자유당 이승만(李承晩), 부통령에 민주당의 장면(張勉) 당선됨.
전락
4 【시대】 1955년
• 제1공화국 (7년차) / 한.미 잉여농산물 원조협정 조인 제1차 아시아, 아프리카 회의 개최
5 【시대】 1954년
• 제1공화국 (6년차) / 사사오입 개헌
6 【시대】 1953년
• 제1공화국 (5년차) / 휴전협정 조인, 제1차 통화개혁 실시
7 【시대】 1950년
• 제1공화국 (2년차) / 6.25전쟁 발발
8 【시대】 1949년
• 제1공화국 (1년차) / 국회프락치 사건. 김구 피살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9 【시대】 1948년
제1공화국 출범 / 남한 총선거 실시,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승만 초대 대통령 취임. 제주 4,3사건. 여순반란
10 【시대】 1947년
여운형, 장덕수 피살
가트
서윤복
11 【시대】 1946년
신탁통치 문제로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반탁운동 일어남
12 【시대】 194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27년. 8.15해방, 북위 38도선 남북에 미,소 양군 각각 진주. 송진우 피살 제2차 세계대전 종료(1939~ ) 5월 7일, 독일이 무조건 항복, 8월 15일. 일본의 무조건 항복. 국제연합 성립(1945년)
군정
13 【시대】 1944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26년. 여자정신대근무령 공포, 20여만 명이 정신대로 끌려감 제2차 세계대전 중(1939 ~ 1945)
14 【시대】 1943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25년. 학병제 실시 제2차 세계대전 중(1939 ~ 1945)
15 【시대】 194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23년. 제2차 세계 대전(1939 ~ 1945). 12월 7일, 일본군이 하와이 진주만을 기습, 태평양 전쟁 시작.
16 【시대】 193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21년. 9월 1일, 독일군이 폴란드를 침공, 제2차 세계대전 시작( ~ 1945)
17 【시대】 1938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20년. 국가총동원법 공포, 전시통제체제 시행, 한글 교육 금지됨
18 【시대】 1937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9년. 중·일전쟁(中日戰爭) 발발.
19 【시대】 1936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8년. 손기정, 베를린 올림픽 대회 마라톤 우승. 일장기 말소 사건
프랑코
20 【시대】 193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7년.
21 【시대】 1934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6년. 부산-장춘 간 직통열차 운행 개시, 진단학회 설립 중국 홍군, 대장정 시작, 히틀러, 독일총통에 취임
쑹칭링
22 【시대】 1933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5년. 조선어학회, (한글맞춤법통일안)제정 루스벨트의 뉴딜 정책
23 【시대】 1932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4년. 이봉창, 윤봉길 의거
24 【시대】 193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3년. 9월 18일. 일본이 만주를 침공한다
우가키
임삼
차이석
25 【시대】 193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2년.
발가스
26 【시대】 192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1년. 광주학생운동 발발, 원사총파업. 세계 대공황 발생
근우회
울프
• 2025년 9월 11일
27 【지식】 맞춤법 (----法)
말을 글자로 적을 때 일정한 원칙에 맞도록쓰는 법.
표음
28 【지식】 문장 (文章)
어떤 생각이나 느낌을, 줄거리를 세워서 글자로 나타낸 것. 낱낱의 글자가 모여서 낱말을 이루고, 낱말이 모여서 글 도막을 이룬다. 이러한 글 도막들이 모여서 비로소 하나의 글을 이룬다.
기록문
29 【지식】 5도 양계 (五道兩界)
고려 시대의 지방 행정 구역. 고려 는 건국 이래 지방 행정 구역이 여러 번 바뀌었는데, 현종 때인 1018년에 5도 양계로 나누고, 특히 양계에는 병마사 를 보내어 북방의 소란을 막게 하였다.
30 【기관/단체】 청년 튀르크당 (Young Turks)
터키 최초의 정당. 1891년에 오스만 제국의 전제 정치를 무너뜨린 후 입헌 정치를 실현하여, 터키를 근대화시키기 위해 조직된 민족주의 단체였다.
신라 진성 여왕 때의 이름난 궁수 거타지에 관한 설화. 《삼국유사》 권2 기이편의 제2 '진성 여왕 거타지조'에 자세히 나온다.
용왕
숙종~영조 연간의 작품인 듯하며, 「경세설(警世說)」 이라고도 한다. 경세(警世)와 훈민(訓民)을 위해서 엮은 것으로 서민사회의 풍습 ․생활상 등을 솔직하고 예리하게 표현하고 있다.
가족가
개몽가
경신가
부부가
붕우가
사군가
오륜가
장유가
치산가
• 2025년 9월 10일
채소류를 색깔에 따라 분류한 것 중에서 녹색을 띤 황색 채소. 비타민의 급원 식품으로, 시금치, 풋고추, 피망, 깻잎, 당근 등과 같이 녹색이나 황색을 띤 채소이다.
깻잎
풋고추
34 【지식】 위 (胃)
동물의 소화 기관의 하나.
위하수
위확장
35 【지식】 변비증 (便秘症)
대변이 잘 나오지 않고 오랫동안 장(腸)속에 남아 있는 증세.
섬유질
개정 식사의 한 가지. 보통 때의 식사보다 섬유질이 많이 들어 있는 식사이다. 창자의 운동을 활발하게 하기 위한 자극을 주려고 하는 식사 방법이며, 변비증의 치료에 쓰인다.
섬유질
죽순
개정 식사의 한 가지. 당뇨병 에 대한 식이 요법으로 하는 식사이다.
섬유질
음식물의 질이나 양 및 성분 등을 조절하여 질병을 치료하고자 하는 방법. 주로 당뇨병, 위장병, 고혈압, 심장병, 신장병, 비만증, 간질환 및 열이 있는 병 등에 쓰인다.
간질환
39 【시대】 1993년
제14대 김영삼 대통령 취임. 소말리아 UN 활동 참여, 금융실명제 실시
40 【지역】 사해 (死海)
아라비아 반도의 북서쪽 요르단과 이스라엘 의 두 나라에 걸쳐 있고, 지중해안에서 약 100km 내륙에 있는 짠물 호수. 동서 너비 15km, 남북 길이 약 80km로 면적은 1,020km²에 이르고, 가장 깊은 곳은 399m이다.
오대호 중 하나로, 오대호 중 유일하게 호수 전체가 미국 영토에 포함된다.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차례대로 미시간주, 인디애나주, 일리노이주, 위스콘신주와 접한다. 오대호 중 부피가 2번째로 크다.
휴런호
42 【지역】 오대호 (五大湖)
북아메리카 대륙의 동부에 위치한 캐나다와 미국과의 국경 부근에 서로 연쇄해 있는 5개의 호수 . 총면적은 24만 4,940㎢로서, 수면 면적이 세계에서 가장 큰 담수호이다.
휴런호
캐나다 동부, 퀘벡주를 북동쪽으로 흐르는 강. 길이는 3,060㎞이고, 유역 면적 은 124만 8,000㎢에 이른다. 온타리오호에서 시작하여 미국과의 국경을 이루며 흐르다가, 퀘벡주를 지나 세인트로렌스만으로 들어간다. 이 유역은 캐나다의 심장부로서 몬트리올, 퀘벡 등의 대도시가 있으며, 전 인구의 반이 몰려 살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 미국, 영국, 캐나다 사이에 열린 고도의 비밀적 군사 회담이다.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캐나다 총리의 주최로 1943년 8월 17일부터 24일까지 퀘벡에서 열렸으며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과 윈스턴 처칠 영국 총리가 참석하였다.
45 【사건】 5·30사건 (五卅事件)
1925년 5월 30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일어난 반제국주의 민중운동을 말한다.
미국 독립 전쟁의 전후 처리를 위하여 미국과 영국 사이에 맺은 조약(1783년). 영국은 요크타운에서 미국 독립군에게 패하자 1782년 11월에 파리 가평화 조약을 맺고, 1783년 9월 3일에 정식으로 조인하여 전쟁을 끝마쳤다.
마하트마 간디에 의해 시작된 비폭력 저항 운동의 철학이다.
과거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백인 정권에 의하여 1948년에 법률로 공식화된 인종분리 즉, 남아프리카 공화국 백인정권의 유색인종에 대한 차별 정책.
• 2025년 9월 11일
[1918 ~ 2013]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 흑인 인권 운동가.
• 2025년 9월 10일
1919년 4월 13일 인도 펀자브 주 암리차르에서 영국군이 비무장 인도인 군중에게 발포하여 수백 명이 사망하고 수천 명이 부상당한 사건이다. 사건은 장소의 이름을 따서 '잘리안왈라 바그 학살(Jallianwala Bagh Massacre)'이라고도 불리며, 인도 독립운동의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51 【시대】 1919년
3, 1일 운동 발발.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제2차 세계 대전 뒤 중국의 지배권을둘러싸고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 사이에 벌어진 국내전투.
53 【시대】 1940년대
제2차 세계대전, 대한민국 임시 정부, 건국 강령 발표 및 대일 선전 포고, 8·15 해방, 대한민국 정부 수립
54 【시대】 1930년대
일제의 병참 기지화 정책으로 인해 억압과 수탈이 더욱 심해진 시기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1945)
55 【시대】 1920년대
3·1운동 이후 일제의 문화통치 아래 독립운동의 다변화, 사회주의 사상 확산, 근대적 사회·문화 형성이 전개된 시기였다.
다이쇼
북벌
56 【시대】 1910년대
한일병합 이후 무단통치가 시행되며 토지 조사 사업과 식민 지배 기반이 구축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1914 ~ 1918년)
57 【시대】 1928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10년
58 【기관/단체】 북양군벌 (北洋軍閥)
청나라 말기 북양정부(北洋政府) 시절에 등장한 군벌로 약 30년 이상 중국을 지배하였다. 이홍장(리훙장)(李鴻章)의 직속 군대인 북양군(北洋軍)이 시초이며, 원세개(위안스카이)(袁世凱)를 거치면서 분열하여 다른 지방의 군벌을 압도하였다.
북벌
• 2025년 9월 9일
59 【시대】 1926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8년. 순종(純宗)이 승하하고 순종의 장례식을 기해 6·10만세 운동 발발. 나석주, 동양척식회사에 폭탄 투척
60 【시대】 192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7년
다스
61 【시대】 1924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6년
62 【시대】 1923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5년. 9월 일본 도쿄지방에 대지진 발생[關東大震災]. 한국인들 학살당함. 방정환, 어린이날 제정
63 【시대】 1922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4년. 방정환, 일본에서 색동회 조직하고 어린이문화 운동 시작 무솔리니, 이탈리아 수상 취임
북벌
64 【시대】 192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3년. 이동휘, 상하에서 고려공산당 결성. 자유시 참변
65 【시대】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 臨時政府) 2년.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에서 독립군 승리. 동아일보, 조선일보 창간
66 【시대】 1918년
이동휘, 하바로프스크에서 한인사회당 결성, 대한독립 선언문 발표 제1차 세계 대전(1914 ~ 1918.11.11). 윌슨, 14개조 평화원칙 제창
67 【시대】 1917년 ( )
한강 인도교 완공 제1차 세계 대전 중(1914.7.28 ~ 1918.11.11) 러시아 제국의 멸망. 소련의 성립. (러시아 혁명 발발)
후스
68 【시대】 1916년
박중빈, 원불교 창시 제1차 세계대전(1914~1918)
69 【시대】 1914년 ( )
사라예보 사건, 제1차 세계대전 발발 (1914.7.28. ~ 1918.11.11.) 블라디보스토크에 대한 광복군 정부 수립
70 【시대】 1913년
안창호, 로스앤젤레스에서 홍사단 결성
71 【시대】 1912년
일제에 의한 토지 조사 사업 시작
72 【시대】 1909년
대한제국 융희 3년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 총살
73 【시대】 1908년
대한제국 융희 2년
74 【작품】 어머니 (-)
러시아의 세계적인 작가인 막심 고리키의 장편 소설. 작품 《어머니》는 사실주의 경향을 띠고 있으며, 사회주의적인 시각으로 쓴 작품이다.
75 【시대】 1906년
대한제국 광무 10년 일본, 통감부 설치
76 【시대】 1905년
대한제국 광무 9년, 러·일전쟁 을사늑약 체결 러시아, 피의 일요일 사건
77 【시대】 1904년
대한제국 광무 8년 / 한일의정서 체결 / 러·일 전쟁 발발
78 【시대】 1903년
대한제국 광무 7년
66함대
79 【시대】 1902년
대한제국 광무 6년 서울-인천 간 장거리 전화 개통, 최초의 하와이 이민단 출발.
80 【시대】 1901년
대한제국 광무 5년
US스틸
증산교
81 【시대】 1900년
대한제국 광무 4년
82 【시대】 1994년
• 김영삼 정부(1년차) / 북한 김일설 사망. 성수대교 붕괴
적의 대륙간 탄도탄의 발사를조기에 탐지하기 위한 위성.
자동차나 열차, 선박, 비행기 등 이동체 상호간 또는 이동체와 고정된 지점간의 통신.
소련과 동유럽 국가들이 공동 연구를 위해 쏘아 올린 과학 관측 위성. 1969년 10월 소련에서 쏘아 올린 제1호를 시작으로 1980년 11월까지 20호를 쏘아 올렸다.
배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쓰이는 계기의 한 가지.
궤도상을 비행하는 위성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그 위치, 속도, 궤도 등을 관측하는 일. 추적의 방법으로서는 광학· 레이더·위성으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등이 있다.
88 【지식】 마이크로파 (micro波)
파장이 약 1m 이하인 전파를 통틀어일컫는 말.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극초단파라고도 한다.
지상의 방송국에서 정지 궤도상의 위성에 프로그램을 송신하고, 위성이 이것을 증폭하여 지상으로 직접 보내 주는 방식의 방송. 위성으로는 통신 위성 또는 직접 방송 위성(DBS)이 사용된다.
동력원으로 소형 원자로를 실은 인공 위성. 궤도상으로부터의 정찰용 레이더의 전원 또는 이온 엔진, 플라즈마 엔진의 전원 등으로서 큰 출력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발전용 원자로를 싣는다.
멀리 있는 지상, 지하 대상물의 특성과 현상을 접촉하지 않고 관측하여 정보를 얻는 위성 . 특수한 파장대(波長帶)의 빛으로 지상의 영상 정보(映像情報)를 잡아 이를 해석 처리하는 위성이다. 이런 위성의 종류에는 자원 탐사 위성· 해양 관측 위성· 기상 위성, 그리고 정찰 사진을 찍는 군사 위성 등이 있다.
92 【지식】 우리별 위성 ( )
대한민국의 시험용 인공위성으로, 한국 최초의 국적 인공위성이라는 타이틀을 갖고 있다. 모두 카이스트에서 관리하고 있다.
93 【사물/장비】 싱콤 위성 (syncom衛星)
미국이 개발한 초기의 통신 위성 . 무게 39kg의 원통형 위성으로 1964년 8월 19일 발사되었다. 싱콤 위성은 1호에서 3호까지 발사되었다.
미국 항공 우주국에서 정지형(靜止型) 통신 위성 실험에 제일 처음 사용한 위성. 동시 통신(synchronous communication)을 줄인 이름이다.
정찰 위성. 적국(敵國) 또는 가상 적국의 상공을 날며 정찰 사진을 촬영하는 군사 위성을 말한다. 이 위성은 지구에 가까운 궤도를 비행하면서 원하는 지역의 군사· 정치· 경제에 대한 갖가지 정보를 알아 낸다. 대기권 밖의 상공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국제법상 영공 침해라는 제약을 받지 않고 넓은 지역을 탐지할 수 있다.
충청 남도 보은군 마로면 적암리에 건설된 위성 통신 지구국. 충청 북도 금산의 제1, 제2, 제3국에 이어 1985년 1월에 국제 통신의 관문국인 위성 통신 제4국으로 개통되었다.
미국 공군의 초기 정찰용인공 위성.
지구 대기 개발 계획의 한 시스템. 미국·유럽· 소련·일본 등이 적도상에 정지 기상 위성을 5개, 궤도 위성을 수 개 쏘아 올려 구름의 분포, 해양 온도 등을 관측하고 있다. 대기의 전 지구적인 흐름을 알고 일기 예보의 향상을 꾀하려는 것이다.
충청 남도 금산군 금성면 의총리에 있는 위성 통신 지구국.
100 【지식】 과학 위성 (科學衛星)
과학적인 관측 및 실험을 목적으로 한 인공 위성. 천체 관측 위성, 태양 관측 위성, 지구 관측 위성 등 과학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인공 위성을 통틀어 일컫는다.
101 【사물/장비】 NOAA 위성 (NOAA衛星)
미국의 실용형 기상 위성.
102 【지식】 수동 위성 (受動衛星)
지구상의 어떤 지점에서 보내 오는전파를 단순히 반사시킴으로써 지구상의 다른 지점에 중계하는것을 목적으로 하는 위성.
103 【지식】 능동 위성 (能動衛星)
지구상의 어떤 지점에서 보내 오는전파를 증폭시켜 지구상의 다른 지점에 중계하는 것을 목적으로한 위성.
• 2025년 9월 8일
2007년 12월 6일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반민규명위, 위원장 성대경)가 노무현 대통령과 국회에 보고한 일제 강점기 중기 친일반민족행위 관련자 195명에 관한 명단이다.
강대련
강병옥
강인수
강필성
강현묵
계란수
고피득
고희경
고희준
곽법경
김경환
김극일
김기영
김동렬
김동한
김명규
김명여
김서규
김선흠
김송렬
김여백
김연상
김영수
김영택
김완진
김용국
김윤복
김은성
김응선
김응준
김재곤
김제하
김준용
김춘희
김필희
김해룡
김현수
김희작
남규희
노창안
류창렬
민상호
민영규
민영린
민형식
박경석
박기순
박기양
박두영
박만서
박봉순
박봉주
박승봉
박영래
박원식
박이양
박정순
박제빈
박제선
박제환
박춘금
박흥규
박희양
방규환
방인혁
백낙삼
백형린
석진형
성기운
손지환
송순기
송지헌
신응희
신태유
심의진
양성순
양재하
어담
어윤적
엄주익
예종석
오재풍
유두환
유맹
유빈겸
유승운
유정수
유중희
유흥세
윤정현
윤태빈
윤필오
은한섭
이건춘
이경빈
이경재
이근상
이근호
이기동
이기승
이도익
이동성
이만규
이명섭
이범래
이선홍
이승칠
이완구
이용원
이용태
이응준
이인수
이재각
이재완
이정근
이정로
이택현
이하영
이항직
이해수
이회광
이희덕
장인원
장지량
장홍식
전병하
정동식
정봉시
정인하
정재학
정진홍
조동윤
조병건
조병교
조성근
조성엽
조영희
조진호
조희붕
조희창
주림
진용섭
천장욱
최석하
최정규
최정덕
피성호
한상봉
한영휘
허기락
허기열
허진
허진성
현시달
현헌
홍승구
홍승근
홍충현
105 【지역】 수미산 (須彌山)
세계 4대 종교 중 하나인 불교에서 말하는 세계의 중심에 솟아 있다고 하는 상상 속의 산. 인도의 산스크리트로는 메루산 또는 수메루산이라고 하며, 한자 로 의역하면 묘광 또는 묘고, 호광이라고도 한다. 산은 물로 가득 차 있는 금륜의 한가운데 서 있으며, 산 주위에 7개의 산맥이 원 모양을 이루며 둘러싸고 있다고 한다.
도솔천
사왕천
야마천
106 【지식】 사천왕 (四天王)
세계의 중심에 있다고 생각되는 수미산의 중턱에 있는 사왕천의 주신(主神). 사대천왕이나 호세사천왕이라고도 한다. 제석천(帝釋天)에 봉사하며, 불법뿐만 아니라,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들을 수호하는 호법신이다.
천왕문
107 【지식】 도리천 (忉利天)
33천 가운데 수미산 꼭대기에 위치해 제석천이 머물고 있다는 이상세계.
선견천
108 【지식】 제석천 (帝釋天)
수미산 정상에 있는 도리천을 관장하는 주인으로 불법을 수호하는 신
샤크라
인드라
109 【지식】 토번 (吐蕃)
티베트고원의 중앙에 성립된 고대왕국으로, 617년 송첸캄포에서 842년 랑다르마에 이르기까지 2백여년간 지속된 티베트 지역 역사상 국력이 가장 강했던 왕조였다. 당나라는 이 시기 티베트에서 존속한 왕조를 ‘토번’이라고 불렀고, 이 명칭이 14세기 중순까지 티베트의 통칭으로 사용되었다.
4세기 인도의 세친 스님이 지은 불전이다. 약칭하여 《구사론(俱舍論)》이라고도 부른다.
111 【지식】 제석 (帝釋)
집안 사람들의 수명 · 자손 · 운명 · 농업 등을 관장한다는 가신(家神). '삼불(三佛)제석'으로 불리기도 한다. 한국 무(巫)의 신령으로서의 제석은 단군신화(檀君神話)에 나오는 환인(桓因)제석을 기원으로 한다.
인드라
112 【지식】 당금애기 ( )
한반도 전역에서 전승되는 제석신의 유래를 이야기한 무속신화.
제석굿
제석신
113 【인물】 유숙 (柳淑)
[1324 ~ 1368]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기철(奇轍)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고,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충근절의찬화공신(忠勤節義贊化功臣)이 된 뒤 서령군(瑞寧君)에 봉해짐.
유성계
114 【인물】 유실 (柳實)
[1336 ~ ?] 고려후기 판도판서, 전라도병마사, 밀직부사상의 등을 역임한 무신.
김밀
변안열
115 【인물】 유방선 (柳方善)
[1388 ~ 1443] 조선 전기에, 『태재집』 등을 저술한 학자.
경현원
이안유
조상치
116 【인물】 서거광 (徐居廣)
[? ~ 1459]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대구, 아버지는 안주목사(安州牧使) 서미성(徐彌性), 어머니는 권근(權近)의 딸인 안동 권씨(安東權氏)이고, 부인은 죽산 안씨(竹山安氏)이며, 동생은 서거정(徐居正)이다.
참 여 마 당
◈ 지식지도(추가)
• 최근추가된지식지도
◈ 지식지도(수정)
◈ 지식지도(연결)
◈ 참여마당
about 참여마당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4년 7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