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참여마당 > 최근추가된지식지도
◊ 우선 작업 목록 (최근 추가된 지식지도) ◊
최근 등재 지식지도 중 미정의된 키워드 존재하는 목록
• 2025년 7월 13일
서울 지방 휘몰이잡가. 민족항일기의 경서도(京西道) 명창 박춘재(朴春載)에 의하면 한말에 서울 풀무골(冶洞)의 소리꾼 이현익(李鉉翼)이 지은 곡이라고 한다. 신식군대의 조련(操鍊)과 단발령 선포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박춘재
이현익
서울, 경기 지방에서 불리던 잡가 . 십이 잡가와 휘모리 잡가가 있다.
3 【인물】 왕양명 (王陽明)
[1472 ~ 1528] 중국 명나라 때의 유학자. 이름은 수인(守仁)이고, 양명은 호이다.
4 【지식】 훈고학 (訓詁學)
유교 경전을 정리, 주해하여 문장을 바르게 해석하고 고전 본래의 사상을 이해하려는 학문. 한대 학문의 중심이 되었고 당대에 성하였다.
가규
5 【지식】 행서 (行書)
한자체의 한 가지. 후한 초기의 유승덕(劉升德)에 의해 비롯되었다고 하나 확실하지 않다. 해서와 초서의 중간 정도 되는 서체로 해서의 획을 조금 흘린 것이다.
유승덕
6 【인물】 손과정 (孫過庭)
[648? ~ 703?] 중국 당나라 초기의 서예가. 글씨는 왕희지의 서법을 배워 초서를 잘 썼다.
7 【인물】 이징 (李澄)
[1581~ ?] 조선시대 중기의 화가이다. 자는 자함(子函), 호는 허주(虛舟),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화가 이경윤(李慶胤)의 서자이다. 조선 인조 때 화원(畵員)으로서, 문신직의 6품(品)에 임명되었다.
이경윤
8 【기관/단체】 서화미술회 (書畵美術會)
1911년에 설립되었던 미술교육기관.
강진희
강필주
박승무
오일영
윤영기
이도영
정대유
최우석
9 【인물】 조석진 (趙錫晋)
[1853 ~ 1920]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의 화가로, 호는 소림(小琳), 본관은 함안(咸安), 초명은 태원(台源), 자는 응삼(應三) 황해도 옹진 출신이다.
박승무
오일영
최우석
1918년 탄생한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적미술 단체.
강진희
강필주
윤영기
이도영
정대유
정학수
일제강점기에 개최된 미술 공모전이다. 약칭 선전(鮮展), 조선미전(朝鮮美展)으로도 불렸다.
12 【인물】 허백련 (許百鍊)
[1893 ~ 1977] 동양 화가. 호는 의재(毅齋)이며, 전라 남도 진도에서 태어났다. 그는 남종화(南宗畵)의 대가로서 많은 전시회를 가졌으며, 국민 훈장 무궁화장을 받았다.
13 【인물】 허건 (許楗)
[1907 ~ 1987] 동양 화가. 조선 말기의 이름난 화가인 소치(小痴) 허유의 손자이며 허영을 아버지로 하여 3대째 화맥(畵脈)을 이어 온 그는, 조선 후기에서 근대와 현대에 이르는 남종화(南宗畵) 역사의 산 증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허림
허영
14 【인물】 허형 (許灐)
[1862 ~ 1938] 일제강점기 제2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하경산수」 로 입선한 화가. 본관은 양천(陽川), 본명은 결(潔), 전주 출신이다. 소치(小癡) 허련(許鍊)의 넷째 아들로 가업(家業)인 화가의 길을 걸었다.
허림
15 【인물】 허련 (許鍊)
[1809 ~ 1892] 조선 말기의 선비 화가이다. 본관은 양천(陽川)이고, 자는 마힐(摩詰), 호는 소치(小痴)·노치(老痴)·석치(石痴)이다. 주요작품 : 「선면산수도」 · 「김정희초상」
16 【인물】 한호 (韓濩)
[1543 ~ 1605] 조선 중기의 명필. 호는 석봉(石峯)이다. 우리 나라 서예계에서 김정희와 쌍벽을 이룬다. 그의 필적으로 《석봉서법》 《석봉천자문》 등이 모간(模刊)되었고, 친필은 별로 남은 것이 없으나 그가 쓴 비문(碑文)은 많이 남아 있다.
17 【지식】 첩학파 (帖學派)
중국 청나라때 서예 유파로 법첩(法帖)에 새겨진 두 왕을 비롯해 위 • 진 • 남조인의 서를 전형으로 배우는 파로 진인(晉人)의 기풍을 전하는 미불, 조맹부, 동기창 등의 글씨를 배우는 사람들도 포함하여 일컫는다.
비학파
양동서
18 【인물】 유용 (劉墉)
[1719 ~ 1804] 중국 청나라 때의 서예가. 호는 석암(石庵)이다. 산둥성에서 태어나 33세 때에 진사에 급제하여 태자대보를 지냈으며, 학문과 시에 뛰어났다. 특히 글씨를 잘 썼으며, 첩학파(帖學派 : 중국 서예의 한 파)의 대성자(大成者)로 알려져 있다.
• 2025년 7월 12일
19 【인물】 사을화동 (沙乙火同)
[? ~ 1590] 조선의 인물이자 순왜 중의 한 사람. 기록에 따라 살배동(乷背同), 사화동(沙火同), 살화동(乷火同), 사을포동(沙乙蒲同) 등으로도 표기했다.
20 【작품】 의산문답 (醫山問答)
1766년(조선 영조 42년) 홍대용이 지은 책으로서, 《담헌서(湛軒書)》내집에 보유로 포함되어 있다. 북학파 실학자인 홍대용의 통합과학적 사상을 종합적으로 보여 주었다는 평을 받고 있다.
담헌서
21 【인물】 김재준 (金在俊)
[1901 ~ 1987] 해방 이후 『낙수』, 『요한계시록 주석』, 『황야에 외치는 소리』 등을 저술한 신학자이자 목사, 재야 민주화운동가.
강원룡
김익두
안병무
22 【지역】 거제도 (巨濟島)
경상남도 거제시의 본섬으로, 제주도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2번째로 큰 섬이다. 면적은 382.2 km2(거제시 전체의 면적은 403.86km2)이다.
가덕도
조선예수교장로회 공의회를 모체로 출범한 한국 장로교의 한 교단.
한상동
24 【인물】 박완서 (朴婉緖)
[1931 ~ 2011]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본관은 반남(潘南)이며 경기도 개풍군 출생이다. 40세의 나이에 《여성동아》 장편 소설 공모전에 〈나목〉(裸木)으로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등단한 이후 꾸준히 소설과 산문을 쓰며 작가로 활동하였다.
박명성
한말숙
25 【인물】 주희 (朱熹)
[1130 ~ 1200] 중국 남송 시대의 유학자. 호는 회암(晦庵), 회옹(晦翁), 운곡산인(雲谷山人) 등이고, 시호는 문공(文公)이다. 후세의 학자들은 그를 높이어 ‘주자 (朱子)’라고 불렀다.
시집전
이연평
26 【지식】 가을 (秋)
1년을 네 계절로 나누었을 때 여름 다음의 계절 . 보통 9~11월( 남반구에서는 3~5월)을 가을로 친다.
동지
27 【작품】 동백꽃(단편집) ( )
1938년에, 간행된 김유정의 단편소설집.
산골
심청
안해
야앵
연기
정조
28 【지식】 솥 (-)
밥을 짓거나 국 따위를 끓이는 데 쓰이는 그릇의 한 가지. 냄비보다 운두가 높고 바닥이 두꺼우며, 솥 몸의 바깥쪽 허리에 전이 둘려 있다. 재료로는 무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이 쓰인다.
그릇
무쇠
지리산의 아름다운 여덟 경치.
연하봉
30 【지식】 선소리 ( )
서울 ·경기 ·서도 ·남도지방의 잡가 가운데 서서 부르는 노래의 총칭. 앉아 부르는 좌창(座唱)의 대가 되는 말로 입창(立唱)이라고도 한다.
보렴
산타령
황해도 및 평안도의 소릿조로 된 긴 노래. 황해도와 평안도 지방에서 불리는 잡가로서 세마치 장단이 기본이고 사설(辭說)에 따라 4박, 5박, 6박을 섞어 불규칙 장단을 적당히 치는 것이 많다.
영변가
컴퓨터의 기동과 함께 핵심부(kernel)가 주기억 장치에 올려져 컴퓨터를 작동시키고 운영을 관리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기본 소프트웨어.
MS-DOS
OS/2
맥 OS
33 【지식】 튜링상 (Turing Award)
ACM(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계산기 학회)에서 컴퓨터과학 분야에 업적을 남긴 사람에게 매년 시상하는 상이다.컴퓨터 과학과 인공지능의 선구자인 앨런 튜링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종종 "컴퓨팅의 노벨상"으로 불린다.
ACM
CTSS
멀틱스
이더넷
34 【기관/단체】 해양수산부 (海洋水産部)
1996년 정부조직 개편에 의해, 해운과 항만의 운영 및 건설을 담당해 온 해운항만청과 수산업 진흥 기능을 수행해 온 수산청 등이 통폐합되어 발족한 중앙행정기관을 말한다. 해양수산부는 2008년 2월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국토해양부로 통합되었다.
• 2025년 7월 11일
앵글로색슨족의 칠왕국 중 하나로 오늘날 에식스 지방에 존재한 색슨계 국가이다. 이스트색슨족(East-Saxon族)이 6세기경에 세운 것으로 전하며, 현재의 런던 지역 일대를 지배하였다. 825년에 웨섹스 왕국의 일부로 병합되었다.
영국의 앵글로색슨 시대에 있었던 7왕국 가운데 하나. 5세기 말에 건국되어 7세기 중엽에서 9세기 초까지 세력을 떨쳤다. 8세기 중엽에 잉글랜드 남부 일대를 장악하였으나, 825년에 웨섹스 왕국에 예속되었다.
1402년 티무르 왕조와 오스만투르크 제국 간에 벌어진 전투. 앙고라 전투라고도 한다.
[1927 ~ 2016] 인공지능(AI) 분야를 개척한 미국의 컴퓨터과학자이자 인지과학자이다. MIT의 인공지능 연구소의 공동 설립자이며, AI와 관련된 책들을 저술했다.
39 【지식】 자료구조 (資料構造)
(Data Structure) 컴퓨터 과학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조직화된 방법.
40 【지식】 그래프 (Graph)
컴퓨터 과학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의 하나로, 그래프는 여러 개의 정점(vertex)과 그 정점들을 연결하는 간선(edge)으로 구성된 비선형 자료구조이다. 정점은 노드(node), 간선은 링크(link)라고도 한다.
BFS
DFS
41 【지식】 트리 구조 (Tree 構造)
컴퓨터 과학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의 하나이다. 계층적 관계를 표현하는 비선형 자료구조의 하나로, 노드(node)와 간선(edge)으로 구성된다.
B-트리
BFS
DFS
42 【지식】 큐 (Queue)
컴퓨터 과학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의 하나로,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선형 자료구조의 하나로, 선입선출(First-In, First-Out, FIFO) 원칙에 따라 동작한다.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며, 이는 마치 줄을 서서 기다리는 대기열과 유사하다.
BFS
FIFO
43 【지식】 스택 (Stack)
컴퓨터 과학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의 하나로,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후입선출(Last-In, First-Out, LIFO) 원칙에 따라 동작한다.
DFS
LIFO
44 【인물】 한성태 (韓成泰)
[1890 ~ 1931] 일제강점기 가야금 명인이자 판소리의 명창. 김채만의 제자로 일려져 있으며, 일제강점기에 광주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한덕만
1613년부터 1917년까지 304년 동안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왕조이다. 미하일 1세부터 니콜라이 2세까지 이어졌다.
[1708 ~ 1728] 러시아 제국의 황족으로 표트르 1세 황제와 예카테리나 1세 황후 부부의 딸이다.
칼 12세
[1684 ~ 1727] 표트르 1세의 황후이자 러시아 제국 로마노프 왕조의 황제(재위: 1725 ~ 1727)이다.
48 【인물】 표트르 2세 (Peter II)
[1715 ~ 1730] 러시아 제국의 황제(재위 1727 ~ 1730)로, 로마노프 왕조의 3번째 군주다. 본명은 표트르 알렉세예비치 로마노프다. 표트르 1세의 손자다.
49 【인물】 서항석 (徐恒錫)
[1900 ~ 1985] 한국의 연극인이다. 아호는 경안(耿岸)이다. 본관은 대구이다. 일제강점기 중앙국립극장장, 예술원 회원 등을 역임한 학자. 친일반민족행위자. 일본식 이름 : 松岡恒錫
50 【작품】 황무지 (The Waste Land)
영국의 시인 T.S.엘리엇의 장시. 1922년 발표. "20세기 시 중 가장 중요한 시중의 하나"라는 찬사를 받았다.
51 【자연/문화유산】 백제 고분 (百濟古墳)
백제 시대의 모든 무덤을 일컫는 말. 백제는 처음에 지금의 서울시 강남구와 경기도 광주군 에 속하는 한강 하류에 수도를 정하였다. 그러나 그 후에는 금강 유역과 공주, 부여 등으로 천도했기 때문에 이에 따라 무덤이 분포되어 있다.
52 【인물】 김성수 (金性洙)
[1929 ~ 1993] 전라북도 고창군 지역에서 활동한 판소리 명창. 본명은 김이수(金二洙)이며, 아버지 김용달과 어머니 전주이씨 사이에서 5형제 중 둘째로 태어났다.
김토산
신영채
• 2025년 7월 10일
1547년 모스크바 대공국의 이반 4세가 차르의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한 이후 1721년 표트르 대제가 러시아 제국을 선언할 때까지 사용된 러시아의 공식 국호이다. 모스크바 차르국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54 【작품】 광장 (廣場)
1960년, 최인훈(崔仁勳)이 『새벽』지에 발표한 장편소설.
북한의 문학 단체로 소설가, 시인, 극작가, 평론가, 아동문학가, 고전문학 작가들의 조직 단체이다.
56 【자연계】 흑요석 (黑曜石)
화산 활동에 의해 생성되는 화성암으로, 자연적인 유리의 일종이다. 규장질의 용암이 분출되어 결정이 형성되기 전에 식었을 때 만들어진다. 쪼개었을 때 날카로운 날이 만들어져 선사 시대부터 도구의 재료로 사용되었다.
유문암
57 【기관/단체】 조선문학 (朝鮮文學)
1933년부터 1939년까지 발행된 문예 잡지. 1933년 이무영(李無影)을 편집 겸 발행인으로 하여 경성각(京城閣)에서 발행하였다.
안함광
정래동
정영택
조벽암
지봉문
현경준
조선 중기의 학자 김육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는 정몽주의 초상화. 세로 169.5㎝, 가로 98㎝의 크기이다. 경상 북도 영천시 임고면 양항리에 있는 임고 서원(경상 북도 기념물 제62호)에 소장되어 있다.
59 【자연/문화유산】 경기전 (慶基殿)
전라 북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묘사. 전라 북도 유형 문화재 제2호.
영숭전
집경전
60 【지식】 어진 (御眞)
왕의 얼굴을 그린 그림. 초상화.
61 【시대】 기원전 63년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가 페니키아, 유대를 점령하였다. 로마군이 예루살렘에서 약 1만 2천명의 유대인을 학살하였다.
62 【인물】 연성흠 (延星欽)
[1902 ~ 1945] 동화 작가이자 아동 문화 운동가. 호는 호당으로 아동 문학과 불우한 어린이를 돕는 데 평생을 바쳤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전래 동화와 구성이나 내용이 흡사하여 교훈적인 것이 특징이다.
별탑회
호동회
• 2025년 7월 9일
63 【시대】 557년
신라 진흥왕 18년, 고구려 양원왕 13년, 백제 위덕왕 4년
우문각
진패선
• 2025년 7월 8일
64 【인물】 김균 (金稛)
[? ~ 1398]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다. 군호는 계림군(鷄林君),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김계성
김맹성
김중성
65 【지식】 입춘 (立春)
24 절기의 첫째. 음력의 정월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들며, 양력 2월 4일경에 해당된다.
우수
66 【지식】 입추 (立秋)
24 절기의 열셋째. 음력의 7월 절기로서 대서 (大暑)와 처서(處暑) 사이에 들며, 양력 8월 6~9일경에 해당된다.
처서
식물에서 암꽃과 수꽃이 같은 그루에 피는 것. 암수한그루라고도 한다. 사과나무, 복숭아나무, 소나무, 배추, 오이, 호박 등이 이에 딸린다.
암꽃
1960년대, 가람 이병기가 조선 후기 고창의 신재효가 개작한 판소리, 단가, 가사 등을 모아 편찬한 전 6권의 사설집.
강한영
구구가
권유가
김삼불
단잡가
치산가
퇴별가
허두가
호남가
69 【미지정】 영평 8경 (永平八景)
경기도 포천의 조선 시대 지명인 영평현(永平縣)의 한탄강 줄기 일대에서 경관이 뛰어난 화적연, 금수정, 창옥병, 낙귀정지, 선유담, 와룡담, 백로주, 청학동의 8곳을 말한다.
금수정
백로주
선유담
와룡담
이현익
창옥병
화적연
70 【지역】 포천시 (抱川市)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다. 동쪽은 가평군, 서쪽은 양주시, 동두천시, 연천군이, 남쪽은 의정부시와 남양주시, 북쪽은 강원도 철원군과 화천군이 접하고 있다.
흥룡사
• 2025년 7월 7일
71 【인물】 동원 (董源)
[934 ~ 962] 중국 오대 십국 시대의 화가이다. 자(字)는 숙달(叔達), 일명 북원(北苑)이라고도 한다.
거연
남당
72 【인물】 미불 (米芾)
[1051 ~ 1107] 중국 북송 때의 서예가·화가. 호는 해악(海岳), 또는 남궁(南宮)이다. 당나라의 동원에게서 배웠고, 특히 독특한 수묵의 사용법에 의한 산수화를 잘 그려 남종화의 대표로 불린다.
채양
73 【지식】 곡우 (穀雨)
24 절기의 하나. 여섯 번째에 해당한다. 봄비가 내려 모든 곡식이 윤택해진다는 뜻으로 청명과 입하 중간인 4월 20일경에 든다.
청명
• 2025년 7월 6일
74 【인물】 공옥진 (孔玉振)
[1931 ~ 2012] 대한민국의 판소리 명창이자 한국 무용가. 일인 창무극이라는 장르를 만들었으며 '병신춤' '곱사춤'의 선구자로 유명하다. 그 공을 인정받아 2010년 11월에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일인창무극 심청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곱사춤
75 【인물】 공기남 (孔基南)
[1917 ~ 1971]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신성리 출신의 국악인.
76 【인물】 공대일 (孔大一)
[1911 ~ 1990] 해방 이후 광주호남 국악원, 전남미술예술학원, 남도국악학원 등에서 소리선생으로 활동한 판소리의 명창.
장판개
77 【인물】 공창식 (孔昌植)
[1887 ~ 1936] 조선 후기 판소리 명창. 본관은 곡부(曲阜)이고,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 능주면(綾州面) 범우골에서 태어났다.
조동선
조몽실
78 【지식】 유피테르 (Jupiter)
로마 신화에 나오는 최고신. 그리스 신화에서는 '제우스'이며, 영어 발음으로는 '주피터'이다. 하늘의 신인 유피테르는 온갖 기상 현상을 지배하며, 비와 폭풍과 천둥을 일으키는 신이다.
유노
79 【지식】 동지 (冬至)
24절기(節候)의 하나. 대설(大雪) 다음의 절후로서 12월 22~23일경에 해당한다. 북반구에서는 1년 중에서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이며, 남반구에서는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이다.
팥죽
• 2025년 7월 5일
80 【지역】 함백산 (咸白山)
강원도 태백시 소도동과 정선군 고한읍에 걸쳐 있는 산.
심적사
추전역
81 【인물】 김감 (金勘)
[1466 ~ 1509] 조선 전기에, 의정부우찬성, 판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김수
김원신
유숭조
82 【인물】 금의 (琴儀)
[1153 ~ 1230] 고려 후기에, 수태위 중서시랑평장사, 수태보 문하시랑동중서문하평장사 판이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종규
83 【인물】 양재 (梁載)
[? ~ ?] 고려후기 우문군을 역임한 관리. 중국 연남(燕南) 출신. 일명 양장(梁將)이라고도 한다. 양재(梁載)는 왕삼석(王三錫)에게 붙어 권력을 휘두르다가 사람들의 미움을 샀으며, 왕삼석이 죽자 연경(燕京)으로 돌아갔다.
김원식
왕삼석
왕천우
윤혁첨
윤현
이설
조신경
84 【인물】 권렴 (權廉)
[1302 ~ 1340] 고려 후기에, 정순대부좌상시, 광정대부첨의찬성사 등을 역임한 문신.
양재
85 【인물】 소순 (蘇洵)
[1009 ~ 1066] 중국 송나라 때의 문인. 호는 노천(老泉)이다. 그의 아들 소식, 소철 과 함께 삼소(三蘇)라 불리는데, 3부자가 모두 ‘당송 팔대가’에 속한다.
86 【기관/단체】 화암서원 (花巖書院)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송동리에 있는 서원. 1622년(광해군 14)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李滉)·이문건(李文楗)·노수신(盧守愼)·김제갑(金悌甲)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박지겸
이문건
허조
허후
87 【지식】 연행일기 (燕行日記)
조선시대에 공식 직함을 달고 연경, 즉 북경에 사행을 다녀오며 지은 사행일기들. 조천일기나 연행록, 연행기 등과 성격이 비슷하다.
김순협
김정중
서문중
유득일
유명천
이상길
이승오
장자충
최덕중
홍호
88 【자연/문화유산】 흥성고성 (興城古城)
싱청 시가지 서부에 위치한 흥성고성은 명나라 말기 원숭환의 거점이자 영원성 전투가 벌어진 그 영원성으로, 주요 관광지이다. 정방형으로 성벽의 높이는 8.8m이고, 주변 길이는 3.2km이다. 서안고성, 형주고성, 산서 평요고성과 함께 중국에서 지금까지 완정하게 보존된 4대 고성으로 평가받는다.
원숭환
89 【지역】 흥성시 (興城市)
【싱청시(兴城市)】 중국 랴오닝성 후루다오 시의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2147km2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550,000명이다. 영원성 전투가 벌어진 곳이기도 하다.
90 【지역】 스자좡시 (石家庄市)
중국 허베이성의 지급시이자 성도이다. 태항산맥의 기슭에 위치해 있으며, 인구는 1,090만명이다. 바오딩시에서 서남쪽으로 120km, 타이위안에서 동쪽으로 150km, 한단에서 북쪽으로 50km 떨어져 있다.
• 2025년 7월 4일
91 【지역】 대운하 (大運河)
중국 북부의 베이징과 항저우를 연결하는 운하. 전체 길이 1,515㎞. 원래의 길이는 1,782㎞였으나 1958년에 복구·확장 공사를 하며 정비되었다.
첸탕강
• 2025년 7월 7일
92 【지식】 차마고도 (茶馬古道)
중국과 티베트, 인도를 잇는 전근대의 무역로이다. 중국의 윈난성, 쓰촨성에서 시작되어 티베트를 거쳐 인도의 벵골과 네팔 등으로 이어진다.
다두허
다리
더거
더친
리장
무역로
벵골
쓰마오
야안
캉딩
• 2025년 7월 4일
앵글로색슨족이 잉글랜드 침입 후 건설한 일곱 왕국이다. 북으로부터 노섬브리아, 머시아, 이스트 앵글리아, 에섹스, 웨섹스, 켄트, 서섹스 등을 말한다.
영국 앵글로색슨족의 7왕국 중 하나이다.(477년 ~ 860년)
색슨족
주트족
95 【인물】 최동망 (崔東望)
[1557년 ~ ?] 조선 전기에, 형조정랑, 합천군수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통천(通川). 자는 노첨(魯瞻), 호는 재간(在澗). 최세영(崔世瀛)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진사 최자양(崔自陽)이고, 아버지는 형조참판 최립(崔岦)이다.
96 【지식】 조직 (組織)
생물체에서 모양과 크기가 거의 같고 작용도비슷한 세포가 규칙적으로 모여 있는 것.
생물체
생물체의 조직 속에 있는 지방을 검출하는 데 쓰이는 염색 색소. 황갈색을 띤 붉은 색소로 녹는점은 195℃이다.
• 2025년 7월 3일
98 【인물】 권상로 (權相老)
[1879 ~ 1965] 일제강점기 때, 문경 대승사 주지, 불교조계종원로회 원장, 불교사상사 사장 등을 역임한 불교학자 · 친일반민족행위자.
이회광
99 【작품】 가고파 (-)
김동진(金東振) 작곡, 이은상(李殷相) 작사의 한국 가곡.
김동진
이은상(李殷相)이 1932년에 펴낸 첫번째 시조집. 노산은 이은상의 호이다. 한성 도서 주식 회사에서 발행하였다.
봄처녀
101 【시대】 1902년
대한제국 광무 6년 서울-인천 간 장거리 전화 개통, 최초의 하와이 이민단 출발.
102 【기관/단체】 뤼순감옥 (旅順監獄)
중국 랴오닝 성 뤼순 시 뤼순커우 구에 있었던 감옥이다. 한국어 발음으로 여순형무소, 여순감옥이라고도 한다.
유상근
최흥식
독일의 작곡가인 C.M. 베버의 전 3막으로 된 오페라. 이 오페라의 대본은, 독일의 옛 전설을 소재로 하여 J. 아펠과 F. 라운이 공동으로 집필한 책 《유령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여 F. 킨트가 썼다. 주제는 악마와의 정신적인 싸움과 인간 영혼의 구원을 다루고 있다. 1821년 6월에 베를린에 있는 샤우슈필 하우스에서 초연되었다.
104 【지역】 황산 (黄山)
중국 안후이성 황산시에 있는 명승지로 전설의 선경을 방불케 한다. 독특한 경관으로 인해 오래전부터 천하의 명승지, 황산에 모인다고 말해지며, 수많은 시인묵객들이 찾았다. 1982년에 국가중점풍경명승구로 지정되었고, 1990년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중국의 대표적인 역사 문화 고도로, 각각 독자적인 역사와 전통 건축 양식을 간직하고 있다.
106 【지식】 나시족 (Nahsi族)
중국 윈난성 북서부에 있는 나시족 자치현을중심으로 거주하는 소수 민족.
참 여 마 당
◈ 지식지도(우선등재목록)
• 최근추가된지식지도
◈ 참여마당
about 참여마당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4년 7월 1일